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2023 엔터산업전망⑧] IP 경쟁과 플랫폼의 미래
임수연 2023-02-02

킬러 IP를 만드는 비법이 있을까

현재 콘텐츠 업계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는 IP와 플랫폼이다. ‘IP 전쟁’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업계에서는 확장성 있는 IP 개발 및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웹툰, 웹소설이 원천 IP의 보고가 된 지금, 치열한 IP 선점 및 수급 경쟁은 콘텐츠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한편 TV에서 넷플릭스 그리고 유튜브까지,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은 늘 제작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렇다면 소비자의 다음 선택이 향할 장소를 점치는 것은 곧 업계의 표준을 예측하는 일과 맥락을 함께한다. <씨네21> 신년 설문에 참여한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대표·임원급 결정권자 64명에게 IP와 플랫폼, 두 키워드를 중심으로 콘텐츠 제작의 앞날에 대해 물었다.

안정된 라인업 확보

기존 한국영화는 흥행이 검증된 감독이 오리지널 각본을 쓰는 페이스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다. 다시 말해 개인의 영감이 전체 프로젝트 계획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것이다. 웹툰 및 웹소설 IP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경우 스튜디오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완성도나 인지도가 검증된 원작을 기반으로 한 작품들을 장르별, 시기별로 카테고리 화해놓고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획 단계부터 영상화를 염두에 둔 작품을 적극 제작하는 등 “하나의 스토리나 세계관을 공동 개발하여 다양한 형태로 동시, 순차 콘텐츠화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고 점치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원작 IP를 안정적으로 확보한 후 라인업을 꾸리는 관습이 업계에 자리 잡게 된다면 이는 “하나의 기업 안에서 영상 기획-제작-유통을 일원화하는 파이프라인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같은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대기업 혹은 그 계열사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원천 IP 업체 대비 기획 및 제작사의 경쟁력이나 딜 파워가 점점 떨어져서 순수 제작사가 자체 기획으로 인정받기에 더 열악한 상황에 놓일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런 기회를 갖지 못하는 중소 제작사 내지 개인 크리에이터들은 자체적으로 IP를 개발하고 콘텐츠 IP 비즈니스 모델을 찾는 생존 전략이 절실히 요구”될 것이다.

특정 장르의 유행

웹툰, 웹소설 시장에서는 로맨스, 로맨스 판타지, 무협 등 특정 장르물의 인기가 높다. 특정 작품이 인기를 얻으면 해당 작품의 컨셉과 유사한 작품이 우후죽순 등장하기도 한다. 이에 “회귀, 환생, 게임물 등 유사한 소재가 시장을 장악하면 결과적으로 영상물의 다양성까지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일례로 <재벌집 막내아들>을 위시한 회귀물의 인기를 들 수 있겠다. 또한 “업계 내 과도한 경쟁이 좋은 스토리보다는 말초적이거나 휘발성 높은 소재를 양산하는 경향을 만들 수 있다”는 점 역시 지적됐다. 그렇기에 “좋은 IP를 골라낼 수 있는 기획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유행에 매몰되지 않고 이전보다 다채롭고 창의로운 스토리를 발굴하는 창의자들의 노력과 안목”이 뒷받침된다면 IP 발굴은 “기존 드라마투르기의 전형성을 탈피한 스토리, 구성과 캐릭터로 K콘텐츠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계속 가져가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P 전쟁에 따른 비용 상승

원천 IP를 확보하기 위한 산업 플레이어들의 경쟁이 가속화되면 IP구매 가격, 더 나아가 제작비 상승을 피할 수 없다. 이에 일부 플레이어들은 “확보 금액이 높아짐에 따라 개발(판매)되지 못하는 IP들이 늘어나고 결과적으로 스타급 크리에이터들에게 수요가 쏠림으로써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일어난다”거나 “신인 제작자, 작가, 감독이 나오기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네이버나 카카오처럼 IP를 갖고 있는 회사들이 더욱 힘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 응답자들도 있었다. 예컨대 일부 웹툰 스튜디오들은 영화 부문 사업을 시작했고 매니지먼트사들 역시 제작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원천 IP를 생산하는 기업이 제작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까지 포괄할 수준으로 성장한다면 “단지 선점과 수급이 아닌 콘텐츠 기획 개발부터 원스소 멀티유즈(OSMU) 전 과정이 산업화”되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다. 대체로 오리지널 콘텐츠 기획이 위축될 수 있다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지만, 제작 원가의 상승으로 전반적인 콘텐츠 수익률이 약화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오리지널 콘텐츠 개발 비중이 늘어날 수 있다”는 반작용을 예상하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영상화를 위해서는 차별화가, 차별화를 위해서는 제작비와 개발비가 높은 IP가 요구되기 때문에 “한국이 아닌 미국 스튜디오나 글로벌 OTT에 판권이 넘어갈 가능성”을 언급하는 이도 있었다.

