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영화읽기 > 영화비평
소피아 코폴라의 <매혹당한 사람들>, 사악한 양념을 뿌린 우아한 코미디 오브 매너

무엇이 먼저였을까?

<매혹당한 사람들>(2017)

일반론으로 접근한다면, 클로드 샤브롤의 <마담 보바리>(1991)가 빈센트 미넬리의 <마담 보바리>(1949)의 리메이크가 아니듯, 소피아 코폴라의 <매혹당한 사람들>(2017)은 돈 시겔의 <매혹당한 사람들>(1971)의 리메이크가 아니다. 두 <마담 보바리> 영화가 나오기 전에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원작이 있는 것처럼 두편의 <매혹당한 사람들> 이전엔 원작인 토머스 컬리넌의 동명 원작 소설이 있다. 그러니까 같은 소설을 각색한 두편의 독립된 영화인 셈이다.

하지만 일반론은 둔탁한 도구이며 세상이란 게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기억되기 위해 굳이 영화들이 필요하지 않은 플로베르의 소설과 달리 토머스 컬리넌의 작품은 지금까지 돈 시겔 영화의 원작으로만 기억되어왔다. 이 소설이 앞으로 지금까지 나온 두 영화로부터 독립된 작품으로 기억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무엇보다 소피아 코폴라가 이 소설을 읽은 것은 돈 시겔의 영화를 보았기 때문이며 코폴라의 영화엔 돈 시겔의 영화와 일대일로 대결하려는 노골적인 의도가 보인다. 여전히 원작의 존재를 잊어선 안 되겠지만 그저 같은 소설의 다른 해석일 뿐이라며 돈 시겔의 영화를 밀어놓고 코폴라의 영화만을 다룬다면 많은 것을 놓치게 된다.

두 영화가 공유하는 <매혹당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무엇인가. 부상당한 북군 병사 존 맥버니는 판스워스 여자 기숙학교에 은신한다. 학교의 여자들은 처음엔 간단한 치료만 하고 남군에게 포로로 넘기려 하지만 생각을 고쳐먹고 선량한 기독교인답게 병사가 포로수용소를 견딜 만큼 건강이 회복될 때까지 학교에 머물게 한다. 그러는 동안 존과 학교 여자들 사이엔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는데 이는 성적인 욕망으로 발전하며 결국 파국으로 이어진다.

무슨 짓을 해도 주인공이었던 이스트우드의 존 맥버니

컬리넌의 원작이 무엇을 의도했건 간에 돈 시겔의 영화는 노골적인 선정물이다. 60, 70년대 할리우드 남성미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클린트 이스트우드를 여자들만 있는 저택에 포로로 집어넣는데 그 건물의 거의 대부분의 여자들이 그와 자고 싶어 한다. 여기까지는 그에게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 여자들의 징그러운 욕망과 질시가 뒤섞이면서 그의 남성성은 조금씩 위협받고 결국은 파괴당한다. 이 부분은 당연히 호러다. 한마디로 당시 선정영화 제작자들이 여자들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가 총동원된 셈이다. 섹스와 호러의 비율만 본다면 <매혹당한 사람들>은 비슷한 시기에 많이 나왔던 여자 뱀파이어 소재의 고딕영화와 크게 다를 게 없다. 세상에서 가장 당연한 일이지만, 돈 시겔 영화의 중심은 클린트 이스트우드다. 제럴딘 페이지, 엘리자베스 하트먼, 조 앤 해리스는 모두 좋은 배우들이지만 이스트우드의 스타성에 비하면 이들은 모두 조연급이다. 조연급이라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건 관객의 기계적인 감정이입의 방해 없이 영화 안에서 무엇이든 될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그리고 이들은 영화에서 모두 잠재적인 괴물들이다. 남자와 자고 싶어 해도 괴물이고 처녀여도 괴물이고 어린애여도 괴물이다.

이스트우드의 몸을 빌린 존은 무슨 짓을 해도 주인공이다. 그가 하는 짓을 보라. 까마득한 미성년자를 포함한 주변의 모든 여자들에게 수작을 걸고 바로 그 여자들을 위협하고 배반하고 모욕하고 심지어 어린 여자아이의 애완동물까지 죽인다. 물론 관객이 그의 이 모든 행동에 동의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돈 시겔의 영화는 그런 행동에도 불구하고 존을 주인공으로 하고 그런 그에게 감정이입하도록 맞추어져 있다. 이 영화의 쾌락과 호러는 그의 관점에서 보지 않으면 성립되지 않는다.

