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Fun! Movie > 알고봅시다
실화를 로맨스영화로 만들기까지 <빅 식>의 뒷이야기
임수연 2018-07-25

로맨스는 여전히 힘이 세다

쿠마일 난지아니

<빅 식>은 로맨틱 코미디 장르가 아직 주목하지 않았던 미개척 영역이 있고, 그곳에서 여전히 좋은 로맨스영화가 나올 수 있음을 증명한다. 파키스탄 이민자 2세대 남자와 백인 여성이 사랑에 빠지고, 잠시 헤어졌던 두 사람이 결혼을 결심한 계기가 한쪽의 ‘혼수상태’였다는 스토리는 9·11 테러 이후 미국 내에서 더 심해진 인종차별이나 중동권의 여성 혐오적인 문화를 자연스럽게 영화에 끌어들인다. 알고 보면 더욱 영화를 흥미롭고 로맨틱하게 즐길 수 있는 <빅 식>의 이모저모를 정리해보았다.

주인공 배우가 직접 겪은 실화

2012년 드라마 <걸스> 시사회 참석을 위해 남서부 종합 음악 축제를 찾은 주드 애파토우는 팟캐스트 방송 <유 메이드 잇 위어드>에 출연한다. 이 방송에 함께 게스트로 출연하며 배우 겸 작가 쿠마일 난지아니와 친해진 그는 놀라운 이야기를 접한다. 바로 2006년 그가 시카고에서 스탠드업 코미디쇼를 하던 당시 상담치료사가 되기 위해 심리학을 공부하던 에밀리 고든을 만나 결혼에 이르기까지의 사연이었는데, 실제 스토리가 <빅 식>의 시나리오에 거의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리고 <빅 식>의 제작을 맡은 주드 애파토우와 베리 멘델은 쿠마일 난지아니에게 시나리오를 직접 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극본을 구성하는 테크닉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당시 감정, 부모와의 관계까지 다시 들여다보고 세상에 공개하는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다. 난지아니는 “5년 전 일을 들여다보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기쁘면서도 무서웠다. 우리 자신과 과거의 감정 사이에는 창문이 있는 것 같다. 그때의 감정을 모두 기억하고 느낄 수 있지만,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감정들을 분해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도 있다. 다만 시간이 너무 지나면 그 감정들은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난지아니는 고든에게 함께 시나리오를 쓸 것을 제안했다. 심리학 전공자였던 고든은 <허핑턴 포스트> <뉴욕타임스> <GQ> 등의 매체에도 글을 기고한 작가였다. 베리 멘델은 “난지아니가 혼자 쓴 초고도 훌륭했지만 완전히 표현되지 않은 영역이 있었다. 고든이 합류하면서 그 부분이 채워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부부는 애파토우, 멘델과 함께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3년 동안 대본을 수정해나갔다. 그리고 <HBO>의 <실리콘 밸리> 등을 통해 연기 경험이 있던 난지아니는 직접 자신의 캐릭터를 연기했다.

파키스탄-미국의 관계

“우리는 테러리스트를 싫어한다.” <빅 식>에는 난지아니와 그의 형이 식당에서 격하게 이야기를 나누다 주변의 시선을 받자, 굳이 이렇게 말하는 장면이 있다. 또한 난지아니가 공연을 하던 중 한 관객이 “테러 단체로 돌아가라”라는 폭언을 던지기도 한다. <빅 식>에는 다양성을 포용한다는 미국에 정착한 후 현지 문화를 상당 부분 흡수한 파키스탄인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인종차별을 보여주는 것을 놓치지 않는다. 또한 파키스탄인들이 미국에 갖는 적대적인 감정도 함께 묘사된다. 난지아니의 사촌 형이 아일랜드 출신 백인 여자와 결혼했다가 가족에게 거의 버림받았다는 이야기는 극중에서 계속 언급된다. 이렇게 양국간의 감정이 좋지 않고 특히 파키스탄 이민자들이 특히 ‘테러리스트’라는 조롱을 받는 이유는 최근 미국-파키스탄의 외교 상황과 연관이 깊다. 파키스탄의 핵폭탄 제조 계획을 이유로 미국이 경제 및 군사 원조를 거부해오면서 두 나라는 90년대까지 관계가 좋지 않았다. 9·11 테러 이후에는 파키스탄이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대테러 활동에 협조하는 등 관계가 개선되는 듯했으나, 2011년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이 파키스탄 영토 안에서 진행되고 나토군의 오폭으로 파키스탄 군인이 사망한 데 이어 미국은 파키스탄이 테러리스트 척결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인다고 비판하는 등 양국의 관계는 계속 악화되어왔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예 파키스탄에 적대적인 입장을 노골적으로 보이면서 지난 1월 1일 자신의 트위터에 “지난 15년 동안 미국은 파키스탄에 330억달러가 넘는 원조를 했지만, 그들은 거짓말만 했다”며 모든 지원을 중단할 것을 표명하기도 했다.

파키스탄 이슬람교도의 정략결혼 문화

“파키스탄에서 자랐다고 하면 사람들은 늘 거긴 어땠냐고 묻는다. 여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우린 야구가 아닌 크리켓을 하고, 하루에 5번씩 기도를 한다. 부모님이 정해준 사람과 결혼한다. 그것만 빼면 똑같다.” 난지아니가 극중 자신의 쇼에서 언급하는 파키스탄 특유의 결혼 문화는 결국 주인공들의 사랑을 가로막는 결정적인 장애물이 된다. 연애결혼은 금물이며, 결혼의 의미는 곧 정략결혼이라는 파키스탄 문화는 미국에 정착한 이민자 세대에게도 이어진다. 난지아니의 아빠 아즈맛(아누팜 커)과 엄마 샤민(제노비아 샤로프) 역시 정략결혼으로 만났고 아들을 위해 파키스탄 출신 여자들을 끊임없이 집에 초대한다. 남자쪽의 가족이 흡사 상대 여성을 간택하는 듯한 구도는 이슬람 문화가 기본적으로 그러하듯 노골적인 성차별 문제도 함께 안고 있는데, 미소지니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에밀리 고든(조 카잔)은 이런 상황을 두고 “파키스탄 여자 모델 심사위원이라도 됐느냐”며 비판한다.

주드 애파토우

주드 애파토우의 로맨틱 코미디

사실 <빅 식>의 제작 배경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들의 시선을 가장 끌 만한 이름은 감독이나 배우가 아닌, 제작자 주드 애파토우다. 그는 <40살까지 못해본 남자>(2005),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2008), <퍼니 피플>(2009), <내 여자친구의 결혼식>(2011), <디스 이즈 40>(2012), <비긴 어게인>(2013) 등의 로맨틱 코미디를 제작했다. 특히 최근으로 올수록 그는 단지 재미있을 뿐만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충실히 반영한 작품을 만들어왔는데, 최근 <나를 미치게 하는 여자>(2015)는 페미니즘 요소를 로맨틱 코미디에 유쾌하게 녹여냈다는 호평을 받았다. 그런 그가 난지아니와 고든의 실화에 관심을 갖고 파키스탄과 미국의 외교 관계부터 인종차별, 정략결혼 문화 등의 이슈를 녹여낸 <빅 식>을 제작한 것은 자연스러운 행보일 것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