크리에이터를 위한 건강한 생태계 형성

현재 콘텐츠 업계는 소수의 스타 작가 및 스튜디오가 킬러 콘텐츠를 통해 막대한 부를 독식하는 구조다. 치열한 IP 확보전이 안정기에 접어들면 오히려 건강한 생태계가 자리 잡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IP 생산자 및 크리에이터는 크리에이터에게 유리한 수익 배분 조건을 제시하는 기업 및 공급자와 연결될 것이며 이는 산업적으로 스탠더드가 될 것이다. 좀더 길게 보자면 IP 생산 주체와 소비자가 연결되는 웹 3.0의 크리에이터 생태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질 것이다.” 더 나아가 흐름은 “콘텐츠 산업의 가장 하부 구조를 담당하는 스토리 시장이 질적·양적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수 있다.

숏폼 플랫폼의 성장

틱톡

앞으로 특별히 주목해야 할 플랫폼으로 가장 많이 언급된 틱톡과 유튜브 숏츠, 인스타그램 릴스는 이른바 ‘숏포머블’한 콘텐츠가 올라오는 채널이다. “짧고 빠른 콘텐츠를 선호하는 10~20대 취향을 고려했을 때 숏폼은 현재 유행하는 스케치 코미디뿐만 아니라 장르가 다양화되고 시장 확대에 따른 투자 증가로 인해 현재의 낮은 퀄리티가 점차 높아지리라 예상”되고 있다. 특히 틱톡은 틱톡 바깥의 플랫폼에서도 “콘텐츠가 흥행하기 위한 수단이자 지표”로서 기능하는데, 가령 틱톡에서 일종의 밈이 된 넷플릭스 시리즈가 있다면 실제로도 입소문을 타고 있다는 의미다.

토종 OTT의 가능성

새롭게 주목할 플랫폼으로 신규 경쟁사를 언급하기보다 현재 흩어진 OTT간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웨이브는 “영화와 수익 모델을 유사하게 가져가고 극장 배급과 상생하려는 시도 때문에 다수 강점을 가질 수 있는” 플랫폼이며, 티빙은 “젊고 신선한 소재와 밀도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콘텐츠”가 경쟁력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대형 포털 사이트들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트래픽을 확보하기 위한 카테고리 개편에 나서 경쟁은 더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래디쉬와 우시아월드를 인수한 카카오, 왓패드와 문피아를 흡수한 네이버는 사업 다각화에 나선 대표적인 채널들이다. 티빙은 해외 체인 네트워킹이 잘된다면 성장 가능성이 높다.

투자가 관건

쿠팡플레이는 “흑자 전환한 모기업의 자금력”을 바탕으로 “타기팅이 명확하고 집중도가 높은 플랫폼으로서 확장세가 기대되는” 곳이다. 쿠팡 와우 멤버십과 연계된 서비스는 “다른 플레이어들이 적극적으로 베팅할 수 없는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 콘텐츠에 폭넓은 투자”가 가능케 한다. 디즈니+는 “디즈니라는 이름에 갇히지 않는 다양한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으로 방향을 전환해 귀추가 주목”된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이미 한국 콘텐츠 주력 시장인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신규 및 라이브러리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는 주체”가 됐다.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아일랜드>의 해외 유통 역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가 맡고 있다. 때문에 “아마존이 국내 서비스를 론칭할 시점을 주목해볼 만하다”는 반응이다. Apple TV+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프리미엄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기에 마니아층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국내 플랫폼 티빙과 손잡은 파라마운트+는 “기존에 보유한 IP는 물론 티빙과 협업으로 비용 절감을 하며 한국 시장에 특화된 IP를 구축해 해외 OTT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HBO 맥스 역시 “그들의 풍부한 라인업이 국내 정식 론칭 이후 자체 경쟁력이 될 수 있다”라며 여러 관계자들이 언급한 플랫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