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기획] 현실과 비현실 두루 아우르는 캐릭터, 슈퍼 IP로서 <유미의 세포들>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이자연 2024-04-04

국내 유아동 애니메이션의 극장판 제작은 비교적 활발한 데 반해 청소년 이상 관객을 타깃으로 한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작은 그 규모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관객의 관심 부족과 저조한 투자 유치.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는 두 요소는 무엇이 선행되었는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상호적 악순환을 반복해왔다. 성인 관객을 만족시킬 만한 작품의 부재는 애니메이션이 유아동 전용 장르라는 선입견을 견고하게 만들고, 이러한 대중적 인식은 투자 근거를 약화시켜 질적 향상을 위한 제작 환경을 지연시킨다. 실타래처럼 촘촘하게 얽혀 궁극적인 해결책을 찾아나서기 어려운 지금, 극장용 애니메이션 시장은 현상 유지만으로 나아가고 있다. 비유아동용 애니메이션이 극장에 걸리면 다른 실사영화들과 같은 조건으로 승부를 봐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황수진 로커스 스튜디오 본부장은 “평균적으로 개봉 이후 2~3주 안에 영화관 상영 유지 여부가 결정된다. 애니메이션은 다른 극영화에 비해 장르적 편견이 은연중 존재하는 만큼 동등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애니메이션은 완구·문구·음원 등 부차 사업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 또한 국내시장에서는 오랫동안 시리즈를 방영하는 유아동 품목으로 한정돼 있다. 극장에서 상영을 일찍 멈추는 순간부터 상품 판매도 요원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아래 대중에게 잘 알려진 슈퍼 IP를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것은 여러 문제를 보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현재 웹툰 시장을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드라마나 영화 형태에 적합한 작품들이 월등하게 많다. 그런데 <유미의 세포들>은 애니메이션으로도 살리기 좋은 IP였다. 동글동글 귀엽고 대중적인 캐릭터 설정, 관객이 자신을 대입해볼 수 있는 상상의 여지, 비현실적인 판타지 요소까지 아이들뿐만 아니라 성인 관객까지도 타깃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했다.”(황수진 로커스 스튜디오 본부장)

실제로 로커스 스튜디오가 극장용 애니메이션 제작이 미미했던 2018년,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제작을 결정할 수 있었던 것도 원작 IP의 다채로운 확장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이다. 사춘기를 보내는 유미와 어린 시절의 세포들, 결혼 이후 육아하게 된 유미와 난감해하는 세포들 등 원작에서 다루지 않은 새로운 이야기를 시퀄, 프리퀄 등으로 선보일 수 있고, 어떤 생애 주기의 유미를 선택하더라도 모두가 쉽게 자신의 이야기처럼 받아들이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보편적이고 섬세한 심리묘사와 주인공의 일생을 넓은 의미의 성장담으로 바라보는 작품의 태도가 IP로서의 생명력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인지도부터 올려야 하는 오리지널 작품 대비, 슈퍼 IP는 높은 대중성을 발판 삼아 홍보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브랜드 인지도가 98%에 달했던 웹툰 <유미의 세포들>은 통상적인 마케팅 비용보다 적게 투자해도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드라마를 비롯해 뮤지컬, 극장판 애니메이션까지 콘텐츠 형태가 계속 변모할 수 있는 데에는 현실적인 시장성과 대중성 등이 담보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슈퍼 IP를 반복해 재생산하는 것이 장편애니메이션의 궁극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는 없다. 오리지널 스토리의 다양성을 납작하게 만들 위험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제작 단계에 양적 결과가 현저히 적었던 만큼 장편애니메이션의 활기를 기대해볼 수는 있다. 슈퍼 IP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에 어떤 활로를 보태게 될까. 시장에 자리한 모든 이들이 계속해 지켜볼 필요가 있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