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다면 심의 자체를 아예 하지 말란 얘기냐,이렇게 물으신다면 저는 또 이렇게 대답하렵니다.
예!
하지만 지금 그런 논쟁 벌일 계제가 아니니까, 좋습니다, 심의합시다, 등급도 주고, 제한상영으로 몰아낼 영화는 몰아내야 한다고 치자고요. <죽어도 좋아>가 정말 그런 영화입니까? 여기 나오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사랑표현이 무슨 <동물의 쌍붙기>(주- 최근 등급위가 제한상영가 판정을 내린 또 하나의 영화)로 보이십니까? 외설적이라니요, 그 귀여운 로맨틱코미디가! 물론, 이것을 허용하면 앞으로가 문제라는 변명이 가능하겠지요. 너도나도 실제 섹스와 구강성교를 찍어오면 어쩌냐는. 문제는 뭐가 문젭니까, 그때그때 봐서 좋은 구강성교는 허하고 나쁜 구강성교는 막으면 되지. 그런 거 가리라고 있는 등급위 아닌가요? 작품성을 판단하는 기구는 아니라구요? 그것 참 무책임한 소리입니다. 실제로는 어떤 방식으로든 여러분은 영화의 작품성을 판단하고 있는 겁니다. 적어도 18세냐 제
<죽어도 좋아>, 죽여도 좋은가? [5] - 박찬욱의 격문 ②
-
한국인이 가장 인상적으로 본 외국영화와 한국영화는 각각 <타이타닉>과 <쉬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갤럽이 4월23일-5월2일 전국(제주도 제외) 1천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2%와 9.3%가 각각 <타이타닉>과 <쉬리>를 가장 인상깊은 외화와 한국영화로 답했다. 외화부문에서는 <벤허>(5.0%),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2.7%), <글래디에이터>(1.4%), <반지의 제왕>(1.4%)이, 국내영화는 <친구>(6.2%), <집으로>(4.9%), <공동경비구역 JSA>(3.8%)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응답자들은 '국민배우' 안성기와 '산소 같은 여자'이영애를 가장 좋아하는 남녀배우로 뽑았다. 안성기는 22.3%의 지지로 한석규(13.0%), 장동건(10.9), 신성일(10.2%)를 제쳤고, 15.6%를 얻은 이영애는 전도연(13
<타이타닉> <쉬리> 가장 인상적
-
무표정한 송곳니 다람쥐 스크랫의 유일한 낙은 땅에 도토리 넣기다. 드디어 얼음에 도토리를 넣는 순간, 쩍쩍 땅이 갈라지며 눈사태라도 나듯 온 세상이 무너져 내린다. 2만년 전 ‘빙하시대’는 그렇게 시작했다. 폭스의 새 애니메이션 <아이스 에이지>에 따르면 말이다. 100% 입체기술(3D)로 그려진 <아이스 에이지>는 올초 미국에서 개봉해 디즈니의 <몬스터 주식회사><토이 스토리2>에 이어 역대 애니메이션에서 3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렸다. <조의 아파트><에일리언> 시리즈의 컴퓨터그래픽을 맡았던 회사 블루 스카이의 기술력에 낯익은 스토리들을 솜씨좋게 배합해놓은 가족용 애니메이션이다. 3m 키에 8t의 몸무게를 자랑하는 맘모스 ‘맨프레드’. 지금으로부터 2만년 전 빙하시대에 모든 동물들이 남쪽을 향할 때 그는 ‘아니오’라며 북쪽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매우 부드러운 감수성을 가졌지만 다른 동물들과 어울리길 싫어한다. 맨프레드
빙하시대 ‘세 동물과 아기바구니’ <아이스 에이지>
-
