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기획] <홍김동전>, 이대로 보낼 수 없다, <홍김동전> 박인석 PD와의 대화로 살핀 레거시 미디어의 현재
이자연 사진 최성열 2024-01-25

KBS2 <홍김동전>이 막을 내렸다. 2022년 7월21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2024년 1월18일 마지막 회를 방영했다. 1년6개월여 동안 총 70부의 에피소드가 완성됐고 홍진경, 김숙, 조세호, 주우재, 장우영까지 출연진 변동 없이 완주를 마쳤다. 어떤 면에서 <홍김동전>의 폐지 수순은 당연한 결말처럼 보인다. 프로그램 최고 시청률은 3%대에 그쳤고 최저 시청률은 0.8%에 달한다. 일요일 밤에서 목요일 밤으로 편성을 변동하는 시도가 더해지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평균 시청률 1~2%를 넘어서지 못했다. 방송국 입장에선 시청자로부터 외면받은 프로그램이라고 해석할 여지가 충분했다. 하지만 KBS2의 결정과 시청자 반응엔 큰 간극이 보인다. <홍김동전> 폐지 소식을 접한 시청자들은 KBS 앞으로 폐지 반대 트럭 시위에 나섰고, 시청자 청원 게시판에도 폐지 반대 청원이 반복해 올라왔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시청자들이 의견 창구로 폐지 반대 트럭 시위를 선택한 점이다. 4050세대가 유선 통화 혹은 인터넷 시청자 게시판 활용이 익숙하다면, 트럭 시위는 상대적으로 연령층이 낮은 2030세대가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아이돌·배우 매니지먼트, 영화 제작사, 게임 회사 등 2030소비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곳 주변에서 트럭 시위를 한번쯤 목격할 수 있던 이유기도 하다. 그렇다면 <홍김동전>이 폐지될 수밖에 없던 시청률 고전과 2030세대의 폐지 반대 트럭 시위 사이에는 어떤 정보 공백이 있는 걸까. 아쉬움 섞인 종영 속에 레거시 미디어가 짊어진 현재를 들여다보기 위해 <홍김동전> 박인석 PD를 만났다. 유튜브, 웹예능, 숏폼 콘텐츠 등 뉴미디어의 질주를 경쟁하며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방송국들의 분투기까지 함께 정리한다.

KBS2 드라마 <프로듀사>에서 <1박 2일> 시즌 조기종영을 앞둔 라준모 PD(차태현)는 자신의 상황을 두고 자조적으로 이렇게 말한다. “방송 시작할 때 보면 돌잔치 같죠? 방송 막 내릴 때 보면 상갓집 같아요. 특히 못 나가는 프로그램 없어질 땐 누구도 상주를 하러 가지 않죠.” 똑같은 상황이라 하기 어렵지만 <홍김동전> 폐지 소식을 통보받은 박인석 PD는 드라마 속 가상의 연출자와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예능 프로그램은 드라마처럼 회차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막을 내린다. 시청자로부터 욕을 먹거나 세상에서 잊히거나. 사실 이렇게 마지막 회차를 준비할 수 있는 건 행운이기도 하다.” 잘될 때에는 기약 없이 제작되지만 주춤할 때에는 무 자르듯 끝맺음하는(혹은 통보조차도 기사를 통해 접해야 하는) 방송국의 관례를 <홍김동전>도 피해갈 수는 없었다.

관찰 예능과 연애 예능이 포화 상태인 지금 <홍김동전>은 겨루고 넘어지고 이기고 지는, 최근 2년 사이에 드물어진 버라이어티 예능이다. 앞면과 뒷면을 예측할 수 없는 동전으로 <홍김‘동전’>의 중심축을 완성했듯, 프로그램은 어떤 것도 쉽게 단언할 수 없는 원초적 즐거움을 구가한다. 누군가는 이를 트렌드와 멀어진 포맷이라 할 수 있지만 반듯하게 포장된 예능 틈바구니에서 느슨한 여유와 친숙함은 시청자를 안락하게 한다. 박인석 PD도 처음 <홍김동전>을 기획할 때 최근 두드러진 성공 공식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히트작을 만들기 위한 공식이 방송가에 은연중 퍼져 있다. 수년 동안 방송 3사의 연예 대상을 수상한 국민 MC, 예능에서 흔히 보지 못했던 배우, 화제성을 끌고 올 수 있는 현역 아이돌, 막내 자리를 맡을 수 있는 비주얼 멤버. 그런 점에서 <홍김동전>은 그 원칙을 깡그리 무시한 프로그램이다. (웃음) <홍김동전>이 태생적으로 지닌 한계가 있다면 아마도 멤버 구성일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명성에 기대어 조금 더 편하게 나아갈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얻는 힘은 지지고 볶고 싸워나가는 <홍김동전> 프로그램의 취지와 일치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멤버들 사이에 자연스레 드러나는 관계성. <홍김동전>은 그걸 선택했다.

