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인터뷰] '몸값' 진선규, “악인의 속사정”
조현나 사진 최성열 2022-11-02

<몸값>에서 가장 억울한 건 형수가 아닐까. 성매매 단속을 위해 주영(전종서)과 호텔에서 접선했을 뿐인데 어느새 본인의 장기들이 경매대에 올라 있다. 호텔이 갑작스레 무너진 뒤론 자신을 ‘내가 판매·구매한 장기’로 인식하는 이들과 한 공간에 갇히게 됐다. 이 기막힌 상황에서도 형수는 꽤나 영민하게 암투를 벌이며 생존 방식을 터득한다. 배우 진선규는 오랜 시간 연극 무대에서 익힌 노련함으로, 끝이 가늠되지 않는 형수의 탈출기를 막힘 없이 끌고 간다.

-원작 단편을 재밌게 봤다고. 이를 장편화한 <몸값>의 시나리오는 어땠나.

=지하로 떨어지니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는 설정 자체가 너무 흥미로웠다. 거기서 인물들이 주고받는 대사나 형수와 주영, 극렬(장률)이 시도하는 각자의 탈출 방식도 재밌었고. 시나리오도 좋았지만 감독님이 원테이크로 간다고 하셨을 때 마음이 많이 움직였다. 또 언제 3시간짜리 롱테이크 형식의 시리즈물을 찍어볼 수 있겠나. 좋은 도전이 될 것 같았다.

-그간 연극 무대에 선 경험들이 도움이 되지 않았나. 전종서 배우의 말에 따르면 형수의 대사가 유독 많은데도 리허설 때 전부 외워왔다고.

=신 하나가 짧게는 5분, 길게는 10~15분에 이르다보니 리허설이 정말 중요했다. 현장에서 생기는 변수와 최적의 동선을 찾아낼 수 있었으니까. 모든 배우와 스탭이 100%에 가까운 에너지를 쏟고 있는데 내 실수로 처음부터 다시 조율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준비를 정말 많이 해갔다. 연습을 너무 많이 하면 오히려 실재감이 떨어진다고들 하는데, 이 작품은 상황을 최대한 몸에 익힌 뒤 현장에서 자유롭게 표현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형수를 어떤 인물로 그리고 싶었나. 원작과 다르게 상대를 잘 믿고 또 망자를 쉽게 지나치지 못하는 따뜻한 면모 같은 것들이 눈에 띄었다.

=<몸값>에선 어찌 보면 죽어 마땅한 악인들이 살기 위해 발악을 하고 있지 않나. ‘당연히 죽어야지’가 아니라 ‘잘 빠져나가야 될 텐데’라는 마음이 들어야 시청자들이 180분 동안 우리를 따라올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러려면 아무리 재난 상황이어도 너무 무겁게 연출되면 안되고 적절한 때에 분위기를 환기해줄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한데, 그게 형수 같더라. 감독님과도 그런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 형수는 사람을 너무 잘 믿어 매번 당하지만 또 같은 방식으로 극렬을 속이며 위기를 벗어난다. 말하자면 어딘가 어수룩해 보여도 극한의 순간엔 임기응변으로 상황을 모면할 줄 아는 사람이다. 그런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시청자들이 친근감을 느끼고 형수가 탈출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길 바랐다.

-의상 이야기도 해보자. 나중에 우비와 장화가 추가되긴 해도 기본 의상은 속옷이 유일하다. 부담스러운 적은 없었나.

=팬티만 10벌 정도 피팅했던 기억이 난다. (웃음) 감독님도 형수가 계속 속옷만 입고 등장하는 게 혐오스럽진 않을까 걱정하셨는데 나는 오히려 그걸 형수의 시그니처로 잘 살리고 싶었다. 형수가 비호감으로 보이지 않게 하려면 앞서 말한 것처럼 친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면 시청자들이 형수의 의상에만 집중하지 않고 극의 전체 흐름에 기반해 바라봐줄 것 같았다.

-형수는 주영, 극렬과 일대일로 붙는 신이 많다. 롱테이크로 촬영하고 공간도 방 하나로 제한될 때가 많다보니 마치 2인극을 보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연기하면서도 재밌었다. 카메라를 보고 대사를 한 적이 한번도 없었으니까. 계속 상대와 눈을 맞추며 대화하니 상대의 호흡에 따라 나 역시 미묘하게 바뀌는 지점들이 생겼다. 있는 그대로 신들이 흘러가니까 마치 무대에 올라가 있는 것 같았다.

-<몸값>의 오프닝 시퀀스는 원작의 상황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하지만 주영과 형수가 만들어내는 리듬감이 완전히 다르다. 앞서 말한 형수의 특성 때문인지 주영과 협상을 시도하는 과정도 조금 어설퍼 보인다.

=원작의 형수와 다르게 이런 걸 해본 적이 없어 긴장해서 그런 거다. 설정상 주영과 형수가 처음 만나는 신이지 않나. 그래서 연습은 많이 하더라도 촬영할 땐 그 순간의 만남에 집중하자고 했다. 즉흥적인 상황에 몰입하다 보니 신의 느낌이 다르다. 전종서의 ‘주영’이 내는 웃음도 색달랐고, 진선규의 ‘형수’가 분노를 발산할 때의 표정도 달랐다.

-형수가 경찰이란 신분을 속이고 성매매 단속을 하러 온 건 맞나. 주영이 제시한 조건이 다르다는 걸 깨달았을 때 단속 나온 경찰치곤 과하게 화를 낸다는 인상이었다.

=(씩 웃으며) 그게 맞는지 아닌지는 끝까지 봐도 모른다. 어디까지가 거짓말이고 진실인지 배우들도 모른다. 그게 이 드라마의 재밌는 점이다. 여기서 처음 하는 얘긴데, 배우들끼리 분석하면서도 말했다. “우리도 모르는 것 자체가 너무 재밌지 않냐”고. 따지고 보면 이 작품은 편집이 가미되지 않은, 실제로 3시간 동안 벌어진 일을 그대로 담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 3시간 동안 인물들이 자신의 전사를 얼마나 진실되게 말했을지는 알 수 없다. 주영에게선 ‘복수를 위해 이런 행동을 했구나’ 하는 흐름이 보이는데 형수는 끝까지 모호하다. 자신을 지키기 위해 경찰이라고 거짓말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극중에서도 형수를 믿는 사람과 믿지 않는 사람들간의 파벌이 생긴다. 이 모호함 속으로 관객도 들어오길 기대하고 있다.

-영화 <공조2: 인터내셔날>, 드라마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몸값> 등 올해 배우 진선규를 만날 수 있는 작품이 많았다. 맡은 캐릭터들에서 어떤 교집합이 읽혔는데, 겉으론 냉철해 보이고 때로 빌런으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나름의 사연과 이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런 인물에게 마음이 가나.

=성선설에 가깝게 생각하는 편이다. <범죄도시>처럼 오롯이 빌런의 악한 면에 초점을 맞춰 연기할 수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맡은 인물에 마음을 넣어 연기하는 게 참 좋다. 그 사람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계기가 아주 작게라도 있었을 거다. 그것에 집중해 연기하다보면 인물에게도 내 마음이 자연스레 입혀진다는 걸 촬영하면서 많이 느꼈다. 형수에게도 그런 점을 담아보려 노력했다. 연기할 때 인간미는, 뺄 수 없는 것 같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