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슬픔을 뛰어넘는 힘 - <바다호랑이> 제작한 윤순환 굿프로덕션 대표
남선우 사진 백종헌 2025-06-24

<바다호랑이>는 윤순환 굿프로덕션 대표가 처음으로 제작한 영화다. <한국일보> 기자였던 그는 언론사를 나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방향을 틀었고, 지상파 방송국 미니시리즈와 주말연속극 등을 만들어왔다. 드라마를 고집하던 그가 비로소 영화를 구상한 때는 2014년 4월. “그해 우리 아들도 고등학교 2학년이었다. 아들은 세월호 참사를 보며 자기 친구들이 죽었다고 여기더라.” 쪽빛 손수건을 움켜쥔 윤순환 대표가 읊조렸다. “지금도 진상이 완벽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한 가지는 분명하다. 어른들의 잘못으로 아이들이 죽었다는 것. 한명의 어른으로서 무얼 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 이 사건이 잊히지 않도록 영화로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다. 청계광장 집회에서 눈물을 쏟으며 한 생각이다. 그때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 이렇게 오래 걸릴 줄은 정말 몰랐다.”

김탁환 작가가 쓴 소설 <거짓말이다>의 “압도적인 도입부”에 반해 판권을 사고, 각색을 거쳐 영화로 완성하기까지 걸린 시간이 총 9년. “50대를 바친 작품”이라는 윤순환 대표의 말이 허투루 들리지 않았다. 그사이 돌파구가 된 건 평소 알고 지내던 정윤철 감독에게 조언을 구한 일이었다. “그가 시나리오 고치는 것을 도와줬다. 친분 있는 제작자가 힘들어하니 극작 능력이 있는 감독으로서 선의를 베푼 것이다. 그런데 소재에 대한 애정으로 연출까지 맡기로 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과 만남도 자주 가졌다.” 문제는 제작비였다. 크고 작은 투자사들이 난색을 표해 촬영이 한없이 미뤄졌다. “다들 같은 말을 하더라. ‘시나리오는 너무 좋은데 저희는 힘들 것 같아요.’ 야속했지만 인간적으로 이해도 됐다.” 그런 상황에서 정윤철 감독이 연극 세트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냈다. 현장의 스펙터클이 아니라 인물의 감정에 집중한 클로즈업숏들로 영화를 채우자는 것이었다. “그건 재난을 비윤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위험을 피하는 길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런 얘기를 자주 한다. 내가 이 영화의 나무라면 정윤철 감독이 꽃을 피워줬다고. 그의 창의력과 도전 정신에 모든 공을 돌리고 싶다.”

고맙다는 말은 요즘 윤순환 대표가 관객과 가장 많이 주고받는 인사이기도 하다. 영화를 최초 공개한 전주국제영화제부터 텀블벅 후원자들을 초대한 열번의 전국 상영회까지, 관객은 그에게 “시사회에서 주로 하는 ‘잘 봤습니다’ 같은 표현이 아닌 ‘이 영화를 만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라는 진심”을 들려준다고 한다. 지난 5월31일 부산 상영회를 찾은 문재인 전 대통령도 그런 관객 중 한명이었다. “영화를 보기 전과 후, 우리를 보는 그분의 눈빛이 달랐다. 긴 말씀 없이도 이 영화를 좋아해주셨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그날 문 전 대통령님이 비싼 회와 술을 사주셨다. 정윤철 감독과 함께 정말 맛있게 먹었다.”

윤순환 대표는 마지막으로 당부했다. “세월호 참사를 향한 국민들의 기억이 이 영화를 보러 오기까지 어떤 허들이 되고 있는 것 같다. 많은 사람이 이 영화를 보기를 바라지만 정작 나는 보지 못하겠다는 분들이 많다. 제작자로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이 영화에 슬픔을 뛰어넘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슬픔 이상의 치유, 공감, 연대를 말하고 싶어 ‘당신은 결코 혼자 걷지 않으리’(You’ll Never Walk Alone)라는 노랫말을 포스터에 넣기도 했다. 영화를 보고 함께 기운 내주시길 바란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