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열린 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한 영화인 집회현장
한-미 자유무역협정(FTA)타결로 스크린쿼터가 현행유보에 놓인 것과 관련해 영화인들이 성명서를 발표했다. ‘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영화인대책위는 3일 오전, 보도자료를 통해 "한미FTA 타결소식을 접하며, 우리 영화인들은 참담함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노무현 대통령은 스크린쿼터 축소로 한국영화의 심장에 대못을 박아 피 쏟게 하더니, 그도 모자라 스크린쿼터 현행유보라는 비수를 꽂아 완전히 죽어버리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영화인들은 성명서에서 "2004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의하면, 2003년 한국영화의 해외수출액 396억원에 따른 파급효과는 생산유발액 711억원(EF-소나타 1,906대), 부가가치유발액 313억원(EF-소나타 2,892대), 취업유발인원 1,107명(EF-소나타 5,271대)에 달한다"며 국내영화산업을 쉽게 버리려고 하는 정부의 생각에 각성을 촉구했다. 또한 영화인들은 "처음에는 협상 개시의 4대 선결조건으로 스크린쿼터를 축소해 놓고서, FTA협상과 무관하다고 국민을 대상으로 뻔뻔하게 거짓말했다. 그리고 이미 지난 3월초 8차 협상에서 스크린쿼터를 다시는 늘릴 수 없게 현행유보로 합의해놓고도 타결 직전까지 스크린쿼터는 빅딜카드가 아니라고 속여 왔다"며 "노무현 대통령은 한미FTA 협상기간 내내 기만으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노무현 정부가 한국영화를 위해 4,0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영화인들은 "이는 발암물질을 투여해서 암에 걸리도록 해놓고 사경을 헤매는 환자에게 위장약을 주는 것으로, 철저한 기만책과 다름 없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영화인들은 "영화인 전체의 뜻과 의지를 모아 한국의 영상언어이며 문화인 한국영화를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노무현 정부와 투쟁할 것"이며" 우리의 역량을 최대로 모아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에서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도록 심판할 것임을 천명한다"고 경고했다. 현재 영화인대책위 측은 "FTA타결 무효를 관철시키기 위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와 함께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보기 ▷스크린쿼터 현행유보 확정… 문화관광부 보완책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