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내 인생의 영화
나만의 영화여행을 꿈꾼다. <댄싱 히어로>
2002-10-23

얼마 전 약간의 억지를 부려 메니스영화제에 갔다왔다. 바닷물이 찰랑찰랑 들어차는 수상도시의 풍경이 두눈 가득 들어차는 순 새삼 내 살던 좁은 땅을 떠나 먼 이국에 왔음을 실감한다. 하지만 그때 내 가슴이 그리도 설렌 것은 그저 낯선 곳에 도착한 여행객의 감흥만은 아니었다. 좁은 수로를 사이에 두고 늘어선 고풍스런 건물들. 출렁이는 물살을 가만나아가는 배 위에서 바라보는 스산한 풍경은 그토록 그리던 영화 <베니스에서 죽다>의 한 장면이 아니던가. 꽃미남의 원조, 전설의 미소년 타치오에 대한 끊을 수 없는 열정에 괴로워하던 노신사 구스타브 앗센바흐. 자신의 영혼을 송두리째 앗아미소년을 쫓아 정신 없이 헤매고 다니던 미로 같은 뒷골목에, 퇴폐적인 세기말의 정서로 가득 찼던 휴양지 리도섬에, 지금 그곳에 내가 있는 것이다. “그래, 살아 있기를 잘했어!” 불현듯 나를 아는 사람들의 비웃음이 들리는 듯하다. 어서 진실을 고백하라고, 제사보다 젯밥에 관심이 있다고, 사실은 이 영화에 열광하는 이유도 모두 그 꽃미남 때문이 아니냐고. 물론 부인은 않겠다. 하지만, 사실 지금도 나를 사로잡고 있는 것은 천상의 존재 같은 타치오가 아닌 그를 집요하게 바라보던 구스타프의 안타까운 시선이었다(그리고 확신하건대 이 영화에 매료된 대다수의 사람들도 그러할 것이다). 아직도 살아갈 날이 창창하건만, 사랑하는 이에게 감히 다가서지도 못하고 맴돌기만 하는 소심한 노인네에게 덜컥 감정이입하고 말다니, 스스로 생각해도 참으로 한심한 인생이다. 가만 보면 나는 항상 그랬다. 내가 사랑해 마지않는 또 한편의 영화인 <댄싱 히어로>. 허리를 곧추 세우고 파트너를 이리저리 돌려가며 파소도브레니 삼바니 이름도 알 수 없는 춤을 추던 주인공. 그 현란한 허리 돌리기에 반하고 로봇처럼 어색한 연기마저 귀여워 몇 번이고 본 것은 물론이요, 비디오 가게로 달려가 그, 폴 머큐리오가 출연한 <플래닛> 등등의 영화까지 모조리 빌려보지 않았던가. 하지만 여기서조차 내 마음 깊숙한 곳을 건드린 이는 코카콜라 캟퓽배경으로 사랑의 춤인 ‘룸바’를 완성해 가는 젊디 젊은 스캇과 프렝아닌 옥상 밑 텅 빈 무도장에서 쓸쓸하게 춤을 추던 초라한 모습의 아버지였으니, 이 일을 어이할꼬. 사정이 이러할지니 제임스 웨일의 <프랑켄슈타인의 신부>에서 어눌하게 ‘친구 ‘를 부르던 외로운 `괴물’의 모습에 언제나 눈물짓게 되는 것은 차라리 당연한 일일 것이다.

<베니스에서 죽다>는 처음 그 감흥을 잊을까 두려워 감히 다시 못 보고 있는 영화다. <댄싱 히어로>는 청계천에서 산 비디오를 보고 또 봤다. 얼마 전에는 DVD도 구입했다. 좌우가 잘려나비디오 화면 대신 원 화면비를 그대로 유지한 DVD를 보며, 화면 끝에서 끝까지 무릎을 끌고 등장하는 극적인 마지막 장면에서는 “암, 이런 영화는 모름지기 와이드로 봐야 해”라며 고개를 주억거려 보기도 한다. 하지만, 한번 봤건 여러 번 봤건 내 가슴속에는 언제나 이들의 잔상이 남아 있다. 또 다른 한구석에는 무르나우의 <일출>과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과 <배드 테이스트> <파괴지왕>을 위한 자리들이 있다. 그리고 그곳에는 언제나 또 다른 영화들을 위한 여백이 남아 있을 것이다. 사실 베니스여행 이후 조금 욕심이 생겼다. 베스타 스쿠터에 달랑 올라타고 파졸리니의 흔적이니 뮤지컬에 대한 사랑이니, 이탈리아 전역을 영화의 흔적을 쫓아 돌아다니던 <나의 일기>의 난니 모레티처럼 나도 언젠그렇게 나만의 영화여행을 떠나 보련다. 이 무슨 팔자 좋은 소리냐고 어쨌든 상상만으로도 행복해지지 않는가. 누구는 베니스에서 죽었다지만 내 영화에의 애정은 그곳에서 다시금 살아났다.

관련영화

글: 모은영/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프로그래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