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영화의 활로를 모색하는 토론의 자리가 열렸다. 1일 오후 4시 메가박스 8관에서 열린 ‘한국 저예산/독립영화의 배급과 개봉’이라는 오픈토크에는 국내 독립영화 관계자들이 패널로 자리해 작은 영화의 관객층을 넓히기 위한 방안을 내놓았다. 영화진흥위원회 김보연 대리는 최근 개봉해서 상영중인 다큐멘터리 <우리 학교>의 사례를 들어 “관객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공공상영 행사를 통해 장기 상영의 가능성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제작이 늘고 있지만 유통 환경은 여전히 제자리인 현실을 지적한 한국독립영화협회 원승환 사무국장은 다양한 상영공간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전문화된 배급, 마케팅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성공 사례들도 이날 자리에서 소개됐다. CJ CGV 프로그램팀의 조홍석 씨는 <사이에서><후회하지 않아><비상> 등의 독특한 마케팅 방식을 제시하면서 “기존 상업영화와 동일한 마케팅 방식으로는 관객들을 끌어모으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인디스토리 곽용수 대표는 침체한 부가판권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민병훈 감독은 아트플러스 등에 대한 정부 지원의 증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The Open Talk: Independent Film Groping for a Way Out
A debate was held to find outlets for Independent films. May 1st 4.p.m., the Open Talk titled ‘The Distribution and Release of Korean Low budget/Independent film’ was held, and domestic Independent film personnel attended as the panel to lay out a scheme to widen the audience of small scale films. A variety of opinions emerged, such as “specialized distribution, the need of aid to secure marketing human resource,” and took the currently screening documentary <Our School> as an examp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long term screening through a public screening that centers on the audience.” Several successful cases were also introduced. Cho Hong-seok from CJ CGV program team suggested unique marketing strategies of <Between> <No Regret> <Flying>, and pointed out that “the marketing strategy identical with the existing commercial films will not gather the audience.” Meanwhile the panel should find an outlet to crank up the sluggish supplement copyright, and voiced out the need to increase government aid for associations such as Art Pl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