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초이스 > 도서
<하이힐> O.S.T
2002-08-29

애절하고 격정적인 신파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1991년작 <하이힐> 역시 그의 다른 영화들처럼 일종의 신파극이다. 빨강, 파랑, 노랑, 화려한 색깔의 화면배치처럼 인물들이 표출하는 감정도 적나라하고 화려하다. 그의 신파극은 그런데 일반적인 사회적, 성적 통념들을 지우고 뒤집는 방향으로 심금을 울린다. 그는 동성애, 근친상간, 살인, 질투와 배신 등에서 삶의 다이내믹한 힘을 끌어낸다. 흥미로운 것은 통념상 부정적인 그것들이 나중에는 사랑의 원천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결국 그의 영화세계는 성과 속, 높음과 낮음, 고귀함과 천함이 뒤집히며 섞이는 바흐친적 의미에서의 축제의 장이 된다. 그의 영화는 그런 방식으로, 순진하기 이를 데 없으면서도 포스트 모던하다.

그의 영화에 쓰이는 음악들도, 특히 <하이힐>에서는 더욱, 신파스럽다. 전통적인 스페인의 가요인 칸시온을 직접 골라 영화에 쓰고 있다. 여가수인 어머니의 노랫소리는 스페인의 명가수 루즈 카살의 목소리이다. 흐느끼는 듯한 격정적인 창법으로 관객의 가슴에 직접 호소하는 그녀의 목소리가 영화의 분위기를 처절할 정도의 신파로 만들어버린다.

그 이외의 오리지널 스코어는 흥미롭게도 일본 사람 류이치 사카모토가 맡았다. 류이치 사카모토의 음악세계는 매우 폭이 넓다. 일본의 전설적인 테크노밴드 YMO를 이끌 때만 해도, 그의 음악은 크라프트베르크풍의 일렉트로니카였다. 그러나 그는 일렉트로니카적인 바탕에 월드음악적 요소를 결합하는 데 성공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획득한다. 사실 그의 동양적 향취가 깃든 월드뮤직풍 전자음악은 과대평가된 면이 없지 않다. 그렇게 된 데는 일본이라는 나라의 엄청난 (그리고 유별난) 홍보력과 열성적인 지지가 우선 컸을 것이고, 또 서양사람들의 오리엔탈리즘도 상당히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것을 감안하더라도 어느 장르의 음악이라도 소화하는 그는 대부분 스탠더드 이상의 결과를 뽑아낸다. 재능있는 음악가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 영화의 도입부에 쓴 음악은 길 에반스와 함께 <스페인 스케치>을 만들던 때의 마일즈 데이비스와 거의 흡사하다. 첫 느낌은, 일본음악을 들을 때 늘 느끼는 것이지만, ‘참 그럴듯도 하네’ 하는 것. 이 정도면 마일즈 데이비스가 살아 돌아와서도 박수를 칠 만하다. 전체적으로 <스페인 스케치>의 분위기를 음악 전개의 모티브로 삼고 있다. 탁월한 선택이다. 일본 사람인 그가 스페인 전통음악을 들려줄 것도 아니고, 스윙감 있고 쿨한, 약간은 스탠더드화된 이런 스페인적 느낌이 딱이다. 게다가 ‘라운지’적이라는 점에서 이 스타일은 사카모토의 다른 음악들과도 맥이 통한다.

류이치 사카모토는, 일단 하나의 장르를 정하고 나면, 그 장르가 ‘되어버린다’. 최근에는 브라질의 모렐렌바움 부부와 함께 보사노바의 태두인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의 곡들을 녹음하여 음반으로 발매했는데, 아예 브라질로 건너가서 조빔의 집에서, 그것도 조빔이 쓰던 피아노를 가지고 녹음했다고 한다. 그 정신은 물론 재력과 인맥이 바탕이 되어야 실현 가능한 것이긴 하지만(브라질에서의 일본 돈의 영향력), 그 정신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일본 문화의 특이한 점이다. 알모도바르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분장이나 마스크, 얼굴 지우기 같은 테마가 사카모토의 얼굴 지우기와 묘하게 맞아떨어진다.성기완/ 대중음악평론가 creole@hite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