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기획] 영화 자막과 번역의 세계
씨네21 취재팀 2025-06-19

외국어 콘텐츠가 한국 관객과 만나는 과정, 자막의 A to Z

“1인치 정도의 장벽을 뛰어넘으면 여러분은 훨씬 다양한 영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봉준호 감독이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이 수상 소감을 남겼을 때, 적잖은 한국 관객은 <기생충>의 수상 소식만큼 소감에 깔린 함의에 놀랐을 것이다. ‘뭐야, 할리우드는 자막으로 영화를 안 봐?’ 한국 관객은 자막에 익숙하다. <타이타닉>이든 <어벤져스: 엔드게임>이든 글로벌 흥행작을 극장에서 자막으로 만났을 것이고, 근래엔 자국 언어로 만들어진 콘텐츠까지도 자막 서비스로 감상한다. 자막 문화가 친숙한 데다 전 국민이 영어 공부에도 소홀하지 않으니, 외화 한편이 개봉하면 오역 논란이 따르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이쯤에서 질문을 던져보자. 자막 번역은 누가, 어떻게 담당할까. 15자 내외의 자막 한줄이 관객과 만나기까지 어떤 공정을 거칠까. <씨네21>이 익숙한 듯, 여전히 낯선 자막과 번역의 세계에 여섯 가지 질문을 던져봤다. 함께 1인치의 장벽을 탐구해보자.

*이어지는 글에서 영화 자막과 번역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계속됩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