영화진흥위원회가 경부선을 탈 공산이 높아졌다. 6월23일 현재, 24일 발표될 공공기관 이전 지역 배치안의 윤곽이 거의 드러난 가운데, 부산, 광주, 전주 순으로 유력 후보지가 바뀌던 영진위의 이전 지역이 결국 부산으로 낙점되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센텀시티에 부지도 이미 마련된 상황이나 부산국제영화제나 부산영상위원회와의 시너지를 고려한다면 효과적인 결정이 될 것”이라고 배경을 풀이했다. 실질적인 배치안의 확정은 24일 오전 9시 국무회의를 거쳐 공식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부산이 유력해진 또 다른 배경으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상도시라는 상징적 의미와 선점효과의 측면”이 제기된다. 국고 지원을 받는 영진위와 꾸준히 활동해온 부산 지자체의 영상산업에 대한 공적 지원이 결합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분석이다. 한편, 종합촬영소는 이전이 확정되더라도 기존의 방식대로 “영진위가 후반작업과 스튜디오에 대한 공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부담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될 전망이다. 신규 지역의 촬영소 설립 여부와 상관없이 “기존의 남양주종합촬영소는 민간에 매각하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영화아카데미도 지역 이전의 추진기구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태도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한 이전이 불가피하다. 기관들의 실질적인 이전은 아직 5년의 시간이 남아 있다.
영진위의 부산 이전에 대한 작은 암초가 남아 있기는 하다. 부산시는 공공기관 지역 이전의 최대 화두였던 한국전력 유치를 조기에 포기하고 한국토지공사에 심혈을 기울였으나 그것마저 수포로 돌아갔다. 공사를 중심으로 한 대형 기관들의 배치가 가시화된 23일 오후, 부산시가 86개 지역시민단체와 공동으로 대정부 규탄성명을 발표하고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강력히 반발한 것은 이러한 배경에서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기관급에 속하는 영진위가 이러한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의 알력 다툼에 휘말릴 가능성도 전적으로 배제하기는 어렵다. 한편 영진위 외에 영화 관련 기관 중 이전대상인 영상물등급위원회와 문화콘텐츠진흥원은 이전은 고수되고, 실질적인 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도권 근처에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