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소설을 ‘좀처럼’ 읽지 않는다. TV드라마, 영화, 하다못해(?) 신문 사회면이 소설보다 더 소설 같고 재미있는데 굳이 소설책 붙잡고 있기 싫은 것이다. 그래도 전혀 읽지 않는 건 아니어서 아는 사람이 강력 추천하는 소설을 마지 못해 하는 심정으로 읽을 때가 있다. 술자리에서 작가 김영하가 강력 추천하는 바람에 읽게 된 소설이 바로 오르한 파묵의 이 작품이다.
“나는 지금 우물 바닥에 시체로 누워 있다. 마지막 숨을 쉰 지도 오래되었고 심장은 벌써 멈춰버렸다. 그러나 나를 죽인 그 비열한 살인자 말고는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무도 모른다.” 16세기 말 이스탄불 외곽의 한 우물 밑바닥에 살해돼 버려진 금박세공사 엘레강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엘레강스의 시체의 독백이다. 누가 왜 그를 죽였을까? 사건의 실마리는 책의 속표지를 꾸미거나 본문 내용을 부연하는 이슬람의 전통 장식 미술, 즉 세밀화다.
술탄의 밀서 제작 책임자 에니시테는 베네치아 궁정에서 봤던 초상화에 매료된 나머지 유럽 화풍을 도입한 삽화책을 만들자고 술탄에게 건의한다. 술탄은 에니시테의 건의를 용납했고, 에니시테는 궁정화원에서 가장 뛰어난 화가들을 뽑아 서양화풍으로 그림을 그려넣은 책을 만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도제식 교육에 따라 전통적인 그림 기법을 철저하게 답습해오던 화가들에게 새로운 양식의 그림은 충격 그 자체였다. 서양 화가들이 원근법을 구사하고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면서 인간 중심의 세계를 그린다면, 이슬람 화가들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대상을 평면적이고 투시적으로 묘사해 신의 관점에서 세상을 담아냈다.
전통과 새로운 양식의 갈등 속에서 신성 모독 여부를 둘러싼 논쟁마저 일어나고 화가들 사이에 갈등과 불안이 고조되면서 급기야 엘레강스에 이어 에니시테마저 살해당하고 만다. “유럽인들의 그림에서처럼 사물이 신의 마음속의 중요성을 따르지 않고 우리 눈에 보이는 것처럼 그려졌다고 하더군. 그건 아주 커다란 죄라는 거야. 가장 큰 죄는 물론 그림에 유럽인의 관점을 수용하여 술탄의 얼굴을 크고 실물처럼 세세하게 그린 거라는 거야.”
다른 사람에게 한권의 책을 진심으로 추천하는 일처럼 아름다운 일도 없다. 김영하가 내게 베푼 아름다운 일에 새삼 고마움을 느끼면서, 나도 아름다운 일 한번 해보자. 이 작품을 포함한 오르한 파묵의 작품 모두를 강력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