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기획] 2025년 하반기, 주목할 영화산업 · 정책 키워드는?
이우빈 2025-08-14

새 정부의 조직개편이 가장 큰 관건

말 그대로 폭풍 전야다. 지난 6월 출범한 새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부 조직개편에 대한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고, 오는 8월 중순 그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영화 관련 조직의 변화 역시 논외는 아니다. 조직개편에 따른 관련 인사 교체, 정책 변화 역시 이뤄질 계획이다. 또한 서울영화센터가 11월에 개소하고, 극장 할인쿠폰 사업으로 긴급 수혈한 극장가가 어떻게 돌아갈 것인지 등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다가오는 8월부터 주목해야 할 영화산업·정책의 내용이 무엇일지 몇 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Keyword ① - ‘미디어콘텐츠부’ 신설되나?

아직은 국정기획위원회의 공식적인 발표가 없는 상황이지만, 영상 관련 부처에 대대적인 재편이 이뤄질 것이란 소식이 정계와 영화계에 퍼지고 있다. 영상·영화와 방송·미디어·콘텐츠 정책 등을 총괄하는 행정부처 ‘미디어콘텐츠부’(가칭)가 신설된다는 것이다. OTT 플랫폼 시장이 본격적으로 몸집을 키움에 따라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영비법) 개정과 관련 부처의 개편 필요성은 이전 정부부터 꾸준히 대두됐다. 영화진흥위원회가 2023년에 공개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전면 개정 방안 연구’ 보고서는 “현재 영상산업의 법적 규율 체계가 영상산업 환경의 급변을 따라가지 못하여 영상산업 및 영화산업의 발전에 심각한 장애 요소”이며 “콘텐츠 중심의 영화-영상물 통합 진흥 법제를 통해 영상매체 융합 환경 대응 및 산업 활성화 방향성”을 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OTT 콘텐츠에 대한 정부 정책은 한국콘텐츠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산재되어 있다. OTT에 공개되는 ‘영화’ 콘텐츠에 대해 영화진흥위원회가 정책적으로 개입할 수도 없다. 이에 현재 국정기획위원회 사회 2분과에선 부처 신설 및 개편을 통한 미디어·콘텐츠 정책 일원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영화·영상·방송뿐 아니라 다른 문화예술계의 상황도 비슷하다. 이를테면 게임 정책에 대해서도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물관리위원회의 기능을 재편한 ‘게임·e스포츠 산업진흥원’ 신설 등 여러 논의가 오가고 있다.

Keyword ② - 영화진흥위원회의 향방은?

미디어콘텐츠부 등 미디어·콘텐츠 관련 부처가 신설되고 관련 기구가 통폐합된다면 영화진흥위원회 거버넌스가 어떻게 변할지는 미지수다. 현재는 독립적인 민간 거버넌스 기구로 운영되고 있으나, 영화·영상산업의 헤게모니가 미디어콘텐츠부로 편입될 경우 영화진흥위원회의 존립이나 운영 방향성에 큰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영화진흥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 한국영상자료원 등 기존의 영상·영화 관련 기구 역시 미디어콘텐츠부에 편입될 것인지, 편입되지 않는다면 각 조직의 기능이 어디까지 유지될 것인지, 영화발전기금의 운용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등 한국 영화정책에 대한 커다란 변모가 이뤄질 것이다. 영화·영상 관련 부처와 기구의 재편에 따라 관련 인사의 교체 사안 역시 주목받고 있다. 12·3 계엄 등 혼란스러운 정국을 거치며 한동안 유보되었던 한국영상자료원 신임 원장 공모 등 관련 인사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씨네21>은 이번 ‘2025 한국 영화산업과 정책’ 연속기획을 통해 새 정부의 조직개편과 영화진흥위원회의 체제 변화 등을 꾸준히 살필 계획이다.

Keyword ③ - 서울영화센터 개소는?

11월 개소 예정인 충무로의 서울영화센터 전경.

서울시는 오는 11월 서울영화센터를 개소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서울시 시네마테크 건립은 2006년부터 추진되어 2015년에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공식 발표 이후 10년이 흐른 뒤 서울영화센터라는 이름으로 문을 여는 것이다. 2024년 서울 시네마테크란 이름이 서울영화센터로 변경되고 운영 주체가 서울경제진흥원으로 이관되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 해당 사업에 관여했던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등 영화계 인사들은 반발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또한 개소를 코앞에 둔 서울영화센터의 운영 대행사와 구체적인 운영 방식 등이 공개되지 않고, 서울영화센터 건립에 따라 충무로역 영상센터 오!재미동 운영이 종료되는 사실 등에 의문의 목소리가 잇따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씨네21>이 취재한 결과, 지난 6월부터 서울영화센터는 영화 제작자, 독립영화계, 영화관 관계자, 영화평론계, 영화학계 등의 단체·인사를 초청한 운영위원회를 꾸려 영화계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있다. 또한 이번주(8월7일 기준) 내로 서울경제진흥원은 서울영화센터의 상영관 용역 공모를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블라인드 제안서 평가 방식을 채택하고 관련 산업, 학계 등 각 분야의 평가위원을 분야별로 초빙해 최대한 공정한 공모를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당장 오는 9월부터 시범 운영에 돌입할 서울영화센터의 운영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서도 <씨네21>의 ‘2025 한국 영화산업과 정책’ 연속기획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Keyword ④ - 극장의 미래는?

극장 할인쿠폰 사업을 통해 단기간 관객수 증가를 이끌긴 했으나, 극장가의 사정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만성 적자를 이기지 못한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가 지난 5월 합병 계획을 발표하며 극장가의 어려운 상황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더하여 영화푯값, 홀드백, 객단가, 영비법 개정, 스크린독과점 등 영화산업의 해묵은 구조적 문제들도 여전하다. 새 정부의 영화·영상 관련 부처 개편이 실행된다면 영비법 개정 등을 통한 영화산업의 체질 전환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를 위해 영화계 관계자들은 날마다 국회와 정부에 출입하며 영화정책 진흥의 목소리를 내는 상황이다. 영화산업의 근간인 극장산업이 올해 어떤 분수령을 맞을지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