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열린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긴급 기자회견 현장.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문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제대로 열릴 수 있을까? 부산국제영화제를 둘러싼 부산시와 영화제, 영화계의 갈등이 최악의 국면을 맞았다. 사태를 극단으로 몰고 간 쪽은 부산시다. 영화제측이 “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키기 위해” 위촉한 68명의 신규 자문위원을 부산시가 인정하지 않고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하며 법적 대응을 시작한 것이다. 부산시의 “노골적인 간섭”에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입장을 발표했다. 21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비대위는 “부산시가 영화제의 자율성을 계속 부정한다면 영화인들은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할 것”이라는 성명서를 낭독했다. 한국영화계가 부산영화제 사태와 관련해 부산시에 최후통첩을 전달한 것이다. 비대위는 부산시에 다음 세 가지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1.서병수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태를 즉각 실행하고, 부산국제영화제의 자율성, 독립성을 보장하는 정관 개정에 전향적 자세로 나서라! 2.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 68명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철회하고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부당한 간섭을 중단하라! 3.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 총회 의결 없는 집행위원장 해촉 등 영화제를 훼손한 일련의 잘못을 인정하고 공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 비대위는 위의 요구 사항에 조취를 취하지 않는다면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영화인들을 볼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부산시에 한국영화계의 입장을 전달했다. 비대위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등으로 구성됐다.
부산국제영화제 사태 타임라인 2014년 9월 서병수 부산시장, 세월호 다큐멘터리 상영 철회 요청 영화제, 요청 거부 2015년 1월 부산시, 이용관 집행위원장 사퇴 권고 2월 부산시, 영화제 인적 쇄신 요구 4월 영진위, 영화제 지원 예산 40% 삭감 7월 강수연 공동집행위원장 선출 9월 감사원, 부산시에 정부 지원금 실태 감사 결과 통보 12월 부산시, 감사원 권고로 이용관 집행위원장 검찰 고발 2016년 2월16일 부산시,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신임 불가 입장, 사실상 해촉 2월19일 서병수 부산시장, 조직위원장 사퇴 기자회견 2월25일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신임 논의 없이 영화제 정기총회 개최 신규 자문위원 등 영화계, 정관 개정을 위한 임시총회 개최 요구 3월2일 서병수 부산시장, 신규 자문위원 자격 인정 거부 기자회견 3월15일 부산지법, 신규 자문위원에게 효력 정지 가처분 심문기일통지서 발송 3월21일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부산시에 영화제 보이콧 최후통첩
관련기사 [국내뉴스] 부산시의 무리한 딴지 걸기 서병수 부산시장 기자회견에 대한 부산국제영화제 공식입장 영화단체연대회의 성명서, “서병수 부산시장, 영화제 운영 개입 말라!” 서병수 부산시장, “BIFF가 누구의 영화제인가” [국내뉴스] 서병수 부산시장의 부산영화제 조직위원장 사퇴, 진정성 있을까 [국내뉴스] 봉준호, 최동훈, 류승완 감독이 뭉쳤다 해외 영화인들 서병수 부산시장 앞으로 공개 서한 보내 부산시, BIFF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선임 않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