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수(이유미)는 학창 시절의 친구 조은수(전소니)가 부모의 불화로 힘든 시기에 함께한다. 남편 노진표(장승조)와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는 줄로만 보인 희수는 사실 남편의 은밀한 착취와 학대의 벼랑 끝에 몰려 있다. 엉망진창으로 삶을 포기하려는 희수 앞에 사랑하는 친구가 찾아와 남편 살해의 공범이 되어줄 것을 자처한다. 때로는 순진한 피해자, 결국 연민할 수밖에 없는 악인은 그간 이유미가 작품을 통해 보여준 모습이다. 경계 없이 드러나는 천진함에서 학대와 결핍으로 비틀린 양극단의 이미지가 이유미라는 한명의 배우 안에서 수렴한다.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 <나오미와 가나코>를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시리즈 <당신이 죽였다>에서 조희수 역을 맡은 이유미 배우에게 끝 모를 폭력과 생존 사이에 서 있는 인물을 준비하는 시간을 물었다.
- <당신이 죽였다>의 조희수 역을 선택한 이유는.
지금까지 해왔던 작품과는 아예 다른 느낌이었다. 수위가 세다, 세지 않다 흔히 말하는 기준을 떠나서 나에게는 이 작품이 더 조심해야 하고 더 솔직해야 하는 다루기 어려운 시도였다. 조희수 캐릭터를 내가 감히 완벽하게 연기할 수 있을까에 접근하는 것조차도 어려워서 걱정이 많았지만 결국 스릴러 장르와 스토리에 끌렸다. 열심히, 많이, 최대한 노력해서 한번 해봐야겠다는 마음으로 선택했다.
- 역할 바깥에서 배우 이유미는 어땠나.
에너지를 폭발시키는 신을 연기한 경험은 종종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인터뷰에서 괜찮냐고 물어보시더라. 솔직히 다 괜찮긴 하다. 역할과 나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크게 스트레스받지 않는 편이다. ‘액션’ 소리가 들리면 완전히 몰입하는 게 맞고, ‘컷’ 소리가 들리면 진정해야 하는 게 맞고, 어떻게 보면 당연하게 여겨지는 직업 정신 같은 느낌이다. 희수는 희수고, 유미는 유미다. 이렇게 생각하는 편이 낫다. ‘컷’이 외쳐졌는데 계속 그 인물로 남아 있다보면 어느새 지쳐서 정작 ‘액션’에서 체력이 달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렇게 스스로의 힘을 안배하는 편이 내게 잘 맞다.
- 보는 입장에서 이런 역할을 연기한다는 건 인간적으로 고갈되는 대신 배우로서 얻는 것이 있을 것 같아 보였다.
준비 과정에서 작품에 드러나지 않은 희수의 순간이나 장면을 상상하면 마음이 아플 때가 많지만 작품 바깥에서 나는 그대로 나였다. 평상시 연기를 준비할 때 자신을 대입해서 너무 많은 상상을 하니까 계속 캐릭터와의 연결 상태에 놓이면 내가 없어지는 것만 같았다. 카메라 안의 희수와 카메라 밖의 나를 잘 나누려고 했다.
- 희수는 결혼 생활 중 남편의 폭력과 학대에 노출된 극단적 상황에 놓여 있다. 역할 소화에 선행된 생각이나 실천이 있나.
나라는 배우를 내가 쉽사리 믿지 못하겠더라. 조희수를 연기하며 원작의 주인공을 <당신이 죽였다>안으로 끌어오는 순간, 어떤 이득이 있고 어떤 손실이 생길지 고민했다. 그래서 원작 소설은 촬영을 마친 뒤에야 읽었다. 원작과 시나리오는 캐릭터나 인물관계 면에서 다른 점이 많다. 화면에 드러나는 것은 인물 서사에 비하면 일부에 불과하다. 한 장면에서 단번에 인물을 드러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간도 중요하다. 희수가 어떤 인생을 살아왔을지 그 여백을 채워가는 시간이 제일 길었다.
- 폭력과 학대를 자행하는 남편, 노진표와 장강 1인2역을 맡은 장승조 배우와의 장면이 많은데 상대역과는 자주 소통했나, 아니면 거리를 조절했나.
극 안에서는 희수를 학대하는 역할이어도 카메라가 돌지 않을 때는 교류나 대화가 잦은 편이었다. 의외로 장승조 선배와 연기할 때 재미있었던 기억이 정말 많았는데 선배는 유난히 힘들어하곤 했다.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긴장도 높은 장면을 촬영하기에 앞서 스스로 조절을 못할까봐 걱정도 많으시더라. 이런 촬영에는 심리상담사 선생님이 계셨는데 희수를 가학적으로 대하는 장면을 찍고 나면 승조 선배가 가장 먼저 심리삼담사를 찾았다. 지금까지 연기하면서 내가 누굴 심하게 때려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배우로서 이런 역할을 맡는 것이 정말 고통스럽겠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하게 됐다.
- 극 안에서 조희수는 높은 수위의 폭력에 노출된다. 배우로서는 강도 높은 액션을 소화해야 한다. 사전 준비와 현장은 어땠는지.
맞거나 때리는 것 모두 하나의 액션이기 때문에 액션스쿨에서 합을 맞춰보고 현장에서도 또다시 연습하며 합 맞추기의 연속이었다. 최대한 안전하게 찍기 위해 액션영화를 찍는 것처럼 훈련했다.
- 은수가 살해 모의를 자처하고 나설 때, 그는 희수의 오랜 친구이면서 동시에 공범이 되려 한다.
이 부분이야말로 스릴러 장르를 넘어 판타지에 가까운 설정이라고 생각했다. 어느 정도 사이다 같은 판타지. 자기가 처한 상황이나 일이라면 절대 쉽게 할 수 없는 말이다. 뭐가 옳고 그름인지 모르지만 이 극 안에서 이들은 이런 선택을 하고 이런 결정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에 가깝다.
- 이런 설정에 대해 전소니 배우와 나눴을 이야기가 궁금한데.
절친한 친구가 놓인 상황을 알게 된다면 이럴 때 서로가 어떤 선택을 할 것 같은지를 정말 많이 얘기했다. 이유미로서 전소니로서 어떻게 할 수 있을까를 가상 상황으로 생각해봤는데 어려웠다. 처음에 둘 다 감정이입을 하느라 화가 났다. 현실이라는 가정 안에서 역시 명확한 결론은 나지 않았다.
- 희수의 잔혹한 상상이 종종 등장하곤 한다. 은수와 희수, 진표 셋이 등장하는 집 안에서의 롱테이크는 거의 그대로 사용됐는데.
작품 안에서 가장 아슬아슬한 롱테이크다. 배우들은 안전한 상태에서 촬영했지만 위험한 장면일 때 이것저것 바꿔가며 결정하는 게 많았다. 폭행이 너무 자극적이지 않은지를 먼저 소통하고 그다음에 감정선을 어떻게 할지 순서대로 맞춰나가는 느낌으로 촬영은 수월하게 진행됐다. 희수의 희망이 담긴 상상 장면은 희수와 은수, 모두에게 필요한 장면이라 생각해 더 열심히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