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도서
리믹스에 의한, 리믹스를 위한
2001-11-15

<물랑루즈> O.S.T

19세기 말, 이른바 ‘벨 에포크’(Belle Epoque)시대의 퇴폐와 자유의 상징인 ‘물랭루주’는 따지고 들어가다 보면 제국주의의 산물이기도 하다. 식민지에서 건너온 은화로 사람들은 흥청거릴 수 있었고 그 속에서, 그 분위기와 일정하게는 연루된 채로, 정서적으로는 대치상태 속에서 예술가들은 보헤미안적인 삶을 살며 압생트를 마실 수 있었다. 거기서 모던이 나왔다. 그리고 100년이 지났다. 영화 <물랑루즈>는 그 100년이라는 시간적 간격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두 시간대의 ‘세기말’을 덧대어 놓음으로써 그 100년에 관해 유쾌하게 성찰하고 있다. 100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을까? 지성, 혁명, 전위의 시대를 거쳐 팝의 늪을 건너 혼성모방의 시대에 이르렀다. 그러고나서 서양사람들이 얻은 결론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진실은 없다’는 것이다.

마치 고담시를 연상케 하는 음울함을 지닌 공간으로 설정된 <물랑루즈> 속의 물랭루주는 ‘진실 없음’의 공허를 드라마화하는 데 봉사하고 있는 공간이다. 이런 시대의 최고의 방법론은, 자주 말하지만 ‘병치’이다. 논리적 연쇄없이 여러 상이한 의미망을 지닌 텍스트들, 스타일들을 겹쳐놓는 것 말이다. 이 영화의 음악은 특히 그렇다. ‘빠--빠빠빠밤’ 하는 캉캉 춤의 멜로디가 100년 뒤, 얼터너티브의 화신인 너바나의 <Smells Like Teen Spirit>와 이유없이 만난다. 그 ‘너바나’는 또 원래 너바나도 아니다. 하우스 리듬으로 재편집된 너바나다. 다시 말해 ‘리메이크’된 너바나다. 그렇게 정확한 ‘나’ 아닌 것들이 만나는 방식은 충격적이기도 하고 우울하기도 하며 또 그래서 신선하기도 하다.

너바나는 다시 <Voulez-Vous Couchez Avec Moi>(나와 함께 잘래요?) 하는 프렌치 팝과 이유없이 덧대어지고 그런 연쇄는 계속된다. 이유없이? 노. 이유가 하나 있긴 하다. 바로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이 단 하나의 이유이다. 그 쇼는 더이상, 영화 속의 벨 에포크 예술가들이 외치는 ‘자유와 아름다움과 진리와 사랑’의 쇼가 아니다. 영화 속의 작가(이완 맥그리거)는 마치 ‘사랑’을 신비화시키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실은 ‘계속되는 쇼’ 앞에서 무기력한 상태이다.

이 영화는 너무나 현란해서 나중에는 그 현란함에 둔감하게 될 정도로 현란한, 잘 짜여진 쇼를 계속 보여주는데, 그중에서도 폴리스의 히트곡 <Roxanne>와 탱고를 겹치는 대목은 압권이다. 내러티브상에서도 중요한 구실을 하는 이 장면은 극중극과 영화 자체의 서술구조가 치밀하게 얽히는 드라마틱한 부분이다. 영화가 자기 속에서 드라마를 만들어나가고 영화의 서술구조 자체가 그 ‘결말’을 기다린다. 그리고 그 결말은 다시 관객이 기다리는 영화의 표면적 결말이기도 하다. 그런 식으로 ‘병치’는 ‘반추’와 이어진다. ‘반추’ 역시 진실없는 시대의 주된 테마이다. 반추할수록 진실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상처를 입힘으로써 구하라’는 역설, 모순이 탄생한다. 그렇게 종용하는 것은 ‘쇼’ 자체이다. 그리고 그 쇼의 뒤에는 ‘공작’이라는 인물로 상징되는 제국주의가 있다. ‘쇼는 계속된다’는 ‘제국주의는 계속된다’와 동의어인 것이다. 100년 전과 다른 것은, 이젠 ‘사랑과 진실과 아름다움’ 따위를 말할 수 없게 되었을 뿐이다.

그러고보면 요새는 정말 ‘리믹스’시대이다. 이 영화는, 특히 음악에서 그렇듯, 100년 동안 나온 거의 모든 대중문화적 텍스트들을 과감하게 리믹스하고 있다. ‘이것은 진실이다’라고 내 입으로 똑똑히 말할 수 없는 그 자리에서 침묵의 언술 행위인 리믹스가 예술 행위의 핵심으로 자리잡는다. 영화감독이나 누구나 할 것 없이, 이 시대의 예술가들은 그래서 모두 DJ인 것이다.

성기완/ 대중음악평론가 creole@hite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