<2002 Rock닭의 울음소리 앨범 발매 기념 공연>연세대학교 대극장8월4일 일요일 1부 3시∼5시30분2부 7시30분∼10시02-324-956297년에 발표된 인디 컴필레이션 <Rock닭의 울음소리>에 이어, 그간 클럽 문화의 침체를 털고 두 번째 컴필레이션을 선보이는 인디 밴드들의 축제. <와이키키 브라더스>에 출연했던 문혜원이 함께 하는 뷰렛, 피터팬컴플렉스, 부비트랩 등 경쾌한 모던록 계열과 강력한 랩메탈 계열의 밴드들이 각각 1, 2부를 구성하며 게스트로 자우림과 타카피가 참여한다.<2002 헌정 Live Concert 송골매>대학로 SH Club8월2일 7시02-3272-3968(주)소닉스미디어얼마 전, 80년대의 대표적 그룹 송골매에 헌정하는 앨범작업에 참여했던 젊은 밴드들이 이번엔 송골매에 콘서트를 바친다. 시베리안허스키, 그랜드 슬램, 아프리카, 네이키드, 자우이, 칸, 시즌 등이 <처음 본 순간> <한줄기
2002 헌정 Live Concert 송골매 외1(공연)
-
-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김경욱 지음책세상 펴냄4900원
이데올로기 비평은 오늘의 한국 영화비평계에서 살아남기 힘들다. 일반 관객으로부터는 “영화란 재밌으면 그만이지”라는 무서운 단언으로 일축되기 십상이고, 매체로부터는 “엄숙하고 딱딱하다”는 혐의로 외면받기 일쑤다. 이 책은 한국영화계에 왜 이데올로기 비평이 절실한지 간곡하게 증언한다. 저자는 최근 한국 블록버스터들의 몰역사성, 퇴행성, 비윤리성을 꼼꼼히 따지며, 한국영화의 성공신화에 감춰진 그늘을 응시한다.
블록버스터의 환상,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책)
-
<My Story> 조수미워너뮤직 발매94년부터 활발한 활동을 펼쳐온 소프라노 조수미의 베스트음반. 월드컵 기간 동안 귀에 익은 최신곡 를 비롯해 <Smoke Gets In Your Eyes> 등 재즈와 뮤지컬곡을 넘나드는 ‘크로스오버’와 피아노 반주만으로 들려주는 헨델의 <리날도> 중 <울게 하소서>, 베르디의 <리골레토> 중 <그리운 그 이름> 등이 담긴 ‘오페라&아트송’ 등 2장의 CD로 구성돼 있다.<Only A Woman Like You>마이클 볼튼자이브 발매‘블루 아이드 솔’(Blue-Eyed Soul), 곧 백인의 솔로 한 시대를 풍미한 마이클 볼튼이 오랜만에 선보이는 신보. 블루스와 하드록을 거쳐 솔에 이른 볼튼은 호소력 있는 보컬로 많은 인기를 누렸다. <Only A Woman Like You> 같은 특유의 발라드는 물론, 라틴 팝의 향취가 물씬한 첫곡 <Dance W
My Story/Only A Woman Like You 외1(음반)
-
오아시스(Oasis)가 돌아왔다. 2년 만에 내놓은 새 앨범 <Heathen Chemistry>와 더불어 말이다. 블러(Blur)와 함께 1990년대 브릿팝(Britpop)의 맹주 노릇을 했던 오아시스. 세월의 흐름과 트렌드의 변덕은 이들의 영광을 다소 퇴색시켰던 게 사실이다. 물론 여기엔 난폭하기로 소문난 노엘과 리엄 갤러거 형제의 악동 행각도 한몫 단단히 했지만.<Heathen Chemistry>는 오아시스의 ‘심기일전’이 흘러 넘치는 음반이다. 이들 특유의 활력은 여전하고, 귀에 쏙쏙 잘 들어오는 멜로디 라인 또한 건재하다. 오아시스가 쌓은 명성과 스타덤이 한때의 요행수가 아니었음을 잘 보여준다.그러나 <Heathen Chemistry>는 단순히 이들의 건재함을 입증하는 데 그치지는 않는다. 무엇보다 오아시스의 음악세계가 성숙해졌음을 느낄 수 있다. 예전에 보여줬던 다소 과하다 싶을 정도의 자신감이 대폭 절제되어 있는 대신, 좀더 느긋해지고 완숙
오아시스의 신보
-
한 8년 전쯤 되나. 창비사의 한 방에서 김사인(문학평론가)과 오랜만에 만나 시분저분 얘기를 나누고 있는데 문 밖 복도에서 무언가가 흘끗 지나갔다. 어잉? 사인아. 여기 무슨, 사슴 키우냐?… 예?… 무슨?… 방금 사슴 한 마리가 휙 하고 지나갔다니까?….당시 계간지 창비의 편집위원인가 자문위원인가에 이름을 올리고 그러잖아도 착함과 웃음이 얼핏 너무 ‘헤퍼’(?) 보이는 얼굴을 다시 한번 착한 웃음으로 단도리하며 쑥스럽다는 듯, 그러나 한치의 오차도 없이 선배 겸 손님 ‘접대’에 마음을 쓰던 그의 표정이 일순, 황당해졌다. 4층 건물 복도에 무슨 사슴 한 마리?… 하지만, 다시 사슴이 휙 지나가고 그는 곧 파안대소했다. 아, 저분요? 형, 황인숙씨 처음 보나? 핫하, 맞아. 사슴 한 마리, 하하. 잘 봤어….그렇게 나는 시인 황인숙을 처음 만났고 그뒤 자주 만나지는 못하지만 사슴의 ‘살림 혹은 체온’을 갈수록 가깝게 느끼는 ‘친밀의 경이’를 시도 때도 없이 느낀다. 경이라… 가령 다
