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한국영화감독 7인②] <죄 많은 소녀> 김의석 감독 - 모두가 패배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싶었다

한 소녀가 실종됐다. 자살로 추정되는 이 사건을 두고 부모와 경찰, 교사와 학생들이 책임 공방을 벌인다. 교사들은 평소 그 학생의 행실을 되짚으며 학교에는 책임이 없다는 구실을 찾기 바쁘고 경찰은 소녀의 마지막 행적이 찍힌 CCTV를 보며 함께 있었던 친구들을 추궁한다. 이 상황을 지켜보던 부모는 자기 딸이 차디찬 강바닥을 향해 마지막 걸음을 옮기기까지 어느 누구도 손 내밀어주지 않았다는 사실에 분개한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뉴 커런츠상을 수상한 김의석 감독의 <죄 많은 소녀>는 한 소녀의 죽음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소요를 통해 이 사회가 갖고 있는 구조적 모순과 인간의 도덕, 윤리적 모순을 동시에 드러내고자 한다. 영화제 상영 일정을 함께하며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했던 김의석 감독이 연출 의도를 묻는 관객의 질문에 “나라는 사람을 고발하고 인간성의 한계를 내뱉고 싶었다. 좀 추악할 수도 있는데 최선을 다해 울부짖는 마음으로 만들었다”라고 말한 답변에서 영화의 정서 내지 영화 스타일을 유추해볼 수 있다. <죄 많은 소녀>는 한국 사회가 처한 현실을 향해 외마디 비명을 내지르는 영화다.

“어느 날 영화에 등장하는 사건과 유사한 일을 겪었다. 그 이전까지는 안전한 벽에 둘러싸인 시스템 안에서 잘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 일을 겪고나니 결코 완벽한 사회가 아니구나, 불완전하고 오만한 이 사회에 내가 속으며 살았구나, 라는 인간적인 한계를 느꼈다.” 김의석 감독이 겪은 개인적 경험의 바탕에서 출발한 <죄 많은 소녀>는 그의 말처럼 교실이라는 소우주 안에서 세상과 동떨어진 채로 안전하다고 여기며 살던 아이들의 세계가 무너져버리는 순간에 벌어지는 비극에 주목한다. 부모를 비롯한 경찰과 교사들은 어른들대로 책임을 전가하고 있고 그 기운은 친구의 죽음을 둘러싸고 어리둥절해하는 아이들에게까지 전해진다. 김의석 감독은 친구의 안타까운 죽음에 도덕적 책임이 있다고 손가락질 당하는 주인공 영희를 통해서 “잘못을 고발해도 안 될 거라는 걸 너무 잘 알지만, 누군가는 소리치다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한다.

다소 무거운 주제와 함께 감독 본인의 경험에서 비롯된 진솔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담아낼 배우의 캐스팅 과정의 키워드는 대화였다. 김의석 감독은 배우들과 오디션을 진행할 때 배우가 가진 연기의 테크닉적인 능력보다는 진심 어린 대화를 통해 “할 이야기가 있고, 또 그들의 이야기를 내가 해줄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을 중심으로 배역을 맡겨나갔다. 역할의 제한을 두지 않고 많은 배우들을 만난 끝에 영희 역의 배우 전여빈과 실종된 친구 경민 어머니 역할의 배우 서영화에게 감독의 자아와도 같은 두 캐릭터를 맡겼다. 촬영장에서도 찍다가 막히면 배우들과 대화로 풀어나갔다. 연기의 디테일보다 “현장에서 배우들에게 진짜 같았으면 좋겠다는 말을 많이 했다”. 영화가 다루는 비극을 진짜처럼 보이기 위한 고민은 캐스팅 이후에도 계속됐다. 사실상 두 인물이 영화의 전체를 이끌고 가는 듯하지만 김의석 감독은 “재난영화 같은 플롯을 구상했다. 중심이 없는 주변부의 이야기를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강했다. 모든 배우가 다 보이는 영화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이어서 여고의 교실 풍경을 “진짜처럼 보이게 하려고” 10대 청소년 관련 다큐멘터리를 보며 연구했고, 촬영감독에게는 “학교가 수도원처럼 보이게 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이들 사이에서 퍼져나가는 죄책감 그리고 그로 인해 완전히 붕괴되고 마는 세계를 보여주고 싶은” 마음에 영화의 인물 중 누가 선이고 악인지 구분조차 될 수 없게끔 “모두가 패배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한다.

