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는 이제 하나의 장르이자 브랜드로 세계 무대에 자리 잡았다. 하지만 시장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단순히 K타이틀을 내세우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 우리가 가진 정체성을 지키되 글로벌 문법과 결합해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내는 ‘K블렌드’(K-Blend)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대표 사례다. 미국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하고, 한국계 미국인 감독 매기 강이 연출을 맡았 으며, 다수의 한국인이 음악과 더빙에 참여해 K의 리듬을 더했다. 한국적 감성과 세계 적인 제작 역량이 어우러진 융합 콘텐츠인 것이다. 일본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가 제작하고 현재 티빙에서도 서비스 중인 <내 남편과 결혼해줘>도 주목할 만하다. 한국의 웹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이 작품은 박민영 주연의 동명의 드라마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번에는 한국 연출진이 일본 현지 제작에 참여했다. 일본 배우 출연에 배경은 일본이지만 감성과 연출의 핵심은 ‘K’다. 이같은 K블렌드는 단지 한류 수출이 아닌 글로벌 콘텐츠 공동 제작으로의 진화다.
K콘텐츠의 매력은 한국만의 스토리텔링, 그리고 시청자와 감정적으로 연결되는 정서에 있다. 이 본질을 다른 문화와 플랫폼 속에 잘 녹여야 한다. K를 섞는다는 건 K를 포기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가진 정체성을 보존하면서도 생존할 수 있는 방식에 가깝다. 전세계가 다양한 문화와 콘텐츠를 섞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고 있는 지금, 한국도 ‘모든걸 한국에서 만들겠다’라는 집착을 버려야 하지 않을까. 결국 K블렌드 생존 전략이자 확장 전략이다. 우리가 가진 것이 곧 K이고, 그 K를 녹여야 우리도 살아남을 수 있다. IP의 힘과 글로벌 협업을 통한 제작의 유연함을 도모한다면 K는 더 강해지고 더 멀리갈 수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K-OTT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 콘텐츠만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넷플릭스가 K콘텐츠를 자신들의 글로벌 플랫폼에 하나의 조화로운 블렌드로 통합하듯, 우리도 현지 콘텐츠를 포용하고 경쟁력 있는 타국 콘텐츠를 과감히 수용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가진 K가 진짜로 빛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