황인숙 동화/이제하 그림 <지붕 위의 사람들>
-
엔니오 모리코네는 음악으로 한 장르의 컨벤션을 만들었다. 그것이 바로 <석양의 무법자>(The Good, the Bad, the Ugly)의 테마다. 방울뱀의 춤이나 시체 위를 맴도는 까마귀 울음, 사막의 황량한 밤에 떠도는 알 수 없는 메아리, 머리 가죽을 벗기는 아메리칸 인디언의 의식, 그 모든 걸 동시에 떠오르게 하는 냉혹하고 비정한 느낌의 이 테마는 바로 마카로니 웨스턴(미국 사람들은 ‘스파게티 웨스턴’이라 부른다)과 동격이다. 또한 마카로니 웨스턴은 이 테마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상된다. 이 테마의 느낌이 없는 마카로니 웨스턴은 존재하지 않는다.엔니오 모리코네는 이국적인 피리소리, 펜더 트윈 리버브 앰프가 내는 독특한 ‘또요요용’(영어로는 twang) 하는 울림의 전기기타, 민속음악적인 북소리, 그리고 유럽 특유의 풍부한 스트링 오케스트레이션을 혼합하여 이 테마를 탄생시킨다. 거칠고 냉혈적이며 일자무식인 듯한 스트레이트한 음악이지만 몇번을 들으면 이 테마가 얼마나 세
<석양의 무법자> O.S.T
-
“…원수를 갚아주오.” 사내는 내 손을 잡은 채 숨을 거두었다. 낡은 교회의 십자형 창문으로부터 불길한 핏빗 그림자가 드리운다. 이곳이 성스러운 곳이었던 건 아주 오래 전의 일, 지금은 지옥까지 이어진 어둠의 공간이 돼버렸다. 믿을 것은 검 한 자루뿐, 무거운 문을 어깨로 있는 힘껏 밀어 열고 신중하게 발을 내디딘다. 흔들거리는 촛불빛에 교회는 조용하다. 곳곳에 놓여 있는 관을 지키는 것은 죽은 자뿐. 갑자기 호전적인 외침과 함께 하급 마물들이 새카맣게 몰려든다. 세계를 구할 용사는 순식간에 넋이 나가버렸다. 어떻게 도망쳐나왔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녀석들의 키득거리는 웃음소리가 아직도 머릿속에서 울리고 있다. 정신을 차리고보니 지니고 있던 검까지 어디선가 떨어뜨리고 없다.이미 나온 지 몇년이나 지난 <디아블로>를 처음 플레이했을 때 벌어졌던 일이다. 결국은 엔딩까지 봤지만 허리춤 정도밖에 오지 않는 조그마한 녀석들이 악마같이 덤벼들던 순간의 공포는 지울 수 없다. 더
내가 공공도로의 바퀴벌레라니…<수도고 배틀2>
-
이번 부천판타스틱영화제에서 화제작 중 하나였던 영화 <헤드윅> 홈페이지가 8월9일 극장개봉을 앞두고 오픈했다. ‘제2의 <록키 호러 픽쳐쇼>’라고 할 수 있는 이 영화는 여자로 성전환한 트랜스젠더의 이야기를 신나는 록음악과 애니메이션과 유머로 버무려 경쾌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홈페이지의 핵심도 바로 이 음악과 영상이다. 아예 메인화면에서 주제곡인 <Origin of Love>가 흐르고 다섯개의 파트로 나뉜 애니메이션과 함께 가사를 한글로 볼 수 있게 해놓았다. 주인공 헤드윅이 부른 노래들은 ‘Power O.S.T’ 코너에 실린 각 트랙의 일부분을 들을 수 있고, 전부를 즐기고 싶다면 링크된 필름2.0 사이트를 방문하면 된다.게시판은 올해 최고의 영화라고 격찬하는 네티즌들의 반응으로 뜨겁게 달아올라 있다. 벌써부터 관련 동호회와 카페들을 개설했을 정도다. 물론 지난해에 만들어진 해외 팬사이트 ‘헤드헤즈’에는 더 신속한 관련 뉴스와 데이터가 풍성하다. ‘
<헤드윅> 홈페이지
-