소피아 코폴라가 자기만의 <매혹당한 사람들>을 찍는다고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어리둥절했던 것도 이 정도면 이해가 될 것이다. 시겔을 통해 익숙해진 이야기는 우리가 아는 소피아 코폴라의 세계에 제대로 이식되지 않는다. 남자들의 거세공포증을 다룬 소피아 코폴라의 영화라? 하지만 코폴라는 정말 자기만의 <매혹당한 사람들>을 만들었고 그건 정말 돈 시겔 영화의 모든 부분을 장갑처럼 뒤집는 영화였다.

코폴라 영화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역사성의 제거다. 물론 남북전쟁이라는 배경은 그대로 남는다. 하지만 코폴라는 시겔이 상당한 공을 들여 재현한 역사의 디테일 대부분을 지워버린다. 가장 눈에 띄는 제거는 학교의 흑인 노예 할리의 캐릭터를 없애버린 것이다. 이 이야기와 역사의 접점은 영화가 진행될수록 점점 약해져버린다. 기숙학교는 외부 세계와 역사로부터 고립되고 남북전쟁이 아닌 어디여도 그럴싸하게 먹히는 이야기가 된다. 전쟁의 역사는 남자들의 이야기다. 이것이 축소되면 ‘여자들의 세계에 부상당한 남자가 들어왔다’라는 설정이 남북전쟁이라는 배경을 눌러버린다.

그다음에 눈에 띄는 것은 스타 캐스팅의 활용이다. 시겔의 영화는 이스트우드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콜린 파렐도 국제적인 명성을 쌓은 스타지만 이스트우드만큼은 아니다. 게다가 그의 주변을 둘러싼 여자배우들, 그러니까 시겔의 영화에서 성격파 조연들이 연기했던 캐릭터를 맡은 배우들이 니콜 키드먼, 커스틴 던스트, 엘르 패닝이다. 심지어 이 영화의 포스터에서는 파렐이 나오지도 않는다. 이들은 스타일뿐만 아니라 코폴라의 카메라 터치를 받아 영화 내내 기가 막히게 아름답다. 시겔 영화의 논리를 따른다면 이들은 그렇게 아름다울 필요가 없는데도 말이다.

시겔과 코폴라의 영화는 상호보완적이다

아름다운 스타들은 어떤 존재인가. 그들은 자족적이다. 시겔의 영화를 보는 사람들은 제럴딘 페이지가 연기하는 판스워스 교장이 무언가가 결핍된 삶을 사는 여자라고, 그것을 이스트우드의 몸을 빌린 캐릭터로 채우려고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같은 캐릭터를 니콜 키드먼이 연기한다면, 시겔이 심술궂게 묘사한 과거사를 모조리 지워버린다면 사정은 완전히 달라져버린다. 코폴라의 판스워스 교장은 훨씬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존재한다. 그건 ‘처녀’ 선생을 연기하는 던스트나 ‘방탕한’ 학생을 연기하는 패닝도 마찬가지다. 시겔의 영화에서 이들을 달아오르게 하고 서로를 질투하게 하고 추하게 만들었던 동력 자체가 사라져버린다. 이 상황에서 파렐의 존 맥버니는 있어도 좋고 없어도 크게 부족하지 않은 존재가 되고 이야기를 끌어가는 여자들의 욕망은 역겹고 기형적인 무언가가 아닌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상이 된다. 심지어 파렐은 이스트우드처럼 자신의 남성성과 폭력성을 충분히 과시할 기회도 얻지 못한다. 그는 그냥 하찮아진다.

앞에서 말했듯, 시겔의 영화는 거세공포증에 대한 영화였다. 당연히 그의 영화 속에 존이 상징적인 거세, 그러니까 다리 절단을 당하는 장면은 꼼꼼하고 자세하게 묘사된다. 하지만 코폴라는 이 장면을 가볍게 건너뛴다. 코폴라의 영화에서 수술 장면으로 남자들의 공포를 자극하는 건 의미가 없다. 존은 시겔과 이스트우드에서 코폴라와 파렐로 넘어가면서 이미 지킬 남성성을 잃었으며 새 판스워스 학교의 여자들은 그에게 별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시겔이 과장된 멜로드라마와 호러로 그린 여자들의 세계는 이제 살짝 사악한 양념을 뿌린 우아한 코미디 오브 매너가 되었다.

시겔과 코폴라의 영화는 상호보완적이다. 선정적이라고 했지만 시겔의 영화는 분명 우리가 거쳐온 역사의 거친 어두움을 담고 있으며, 코폴라의 영화만 보고 이 디테일을 지나치는 건 아쉽다. 하지만 누가 알겠는가. 시겔과 이스트우드와 같은 남자들을 통하기 전 그 세계가 원래부터 코폴라의 세계에 더 가까운 곳이었는지. 그들이 느낀 과장된 혐오와 공포 때문에 그 당연함을 지나쳤는지.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