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인터뷰] 달려라,이 세상 끝까지!, <달려라 하니> 원작자 이진주 작가
이자연 2025-10-10

마른 체구와 작은 키에도 남들에게 쉽게 지지 않는 악다구니를 쓰는 아이. 그러나 마음 한켠엔 돌아가신 엄마를 그리워하는 짙은 외로움을 품은 아이. 하니가 품은 서사와 설정은 이 작은 소녀를 끌어안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1985년 <보물섬>에 처음 연재를 시작한 <달려라 하니>는 3년 뒤 여름, KBS2에서 국산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오직 달리는 것 외에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몰랐던 여자아이는 스승 홍두깨를 만나, 자신을 지지하는 창수를 만나 비로소 외연을 넓히기 시작한다. 이제 하니는 고등학교 교복을 입는다. 처음 보는 낯선 모습을 통해 창작 IP로서 <달려라 하니>의 가능성은 입증되기에 충분하다. 새 관객을 만날 채비를 마친 하니를 다시 들여다보기 위해 그를 사랑으로 낳고 기른 원작자 이진주 작가와 서신을 주고받았다.

사진제공 이진

- <달려라 하니>40주년을 맞이하여 나애리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극장판이 탄생했다. 처음 이 제안을 받았을 때를 기억하나.

<달려라 하니>가 잡지 연재를 거쳐 TV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고, 이제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나오기만 기다리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게 내 마지막 꿈이었다. 처음 제안을 받았을 때 하니와 함께 애리가 공동 주연으로 등장한다는 사실이 내게 신선한 도전이자 충격으로 다가왔다. 원래 <달려라 하니>는 ‘새벽을 달리는 나애리’로 구상되었다. 그런데 당시에 하니 캐릭터가 인기를 얻으면서 출판사의 요구대로 중학생 하니가 주인공이 되었다. 그 바람에 조연으로 밀려난 애리에게 미안한 마음이 많았다. 이제야 그 빚을 갚을 수 있어 행복하다.

- 원작자로서 <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의 시나리오에 의견을 보태기도 했나.

<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의 스토리 구성에는 깊이 관여하지 않았다. 다만 <달려라 하니>속 원작 캐릭터의 성격과 개성이 왜곡되지 않도록 오직 감수만 했다.

- 2025년의 하니와 애리는 Z세대로 발돋움해 있다. 버즈를 끼고 음악을 들으며 달리는 애리, 고등학교 교복을 입은 하니 등 다음 세대로 전환된 인물들을 어떻게 바라보았나.

아무리 시대가 흐르고 환경이 변해도 한창 자라는 10대 청소년이 배우는 우정, 사랑, 인격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과거엔 쉽게 표현하지 못하고 감추었던 감정을 이 시대 어린 세대가 마음껏 표출할 수 있는 용기와 힘을 가지면 좋겠다.

- 반면 <달려라 하니>원작에도 당대성이 포함돼 있다. 혼자 사는 하니는 지금이었다면 청소년 복지를 통해 쉼터 지원이나 보급품을 받았을 테고, 일정 거리가 생겨난 요즘과 달리 따뜻하게 연결된 사제지간도 당대의 풍경을 잘 보여준다.

작가로서 그 당시 나의 바람은 아무런 계산 없이 아껴주는 사랑이야말로 성장기를 거치는 아이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는 것이었다. 시간이 흘러 현시대를 살아보니 더더욱 절감한다. 오직 과거의 감정에 의지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친구와 동료, 선생님과 제자 등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쌓아가는 성숙한 수용이 또 다른 감동을 안겨준다.

- 한편의 작품은 다음 세대에게 계속 곱씹어지고 이야기되면서 생명력을 이어가는 듯하다. <나쁜 계집애: 달려라 하니>로 <달려라 하니>를 처음 접할 어린 세대에게 하니와 애리가 어떻게 다가가길 바라나.

자신이 처한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는 진정한 용기와 따뜻한 우정, 조건 없는 사랑의 무게는 언제든 한결같다고 생각한다. 하니와 애리를 처음 접하는 모든 분들에게 이 지점이 잘 전달되면 좋겠다. ‘우리’라는 울타리 안에서 나는 어떤 존재인가, 그 메시지가 가닿길 바란다.

- 이번 영화에서 창수가 너무 잘생기고 멋있어졌다. (웃음) 완벽해진 창수를 어떻게 바라보았나.

코흘리개 찡찡이가 멋진 청년으로 성장하다니. (웃음) 이 모습을 볼 수 있어 참 기뻤다. 사실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좋아하는 사람에게 진심을 다하는 열정과 그 사람을 위하는 순수한 사랑이 창수 안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게 가슴 뭉클했다. 나도 그런 창수를 제일 좋아한다.

- 개인적으로 <달려라 하니>만큼 <천방지축 하니>도 좋아했다. 왼발 깽깽 오른발 깽깽, 우리의 <천방지축 하니>는 대중을 만날 기회가 없을까.

<달려라 하니>나 <천방지축 하니>모두 나의 분신이자 내 딸들이다. 이렇게 돈이 부족한 아빠를 만나 미안한 마음뿐이다. 돈을 많이 들여 꾸미고 치장해서 세상에 자랑스럽게 내놓고 싶은 마음만은 정말이지 굴뚝같다.

- <달려라 하니>TVA가 방영되던 당시, 하니의 인기를 실감한 에피소드가 있다면.

<달려라 하니>이전에도 청소년 대상으로 ‘하니 시리즈’를 여러 편 발간했는데 그럴 때면 팬레터가 매일 라면 박스로 한 박스씩 배달됐다. 우체부 아저씨께 정말 죄송했다. (웃음)

- 올해 한국 장편애니메이션이 연이어 개봉했다. <퇴마록>부터 <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까지, 작가가 생각할 때 한국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이 주축을 이루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달려라 하니>가 중학생에서 고등학생이 되기까지 40년이 걸렸다. 그동안 다른 집 자식들은 수백억원씩 공들여 세계를 넘나드는 축제를 벌이는데, 우리 하니는 그 예산의 몇십분의 일도 안되는 비용으로 이토록 아름답게 빚어졌다. 이 자리를 빌려 제작진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다. 그래도 아직 희망을 품는다면 출판과 잡지가 다시 부흥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깊이 있는 서사를 보여줄 수 있는 끈기 있는 작가들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제대로 된 연출과 튼튼한 기본기를 지닌 다음 세대의 작가들을 만나길 기도한다.

- 마지막으로 이진주 작가의 서정적이고 용기를 잃지 않는 인물들을 사랑하는 오랜 독자들에게 한마디를 남긴다면.

잊지 마세요.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용기와 서로를 감싸는 참된 우정, 세상을 아우르는 진정한 사랑은 시대가 바뀌어도 변함이 없습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