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인터뷰] ‘욘더’ 한지민, “거기 있던 나, 여기 있는 나”
김소미 2022-10-19

한지민은 ‘따뜻하다’는 흔한 관용어를 매우 구체적이고 감탄스러운 실체로 만드는 배우다.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봄밤> <눈이 부시게>, 영화 <조제> 등의 근작은 물론, 누아르풍의 <미쓰백>에서조차 한지민은 비정한 세계를 희석하는 뜨거운 존재였다. <욘더>에서 그가 연기한 차이후는 상실과 애도의 과정 위에 과학적 상상력을 덧대는 SF 장르가 줄곧 호출해온 ‘죽은 아내’라는 점에서 원형적 캐릭터이지만, 실재하는 인물과 가상 세계의 아바타를 여러 층위로 가르는 세심한 연기로 어느새 마음의 온도를 높인다.

-동시대 한국 멜로드라마의 중요한 초상이다. 그동안 여러 멜로드라마 장르의 작품들을 경험했는데, 이준익 감독이 첫 OTT 시리즈로 만드는 사랑 이야기는 무엇이 다르던가.

=<욘더>가 주는 여운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나 이별로 인한 아픔, 슬픔보다는 인간의 죽음을 본질적으로 고민하는 쪽에 가까웠다.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나라면 욘더라는 공간을 선택할까 같은 질문을 넘어서는, 더 큰 명제가 있다고 느꼈다. 감독님도 자주 하신 말씀인데, 행복한 기억으로만 만들어진 세상에서 살아갈 때 과연 우리는 정말 행복하기만 할까, 똑같은 행복이 매일 지속된다면 그게 정말 행복일까, 그런 질문이 녹아든 작품이다. 배우인 나의 감정도 사랑하는 연인들의 관계를 현실적으로 파고드는 일반적인 멜로드라마를 할 때와는 다를 수밖에 없었다.

-욘더에서의 차이후와 재현(신하균)의 플래시백으로 등장하는 차이후는 대사 처리 방식이나 표정에서 관객이 미묘하지만 확실한 차이를 감지하게끔 설계되어 있다.

=이준익 감독님과 꼭 작업해보고 싶은 마음까지 더해져 아주 흥미롭게 읽긴 했지만, 감정 지문이 전혀 없는 시나리오라 처음엔 막막했다. 욘더의 차이후가 진짜인지 가상의 존재인지 아니면 욘더를 사후 세계로 바라봐도 될지 등등 하나부터 열까지 물음표투성이였고, 계속해서 곱씹어보게 됐다. 이를테면 재현에게 보내는 첫 초대장 편지에서 어떤 톤으로 이야기해야 할지부터 내 안에서 명쾌하지 않았달까. 많이 열려 있던 대본이라 배우가 직접 채워야 하는 부분들이 많아서 처음에는 겁도 났다. “왔어? 기다렸어”라는 대사 한마디의 톤을 놓고도 오래 고민할 정도였는데, 리딩하는 과정에서 재현의 반응을 흡수해 거기에 맞는 리액션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는 판단이 섰다. 관객은 재현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혼란스럽고 갈등하는 재현의 반응이 자연스럽도록 이후를 만들려고 했다.

-반복되는 “나 여기 있어”라는 말처럼 이후의 대사는 간결하고 문학적이다.

=‘여보 난 사실 죽은 게 아니야’ 하는 식으로 호소하는 게 아니라 ‘나 여기 있어’라고 말해야 상대인 재현이 욘더에 더 오고 싶어지지 않을까? 욘더 속 이후의 대사는 문학적이고 비현실적인 부분들도 있어서 더 많은 해석의 여지가 주어진다고 느꼈다. 그런 대사들에 힘입어 표정을 많이 쓰지 않고 의도적으로 조금 다른 이후를 만들어냈다. 어떤 팬은 “처음 보는 AI 연기”라고 해주시더라. (웃음)

-1화 초반에 이후는 욘더로 건너간다. 이미 죽은 사람을 연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아닌가.

=그렇다. 한번도 상상해보지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감독님과 이야기를 나누며 욘더가 기억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이라한들 그 안에서 만난 이후는 살아 있을 때 재현과 나누었던 감정의 연속선상에 있다는 사실만큼은 분명하다고 생각하고 연기했다. 바이앤바이에서 처음 만나는 초반과 다르게, 이후 점차 욘더에서 함께 시간을 보낼수록 감정이 증폭된다. 슬프게 헤어졌다가 다시 만난 사람들처럼.

-죽음과 관련된 현실적인 질문들을 제기하는 근미래 SF라는 점에서 배우로서가 아니라 인간 한지민으로서도 ‘만약 나라면?’이라는 질문을 던져볼 법하다. 워낙 가족적 배경이 돈독하고 주변 사람들과 화목하게 교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한데.

=개인적으로 이 작품과 쉽게 접속할 수 있었던 것은 어린 나이부터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할머니, 할아버지와 같이 살다보니 항상 두려웠다. 두분이 사라지실까봐. 사람이 죽는다면 어디로 가는 건지 정말로 궁금하기도 했다. 살면서 맨 처음 돌아가신 분을 마주했을 때가 할아버지의 모습이었는데, 정말 말도 안되는 거다. 엊그제까지 나랑 이야기도 했는데…. 미동 없는 차가운 손을 만지는데 순간 너무 무서웠고, 또 그 무서운 감정이 든 게 할아버지한테 너무 미안했다.

-어린 시절부터 조부모와 함께하며 일찍 조숙해졌을 것 같다. 배우가 되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헤아리는 데 영향을 끼쳤을까.

=어릴 때부터 애늙은이라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내가 딱히 성숙한 사람이라곤 생각하지 않지만. (웃음) 다만 조부모님, 부모님, 그리고 형제까지 가족 안에서 여러 관계를 매일 두루 경험하면서 자란 것이 내게 훨씬 더 많은 감정의 스펙트럼을 안겨준 건 사실이다. 고등학생 때 가정환경조사를 했는데 우리 가족의 장점을 쓰는 칸에 “할머니, 할아버지랑 사는 것”이라고 썼다가 선생님이 그게 장점이 맞냐고 되물으신 적이 있다. 나한테는 정말 행복이었다. 복작복작한 가족의 시간들이.

-팬덤의 성향이 곧 그 배우와 닮아 있다는 생각을 한다. 오래된 팬은 물론 <미쓰백>을 분기점으로 젊은 여성 팬이 늘어났고 유독 다정한 응원들이 많이 보인다.

=내가 어떤 선택을 했을 때 ‘다 이유가 있겠지’라고 믿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나를 버티게 해준다. 팬들을 생각하면 항상 내 옆으로 엄청나게 아군이 많이 서 있는 이미지를 떠올린다. 여성 팬들은 어쩌다 인파가 몰리는 상황이 생기면 나를 챙기고 또 서로 배려하느라 오히려 물러서시더라. 그런 마음들이 참 놀랍고 감사하다. 사랑에 화답하려면 그분들이 보람을 느끼고 자랑스럽게 여기도록 계속 연기를 잘하는 수밖에 없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사진제공 티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