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유하 "'쌍화점'은 장애 극복 멜로드라마"
2008-11-25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영화 '쌍화점'의 유하 감독은 25일 서울 장충동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제작보고회에서 "성 정체성이라는 장애를 두고 3명의 남녀 주인공들이 감정의 극단을 오가는 멜로드라마"라고 영화를 정의했다.

다음 달 30일 개봉하는 '쌍화점'은 원나라의 억압을 받던 고려말을 배경으로 왕위 찬탈의 음모 속에서 사랑과 배신으로 엇갈려 서로에게 칼을 겨누게 된 왕(주진모)과 호위무사 홍림(조인성), 원에서 온 비운의 왕후(송지효) 이야기를 그린 서사극이다.

유하 감독에게는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1993), '결혼은 미친 짓이다'(2001년), '말죽거리 잔혹사'(2004년), '비열한 거리(2006년) 이후 5번째 영화다.

유하 감독은 "나는 이미지보다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연출자다. 그리스나 셰익스피어의 비극처럼 이야기의 원형이 되는 드라마를 해보자고 생각해 '쌍화점'을 연출했다"며 "'결혼은 미친짓이다'가 현실적인 조건들이 장애물이 되는 멜로영화였다면 '쌍화점'은 성 정체성 문제가 장애물이 되는 멜로드라마다"고 말했다.

유 감독은 "'고려사절요'의 고려가요인 '쌍화점'을 읽고 이 영화의 근간이 되는 내러티브를 생각하게 됐다"며 "조선시대가 정적인 느낌이 강한 데 비해 고려시대는 역동적이고 탐미주의적인 느낌이 강해 시대 배경을 고려시대로 정한 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영화는 제작 초기부터 이성애 혹은 동성애에 대한 강도 높은 정사 장면으로 화제가 돼 왔다.

유 감독은 "제목 자체가 남녀상렬지사를 담은 고려가요에서 온 만큼 '쌍화점'은 '육체성의 축제'가 근간이 되는 영화다. '결혼은 미친 짓이다'에 비해 다소 높은 수위의 정사 장면이 담겨 있다"고 귀띔했으며 동성애 코드에 대해서는 "드라마라는 것은 소수자를 통해 보편자의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다. 동성애 코드를 외피로 사용해 보편적인 감정을 끌어내고 이를 통해 관객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영화를 통해 처음 사극 연기에 도전하는 조인성은 "사극의 대사나 의상, 분장이 내게 어울릴까 걱정을 많이 했지만 그럴 때마다 유하 감독이 큰 도움을 줬다"며 "새로운 도전이 필요한 연기였고 스스로를 깨기 위해 출연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액션 장면에 대해서는 "키가 커서 액션 연기의 '각'이 잘 안나왔다. '비천무'나 '무사' 같은 사극 액션을 경험해 본 진모 형을 보고 많이 배웠다. 몸이 잘 못 받쳐줘서 부상한 적도 많았지만 그만큼 성취감도 커 즐겁게 연기했다"고 밝혔다.

주진모는 "액션 장면이 많아서 촬영 4~5개월 전부터 스턴트 팀과 함께 액션 연습을 했고 검술도 익혔다. 팔ㆍ다리가 길어서 멋진 모습이 많았던 인성이를 따라가기 위해 더 열심히 했다"며 "영화 속 액션은 각 캐릭터의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였기 때문에 특히 힘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송지효는 노출 장면에 대해 "베드신의 수위가 높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막상 시나리오를 읽어보니 베드신보다는 드라마가 더 눈길을 끌더라"며 "관객들도 나처럼 베드신보다는 드라마에 더 관심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베드신에 대한 부담은 별로 없었다"고 설명했다.

bkkim@yna.co.kr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Y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