<홍김동전>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

‘홍진경 데뷔 30주년 특집’(64회·65회)에서 그 진면목이 특히 두드러진다. <홍김동전>은 그간 남성 희극인의 전유물이었던 데뷔 기념식을 홍진경에게 돌려주며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지향점을 선언한다. 특히 이경실, 이영자, 송은이 등 여성 희극인 중에서도 일인자로 꼽혀야만 드물게 받을 수 있던 극진한 예우를 재치 있는 방식으로, 동시에 그가 지나온 길을 명확하게 짚어내며 시청자의 시야를 확장시켰다. 홍진경은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는 방송인이지만 이상하리만치 업적은 축소된 인물이다. 홍진경이 미니홈피에 써내린 아름다운 수필은 정기적으로 회자되면서도 동시에 <무한도전> ‘바보전쟁: 순수의 시대’ 속 무지한 캐릭터에 묻혀버린다. 이어 김치와 만두로 일궈낸 명석한 CEO 자질은 춤추고 노래하는 모습 속에서 조용히 희미해진다.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게 큰 기쁨”이라는 그의 말마따나 두 상반된 이미지 중 하나만이 홍진경을 대변하는 건 아닐 테지만 그 스스로 얻어낸 성과가 대중에게 주요하게 비쳐지지 않는 건 사실이다. 그리고 <홍김동전>은 그 빈틈을 예리하게 포착했다. 스페셜리스트, 일인자, 국민 MC 등으로 가장 먼저 떠오르진 않으나 긴 세월을 함께해온 안정적인 연예(演藝)인으로서 홍진경을 단상 위에 올렸다. 앳되고 풋풋한 슈퍼모델부터 다정한 가족의 일대기를 그려온 <금촌댁네 사람들>의 촐싹대는 막내딸 이순이, <영자의 전성시대> 속 “안 계시면 오라이~”를 외치는 이영자의 짝꿍까지. 너무 가까운 나머지 잊고 지냈던 친밀한 존재의 의미를 공식화하는 자리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 에피소드는 홍진경의 진가를 알아주는 곳에서만 할 수 있는 이벤트지만, 무엇보다 <홍김동전>이 지닌 장기이자 무기인 ‘수평적 관계’ 없이는 완성될 수 없는 풍경을 펼쳐낸다.

홍진경 데뷔 30주년을 축하해주는 과정에 <홍김동전>은 그가 얼마나 잘난 사람인지, 얼마나 영향력 있는 사람인지 나열하기보다 그가 대중에게 웃음을 주었던 순간들을 정리한다. 그리고 출연진은 그를 위한 축하 공연을 꾸린다. 얼핏 보면 이 과정에서 김숙의 포지션이 애매하게 비칠 수 있다. 희극인 선배이자 연장자가 후배의 데뷔 기념일을 축하하는 역할을 떠안는 모습을 다소 불편하게 바라보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특히 1인 주인공이 없는 예능이라면 한 사람을 앞세우기 더 어렵다. 하지만 김숙의 결정은 확실했다. 누구보다 열성으로 자신을 낮추고 망가뜨리며, 다른 사람들이 기념식 주인공만 신경 쓸 수 있도록 유도했다. 서열과 위계, 조직의 고하로부터 자유로운 <홍김동전>은 어느 누구든 무대 중심으로 내세울 수 있는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었다. 특히 참여자가 열광하면 할수록 의미가 살아나는 데뷔 기념식 컨셉에 출연진의 관계성은 더 빛을 발했다.

“최근 시청자 사이에 재미있는 것보다 좋은 것을 보고 싶어 하는 경향이 보인다. 뭐랄까. 왠지 내가 살아가는 세상이 좋은 세상 같아 보이는 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 같다. 나도 저 무리에 들어가고 싶고, 저 사이에 끼고 싶고, 함께 웃고 싶어 하면서. 그게 우리가 만든 공식이다. 잘나가는 배우나 MC는 없지만 출연진이 살아가는 세계가 활기차 보이고 따뜻해 보이는 느낌은 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원톱 출연자가 없는 게 우리에게 긍정적 전략이 될 수 있었던 이유기도 하다. 특히 ‘홍진경 데뷔 30주년 특집’은 오랫동안 방송가를 지배해온 여성 연예인에 대한 폄하를 깨트리고 싶은 마음이 작용했다. 나아가 희극인을 향한 폄하도 깨트리고 싶었다. 그래서 우리 프로그램엔 유독 개그맨 게스트가 많이 등장했다. 이수지씨, 김혜선씨, 곽범씨…. 재능이 있지만 크게 조명받지 못한 이들을 한데 모아 재미있는 자리를 만드는 게 무척 좋았다. 그게 <홍김동전>이 실천한 다정함이다.”

