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파티가 성공적으로 끝나자 테즈노부는 또 한번의 파티를 기획하는데, 이번 컨셉은 유카타다. 두 번째 유카타파티에는 요리코 선생과 나오미 외에 나오미의 동생 유미와 그녀의 남자친구까지 손님이 늘어난다. 이번에도 이들은 모노폴리를 비롯해 갖가지 게임을 즐기고 마지막으로 불꽃놀이까지 한다. 마미야 형제가 다소 동화적인 캐릭터라면 요리코나 나오미는 좀더 현실적인 인물들이다. 요리코는 같은 학교 선생과 ‘진전없는 사랑’을 하고 있다. 자신의 집을 공개하지 않는 남자는 요리코를 불안하게 만든다. 갓 성년이 된 나오미는 자신보다는 야구에 미쳐 있는 남자친구 때문에 속을 끓인다. 마미야 형제의 모습이나 행동이 만화적인 느낌을 주지만 이들을 둘러싼 삶이 결코 가볍기만 한 것은 아니다. 단지 영화가 보여주는 방식이 경쾌해서 이면의 비애 같은 것이 겉으로 배어나오지 않도록 표면을 팽팽하게 당겨놓은 느낌이다.
형 아키노부는 직장 상사의 부탁으로 그의 아내를 함께 만난다. 상사는 이혼을 하고 싶어하지만 아내가 동의를 해주지 않으니 함께 설득해 달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녀를 설득하는 일에 동참해보려던 아키노부는 자신이 왜 이런 일을 하는지 스스로 이해할 수 없다고 느낀다. 아키노부에게 그런 삶의 현실은 실감나게 다가오지 않는 것이다. 차라리 상사의 아내가 차려놓은 안주의 이름과 먹는 순서 같은 게 그에게는 실감나는 대상이다. 그래서 감독은 오타쿠 기질이 다분한 이 형제의 삶을 그에 걸맞은 방식으로 그려내려 한다. 형제가 고향으로 엄마를 방문하러 가는 모습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보여주는 장면들이 그러하다. 형제의 엄마 역시 이들 못지않게 만화적인 외모와 언행을 보여주는 인물로 집안 내력을 짐작하게 한다.
에쿠니 가오리 소설을 영화화한 <마미야 형제>는 마치 스케치 그림처럼 일본적 일상을 무겁지 않은 터치로 묘사하고 있다. 마미야 형제의 삶은 일본적인 원형을 갖고 있다. 가지런히 정돈된 아파트 실내를 채우고 있는 신발 축소 모형들, 도감이나 사전류의 책들, 온갖 보드게임들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형제의 생활을 잘 보여준다. 요리코 선생도 나오미도 결국 자신들의 애인에게 돌아가고 형제는 다시 둘만 남는다. 이들 형제는 아직 여자가 절실하게 필요하지 않은지도 모른다. “믿을 수 없어, 우리집에 여자가 오다니…”라는 형의 탄성에 동생 테즈노부는 이런 대답으로 형을 안심시킨다. “엄마가 두명 온다고 생각해.” 영화의 초반, 두 형제가 바라보는 신칸센 열차에 써 있던 ‘Ambitious Japan’이라는 글자가 무척 아이러니하게 느껴진다.
<가족게임>(1983), <소레카라>(1985), <키친>(1989), <실낙원>(1997), <검은집>(1999), <괭이갈매기>(2004) 등 80년대 이후 수많은 영화를 연출한 모리타 요시미쓰 감독은 매번 다른 스타일의 영화를 만들어냈다. 별다른 연출 수업을 거치지 않고 데뷔한 모리타 감독이 만든 영화들은 비평이나 흥행에서 대부분 성공적이었다. 이는 다양한 영화적 실험을 시도하지만 항상 당대 일본인의 삶을 영화에 담아내려한 그의 의도가 잘 구현된 결과 같다. 주연을 맡은 중견배우 사사키 구라노스케와 이 영화로 마이니치영화제 신인상을 수상한 쓰카지 무가뿐 아니라 나오미로 분한 사와지리 에리카 등 출연진들의 조합이 이상적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