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부산시, BIFF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선임 않기로
씨네21 데일리팀 2016-02-16

부산국제영화제(BIFF)의 파행이 예상된다.

부산시가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재선임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스타뉴스> <경향신문> <부산일보> 등의 보도에 따르면 영화제 측은 오는 25일 정기 총회를 통해 이 위원장의 재선임 여부를 결정하자고 부산시에 요청했다. 이 위원장을 재선임하지 않기로 결정한 부산시는 정기 총회 일정 자체를 잠정 보류했다. 만약 2월 중 정기 총회가 열리지 않을 경우 이 위원장은 3년의 임기가 만료돼 위원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사실상 해촉인 셈이다.

부산시와 영화제의 갈등은 지난 2014년 제19회 부산영화제에서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에서 시작됐다. 서병수 부산시장이 상영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고 영화제는 응하지 않았다. 이후 부산시는 이 위원장의 사퇴를 종용했다. 지난해 강수연 공동집행위원장 체제로 갈등 국면이 진정되는 듯 했다. 11월 영화제 이후 부산시가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토대로 이 위원장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양측의 갈등이 다시 고조됐다.

이 위원장은 영화제 출범부터 지금까지 일해온 인물이다. 공동집행위원장 3년, 단독 집행위원장 6년 등 9년간 위원장 직을 수행했다. 국내외 영화계는 부산시가 이 위원장을 검찰에 고발한 이후 부산시가 영화제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훼손하고 있다며 ‘#ISUPPORTBIFF’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부산시의 이번 결정으로 이 위원장이 위원장 직에서 물러나게 될 경우, 국내외 영화인들의 영화제 보이콧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작품 출품을 거부하는 것이다. 또한, 영화제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래머 등 스탭 동반 사퇴도 가능하다. 토니 레인즈가 <씨네21> 1041호에 특별기고한 글 "부산국제영화제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을 지켜보며"에서도 이와 같이 예상한 바 있다.

영화제에 상영할 프로그램 확정 발표 시점까지 6개월 남짓 남았다. 이대로 이 위원장이 물러난다면 올해 영화제가 제대로 열릴 수 있을지 미지수다. 20년을 이어온 BIFF의 위상이 한순간에 사라질 지도 모르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