놓쳐버린 데이터 공백

기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과 달리 서열이나 편 먹기, 고자질과 입씨름이 없는 <홍김동전>은 관습적인 분위기를 어려워하는 젊은 층을 집중 공략할 수 있었다. 가볍고 빠르게 흘러가는 속도와 자막 연출 등도 유튜브와 숏폼 콘텐츠에 익숙한 젊은 세대를 끌어안는 주요 요소가 됐다. 그런데 문제는 <홍김동전>의 주요 타깃인 2030세대의 콘텐츠 소비 패턴과 방송국이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식이 어긋났다는 점이다. 본방사수. 한때 이 말이 유행처럼 사용되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의 ‘많관부’(많은 관심 부탁)와 유사한 활용도를 지닌 말로, 모두가 TV 앞에 앉아 편성 시간표에 맞춰 프로그램을 보던 때 적극적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지금 상황은 많이 달라졌다. 모두가 1인용 디스플레이를 지닌 지금, 일부러 방영 시간에 맞춰 TV 앞에 착석해야 할 필요성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반면 콘텐츠의 화제성은 더 빠르고 멀리 퍼져나갔다. 밈 사용과 온라인 커뮤니티 속 논의, SNS 재게시(RT)를 통한 의견 취합 등 모바일 기반의 콘텐츠 반응이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콘텐츠 소비 패턴이 코로나19 이전과 달라진 2030세대를 주요 시청자로 둔 <홍김동전>에 최고 시청률을 성적표로 내세우는 것은 다소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 돼버렸다.

시청률 고전처럼 보이는 <홍김동전>의 지표는 이 프로그램을 즐기는 이들의 특수한 시청 양상으로부터 나온 자연스러운 결과일 수밖에 없다. 온라인상에서의 화제성과 관심이 시청률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를 제대로 읽지 못한다면 궁극적으로 <홍김동전>이 이끌어낸 어린 세대의 시청자를 놓치게 된다. 이러한 정보 공백을 놓친 상황에 박인석 PD도 아쉬움이 크다. “야구에는 세이버 매트릭스라는 지표가 있다. 선수의 타율, 출루율 등을 정리한 지표로 야구 선수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기준이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선수를 평가하는 지표가 무척 디테일해지고 다양해졌다. 어느 위치에서 공을 잘 치는지, 어떤 구종의 공을 잘 치는지 개별의 특성에 맞춰 선수를 파악하고 보완한다. 나는 이 세이버 매트릭스가 콘텐츠 시장에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프로그램의 특성과 해당 시청자의 성향에 맞춘 더 세세한 지표가 필요하다.”

레거시 미디어의 전략과 방향

KBS2도 내부적 고민이 깊다. 데이터 공백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 OTT 시대의 시청 패턴을 탐색하기 위해 시청자들을 연구한다. 박인석 PD는 어느 날 KBS미디어기술연구소로부터 한통의 전화를 받았다. 웨이브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홍김동전>의 시청자 소비 패턴이 흥미로우니 자세한 내용을 들으러 오라는 것이었다. “30페이지가량의 엑셀 자료를 받았다. 단편적인 시청률 지표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구독자 평균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시청 추이를 시간에 따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동시간대 다른 프로그램보다 <홍김동전>은 젊은 여성들이 보는 프로그램으로 포지셔닝돼 있었다. 한번 본 시청자가 다음 회차로 넘어가는 비율도 높았고, 한 에피소드를 완주하는 비율도 높았다. 웨이브 자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MBC <나 혼자 산다>보다 <홍김동전> 지표가 더 긍정적이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이렇다. ‘<홍김동전>은 젊은 여성 시청자들이 한번 보면 다시 보고, 끝까지 본다.’

유튜브 채널과 OTT 오리지널, 1인 미디어 등 방송국의 경쟁 대상은 더 많아졌고 다각화됐다. 뉴미디어의 분투 속에서 방송국들도 유연하게 변모하기 위해 시동을 건다. “KBS도 느리지만 스스로 변화하기 위해 공부하는 중이다. 다른 방송국들도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JTBC는 <솔로지옥2> <청춘MT> 등을 제작한 시작컴퍼니, <최강야구>의 스튜디오 C1, <히든싱어> <팬텀싱어> 등을 만든 스튜디오 잼까지 레이블 영입에 힘을 쏟는다. SBS는 예능 본부를 스튜디오 프리즘으로 전환한다는 소식을 최영인 본부장이 2023 연예대상 시상자로 나와 밝혔다. 또 MBC는 PD가 독자적인 콘텐츠 프로바이더로서 어떤 작품을 내세우게 될지 주목하게 된다.”

<홍김동전>이 폐지된 이유는 젊은 층이 시청률을 담보해주지 못해서 혹은 방송국이 데이터를 잘못 해석해서라고 일축하긴 어렵다. 수많은 이해관계와 결정 요소가 얽혀 있는 만큼 복잡한 논의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다만 예능적 가치가 높은 <홍김동전>의 폐지가 많은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트렌드를 좇기 바쁜 (혹은 그게 미덕인) 예능 시장에서 꿋꿋하게 자기만의 길을 걸어나간 근성과 강단은 레거시 미디어 관점에서 의미가 있고, 젊은 여성 시청자를 겨냥할 수 있던 출연진간의 수평적 관계와 톤 앤드 매너 또한 콘텐츠적으로 가치가 높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홍김동전>을 보낼 수밖에 없지만 우리에겐 다음의 <홍김동전>이, 또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거시적 판단이 필요하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