아주 가끔씩 별 생각없이 본 영화에서 큰 충격을 받는 경우가 있다. 마지막으로 그런 경험을 한 것은 약 3년 전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였다. 친한 미국인 친구로부터 추수감사절 만찬에 초대받은 나는 버지니아주의 샬롯스 빌이라는 도시로 여행을 떠났다. 영화에서나 보던 칠면조 요리를 비롯한 미국의 전통(?) 음식들을 맛있게 먹고 나자, 그 친구는 시내구경도 할 겸 영화나 한편 보러 가자고 제안했다. 당시 개봉되고 있었던 <인사이더> 등 몇몇 영화를 보고 싶었던 내 의사와는 달리 그 친구가 고른 영화는 <존 말코비치 되기>. 도무지 어떤 영화인지 전혀 정보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내심 불만족스러운 생각이 들었지만, 근사한 저녁을 대접받은 상황이어서 반대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2시간 뒤, 나는 그 친구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보지 않았다면, <존 말코비치 되기> 같은 좋은 영화를 내가 스스로 찾아볼 가능성
<레퀴엠>의 감독 대런 애로노프스키
-
한해 제작되는 만화와 애니메이션 수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일본은 출판만화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될 수 있는 확률이 제일 높은 나라임에 틀림이 없다. 물론 수많은 공모전과 인기투표, 단행본 출간 등 수백, 수천대의 경쟁률을 뚫은 인기작만이 누리는 권리이긴 하지만 연재 도중에도 어느 정도 인기 궤도에 오르기만 하면 거의 어김없이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작업이 진행되는 환경은 문화 콘텐츠상품의 기반으로서 ‘만화’가 넘칠 정도로 제작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하지만 인기 만화는 인기 애니메이션이 되기 위한 조건일 뿐 실제로 원작만화의 재미를 충분히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평면상의 만화를 입체인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분위기가 돌변하는 경우도 있고, 한정된 시간 속에 많은 원작 속의 이야기를 담으려다 보니 스토리가 엉망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모든 애니메이션 제작사에 작품을 제작하는 데 충분한 시간이나 자금, 스탭들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팬들이 가
애니도 리콜이 되나요?<공각기동대>
-
젊은 만화가 6인의 기획전 ‘판타지’가 8월6일까지 서울 종로구 관훈동 갤러리 ‘창’에서 열린다. 이애림, 이향우 등 기성 만화잡지계에서도 꾸준한 활동해온 이들은 단순한 인쇄 매체를 넘어서 만화의 풍부한 상상력을 독자들과 함께 공감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기존의 만화전시회처럼 단순히 원화를 내거는 데 그치지 않고, 공간과 소품을 활용한 입체만화, 실사와 일러스트레이션을 결합한 설치만화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이향우의 ‘판타지’, 최인성의 ‘숨바꼭질’, 권신아의 ‘폐쇄공간의 복제’, 이태영의 ‘길 잃은 자들의 도시 쌍뜨라 니 콘드로스’, ‘호흡기 질환의 개’(meat ball), 이애림의 ‘춤’ 등 6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펫숍 오브 호러즈> 완결차이나타운의 신비한 동물 가게를 중심으로 인간, 동물,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뒤얽힌 이야기를 담은 아키노 마쓰리의 <펩숍 오브 호러즈>가 전 10권으로 국내 완결 출간되었다.
색다른 만화, `판타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