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국제영화제 정부 지원받기 어려워진다
문석 2007-04-03

지난해 열린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한국에서 개최되는 국제영화제에 대한 문화관광부의 지원이 보다 까다로와진다. 문화관광부는 4월3일 ‘국제영화제 지원 지침’을 발표하고 앞으로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발전 가능성이 있는 소수의 영화제에 대해 지원할 뜻을 밝혔다. 문화부는 이 지침에서 ●전년도 평가결과 100점 만점 50점 이상 획득한 영화제 ●신규영화제 요건을 갖춘 영화제를 대상으로 국고를 지원하던데서 방침을 바꿔 ●영화제를 5일 이상 열고 ●10개국 이상 국가의 영화 50편 이상을 상영하고 ●외국영화가 전체 상영작의 50%를 넘으며 ●자막을 제공하고 ●공식행사에서 통역을 제공하면서 ●3개국 6명 이상 영화인을 영화제가 경비를 부담해 초청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국고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 ●영화 관련 인사가 영화제 집행위원회의 절반 이상일 것 ●프로그래머 2명 등 상근인력이 4명 이상일 것 등의 조건 또한 제시했다. 문화부는 또한 1 광역자치단체에 1개 영화제를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으며, 주제나 대상 등 영화제의 특성에 따라서도 1개씩만 지원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 지침은 올해부터 적용되며, 외국영화 출품 비율과 자막 등의 조건은 2008년부터 적용된다.

한편, 문화부는 지난해 열린 8개 국제영화제들의 평가결과 또한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아시아필름마켓 등 한국영상문화사업에 대한 기여도가 높고 수입원이 안정화됐지만, 조직위원과 집행위원 등의 실질적 참여와 활동이 부족했다고 평가됐다. 또 영화제 집행위원회와 아시아필름마켓 사이의 업무협조체계가 부족했으며 개·폐막식 통역서비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개선점을 제시했다. 제7회 전주영화제에 대해서는 전년에 비해 경영관리시스템이 안정화됐지만 집행조직의 독립·자율성이 부족하고 심사위원의 다양성이 부족했다고 평가를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