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14일 최휘영 문체부 장관이 참여한 '영화계 소통 간담회' 현장
지난 9월5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2026년 정부의 영화 관련 예산이 1498억원으로 올해 대비 669억원(80.8%)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여러 사업 예산이 올해 대비 증액, 복원됐다. 영화 기획개발지원 사업에 80억원(33억원 증액), 올해 신설된 중예산영화 제작지원 사업에 200억 원(100억원 증액), 국내외 영화제 육성지원 사업에 48억원(15억원 증액)이 투입된다. 올해 국회 추가경정예산에서 통과되지 못했던 차기작 기획개발비 사업은 2023년 연말 이후 폐지됐 다가 17억원 규모로 복원됐다. 독립·예술영화의 관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상영지원 사업 (18억원)이 신설되기도 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 독립·예술영화의 상영 기회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 다. 또한 2026년 완공 예정인 부산기장촬영소 내의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제작·운영에 164억원, 인공지능 기반 영화제작에 22억원 규모의 신설 사업이 생겨났다. 이에 영진위 관계자 A씨는 “2019년 이후 영진위에 가장 큰 사업 예산이 확보됐으며, 9~10월에 진행될 국회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추가 사업비가 확보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영진위 예산인 영화발전기금이 고갈된 탓에 증액된 사업비를 실제 집행할 수 있을지에 우려가 잇따르기도 했다. 지난 7월부터 영진위가 진행한 271억원 규모의 극장 할인쿠폰 사업으로 영화발전기 금이 고갈됐기 때문이다. A씨는 “국회 예산 심의 기간에 체육 기금 등 타 기금의 전입이 진행될 듯하여 사업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전해왔다. 한편 정부 주도의 모태펀드 영화계정 출자액은 700억원으로 올해 초 예산안 대비 2배가량 증액됐다. 다만 모태펀드 영화 계정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꾸준히 제기된 만큼 어떤 성과가 나올지는 아직 미지수 다(<씨네21>, 1515호 ‘국회 추경안 통과, 영화계 에도 수혈’). 지난 8월14일 최휘영 문체부 장관이 ‘영화계 소통 간담회’ 등을 통해 “한국영화를 살리기 위한 심폐소생술 수준의 긴급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던 바에 따라 정부의 영화 관련 정책이 이제 첫 삽을 뜨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