김의석 감독이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내세운 영화적 전략은 탄탄한 미스터리 스릴러 구조다. <죄 많은 소녀>는 영화 안에서 어떤 사건에 내던져진 인물과 그들을 바라보는 관객 모두를 배반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아이들에게서 퍼져나가는 죄책감의 흔적과 붕괴되는 사회를 보여주기 위한” 그의 영화적 전략은 최근의 한국영화에서 쉽게 찾아보기 힘들었던 충격을 선사한다. 영화의 결말 너머에는 어느 누구도 선과 악의 분명한 위치에 서있지 못하는 뒤틀린 세상의 진짜 풍경이 기다리고 있다.

김의석 감독은 한국영화아카데미 27기 출신으로, 당시 만들었던 단편 <오늘은 내가 요리사>가 2009년 미쟝센단편영화제에서 관객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1년 제13회 정동진독립영화제에서 땡그랑동전상을 수상한 단편 <구해줘!>를 졸업작품으로 만들고 나서 한동안 영화를 계속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방황하던 때도 있었다. 그러다 마침 나홍진 감독의 <곡성>(2016) 연출부에 참여하지 않겠냐는 제의를 받았다. “소문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던” 촬영장에서 동물 관리를 포함한 온갖 궂은일을 도맡기도 했다. 그때 일을 계기로 다시 마음을 다잡으며 <죄 많은 소녀>의 시나리오를 완성했고 한국영화아카데미 장편영화 제작연구과정 10기에 합류하게 됐다. “이 영화는 개봉을 거쳐 관객과 만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여겼다. 등급분류상 당연히 청소년 관람불가의 내용을 담게 될 것이라 여겼다.” 제작과정에서 교수님들과 가장 많이 부딪친 부분이 바로 상업영화로서의 가능성이었다. “그 과정을 타협이라 말하고 싶지는 않고 어떻게든 내 의도를 오롯이 전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 촬영이 끝난 이후 편집도 혼자서 했는데 내가 고집을 너무 부려서인지 교수님들이 나중에는 방목을 하더라. (웃음)” 자신의 처음이자 마지막 작품이 될 것 같다는 마음으로 완성해낸 영화가 영화제에 출품까지 하고 관객과의 대화를 하게 돼 기분이 묘하다는 그의 차기작은 “사회에서 버려지고 내쳐진 인간들이 다시 그 속으로 들어가려 발버둥치는 이야기”라고 한다. “힘없고 버려진 중년 남자들이 열심히 사회에 이바지하고, 시스템 안에서 주요 역할을 하며 살다가 내쳐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 그들의 모습에서 비열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래서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 무너진 세상에서 그가 보여줄 또 다른 살풍경을 하루빨리 보고 싶다.

<죄 많은 소녀> 시놉시스

경민(전소니)의 실종사건을 수사하던 경찰은 경민과 영희(전여빈), 한솔(고원희), 세 사람 사이에 말 못할 사연이 있음을 눈치채고 영희와 한솔을 추궁한다. 결국 자살로 밝혀진 경민의 죽음 앞에서 경민의 엄마(서영화)를 비롯해 교사와 경찰은 합심이나 한 듯 영희에게 도덕적 책임을 물은 뒤 수사를 종결지으려 한다. 이에 친구들까지도 가세해 영희에게 등을 돌리자 영희는 자신의 결백을 이해시킬 어떤 사건을 모의한다. 그러나 영희는 자신의 행동이 예상과 다른 결과를 초래하자 당황하고, 다른 아이들은 영희가 아닌 또 다른 희생양을 찾아내야 자신들이 살아가는 위태로운 학교 울타리가 깨지지 않을 거란 사실을 깨닫는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