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의 선거보도가 양적으로는 비교적 균형성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질적으로는 공정성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황 근 교수(선문대 신방과)는 20일 오후 서강대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방송비평회 주최 프로그램토론회에서 '대통령선거 방송보도 평가'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월중 KBS.MBC.SBS 등 방송 3사의 저녁 종합뉴스 분석결과 이같은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선거관련 보도시간은 방송3사가 평균 25-26초 정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또한 KBS가 전체 보도시간에서 민주당 평균 32.04초, 한나라당 27.00초, 국민통합21 20.48초로 차이를 보여줬을 뿐 전체적으로 각 방송사들의 보도시간을 보면 정당과 후보자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그는 말했다.또 공정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선거관련 보도중 인터뷰 시간을 비교하면 KBS는 민주당과 한나라당간에 엄격한 균등시간을 지킨 반면 SBS는 한나라당에게 조금 많은 시간을, MBC는 민주당에 다소 많은 인터뷰 시간을 각각 할애했다.황 교수는 그러나 전반적으로 보면 양적인 측면에서 선거관련 보도는 민주당과 한나라당에 균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다만 '이회창 아들 병역관련 공방전' 등 주요 쟁점에 대한 보도분석에서는 보도형태와 내용 등에서 공정성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그는 덧붙였다.KBS의 경우 '이회창 후보 병역' 관련 보도가 '여.야 병풍 테이프 공방', '여.야 병풍공방 치열', '병풍공방-기양 비자금 공방' 등 주로 '여.야간 갈등보도 양상으로 보도를 취했다.반면 MBC는 이에 대해 지속적인 의혹제기형 기사가 많은 특징을 보였다. MBC는 '병역비리 수사, 결론 이르다' '한인옥 5천만원 논란' '병풍의혹 수사속보, 정치인들 만났다' '고의로 살뺀듯' 등의 기사를 지속적으로 보도했다.SBS는 병풍문제를 제기한 김대업씨의 처리와 관련한 보도가 주를 이뤘는데 이러한 보도내용은 병역비리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는 점과 김대업씨의 거짓 발언, 이에 대한 검찰의 처벌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MBC 보도와는 상반된 보도 태도다.황 교수는 KBS는 대단히 신중하면서도 시청자를 의식한 '정쟁보도 양상', MBC는 '병역의혹 제기형 보도', SBS는 '김대업씨 진실의심형 보도'로 특징지울 수 있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