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산국제영화제의 폭죽을 보는 게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정말 열리지 않는 걸까.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2016년 3월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1.서병수 부산 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 즉각 실행과 부산국제영화제의 자율성 및 독립성을 보장하는 정관 개정’, ‘2.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 68명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철회와 부산국제영화제 부당간섭 중단’, ‘3.부산국제영화제의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 총회 의결 없는 집행위원장 해촉 등 영화제를 훼손한 일련의 잘못에 대한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한바 있다.” 부산시를 향한 일종의 최후통첩인 셈이었는데 부산시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부산시는 “오히려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유지하였고, 법원의 인용 판결을 얻어 임시총회를 통한 정관 개정을 무산시켰다.” 비대위는 “부산국제영화제가 6개월도 남지 않은 시점에 이런 극단적인 결정을 하게 된 것은 유감스럽지만,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보장,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영화인들이 참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지켜져 영화제가 정상적으로 개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등 9개 영화 단체로 구성된다. 비대위는 이달 1일부터 일주일간 SNS와 전화로 소속 회원 전원에게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찬반 의견을 물었다. 단체별로 회원 과반수가 응답했고, 응답자 중 90% 이상이 보이콧에 찬성했다고 비대위는 전했다.
--------성명서 전문--------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 결의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 영화인 비대위’)가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를 결의했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각 단체별 회원들에게 부산국제영화제 보이콧 찬반 여부를 묻는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 중 90% 이상이 보이콧에 찬성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이상 9개 영화 단체는 지난 4월 1일부터 일주일간 SNS와 전화설문을 통해 소속 회원 전원에게 찬반 의견을 묻는 투표를 실시했다. 각 단체별 회원 과반수이상이 응답했고 응답자 중 90%가 넘는 회원이 보이콧에 찬성했다. 영화계가 이렇게 한 목소리를 낸 것은 지난 2006년 스크린 쿼터 축소 반대 이후 10년 만이다. 이는 영화계가 표현의 자유와 영화제의 독립성 훼손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지난 2016년 3월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병수 부산 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 즉각 실행과 부산국제영화제의 자율성 및 독립성을 보장하는 정관 개정’,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 68명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철회와 부산국제영화제 부당간섭 중단’, ‘부산국제영화제의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 총회 의결 없는 집행위원장 해촉 등 영화제를 훼손한 일련의 잘못에 대한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한바 있다. 그러나 부산시는 ‘범 영화인 비대위’가 요구한 세 가지 중 그 어느 것 하나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 부산시는 오히려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유지하였고, 법원의 인용 판결을 얻어 임시총회를 통한 정관 개정을 무산시켰다.
이에 ‘범 영화인 비대위’는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를 결의한 것이다. 2016년 10월 6일로 예정된 부산국제영화제가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이런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은 유감스럽지만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보장 더 나아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 영화인들이 참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부산시의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지켜져 모쪼록 영화제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길 강력하게 바란다.
2016. 04. 18.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부산국제영화제 사태 타임라인 2014년 9월 서병수 부산시장, 세월호 다큐멘터리 상영 철회 요청 영화제, 요청 거부 2015년 1월 부산시, 이용관 집행위원장 사퇴 권고 2월 부산시, 영화제 인적 쇄신 요구 4월 영진위, 영화제 지원 예산 40% 삭감 7월 강수연 공동집행위원장 선출 9월 감사원, 부산시에 정부 지원금 실태 감사 결과 통보 12월 부산시, 감사원 권고로 이용관 집행위원장 검찰 고발 2016년 2월16일 부산시,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신임 불가 입장, 사실상 해촉 2월19일 서병수 부산시장, 조직위원장 사퇴 기자회견 2월25일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신임 논의 없이 영화제 정기총회 개최 신규 자문위원 등 영화계, 정관 개정을 위한 임시총회 개최 요구 3월2일 서병수 부산시장, 신규 자문위원 자격 인정 거부 기자회견 3월15일 부산지법, 신규 자문위원에게 효력 정지 가처분 심문기일통지서 발송 3월21일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부산시에 영화제 보이콧 최후통첩 3월24일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 검찰 출석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146인 지지 기자회견 4월11일 부산지법, 부산영화제 신규 자문위원 위촉 효력정지가처분 인용 결정 4월18일 범영화인 비대위,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 결의
관련기사 BIFF 신규 자문위원 법원 판결, 부산시와 BIFF 공식입장 전문 부산지법, 부산영화제 신규 자문위원 위촉 효력정지가처분 인용결정 정관 개정 방향의 핵심과 신규 자문위원 효력 다툼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감독 146인, 부산국제영화제 지지 성명 발표 이용관 부산국제영화 전 집행위원장, 검찰 출석 부산국제영화제 갈등 최고조, 영화계 보이콧 불사 [국내뉴스] 부산시의 무리한 딴지 걸기 서병수 부산시장 기자회견에 대한 부산국제영화제 공식입장 영화단체연대회의 성명서, “서병수 부산시장, 영화제 운영 개입 말라!” 서병수 부산시장, “BIFF가 누구의 영화제인가” [국내뉴스] 서병수 부산시장의 부산영화제 조직위원장 사퇴, 진정성 있을까 [국내뉴스] 봉준호, 최동훈, 류승완 감독이 뭉쳤다 해외 영화인들 서병수 부산시장 앞으로 공개 서한 보내 부산시, BIFF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선임 않기로
디지털미디어팀 cine21-digital@cine21.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