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부산국제영화제 정상화와 전 집행위원장 명예회복 둘러싼 김동호 이사장의 태도 비판
조종국 2017-03-03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 이사장의 최근 발언이 입길에 올랐다. 지난 2월20일 열린 시민공청회에서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명예회복 방안을 묻는 질문에 ‘난 할 만큼 했다. 더이상 방법이 없다’며 도리어 ‘수용할 수 있는 거면 반영할 테니 방법을 이야기해보라’고 정색했고, 정기총회에서는 ‘노력해보겠다’고 대답한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김동호 이사장의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 명예회복과 부산영화제 정상화에 대한 인식이 영화계와 시민사회단체 등의 기대와는 많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부산영화제 정상화의 첫 단추는 ‘부산영화제의 명예’를 회복하는 것이다. <다이빙벨>(2014)을 상영했다는 이유로 자행된 집행위원장 표적 탄압의 실상이 드러났으니 이를 먼저 되돌려놓아야 한다. 정부 차원의 기획에 따라 부산시장이 실행한 정치적 보복의 실체를 명백하게 규명하고 책임을 묻는 것이 곧 부산영화제의 명예를 회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제로 잘린 집행위원장’에 대한 입장과 태도는 부산영화제를 복구하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좌표다. 김동호 이사장의 최근 발언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날이 서 있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김동호 이사장은 당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꼼꼼하게 부산영화제와 <다이빙벨>을 ‘챙기던’ 그때 대통령소속 문화융성위원회 (장관급)위원장이었다. 2016년 5월24일 열린 부산영화제 임시총회에서 김동호 이사장은 조직위원장이 됐고, 6월1일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은 첫 재판을 받았다. 그리고 며칠 후 프랑스 파리로 날아가 6월3일 한·프랑스 정상회담 후 열린 ‘한·불 리더스포럼’ 정책제안서를 설명하는 자리에 외교부 장관 등과 함께 박근혜 대통령을 수행했다. 당시 김동호 이사장은 현실 권력이었다. 서병수 부산시장이 내놓은 조직위원장 자리를 김동호 이사장이 ‘아무 조건 없이’ 이어받은 것은 사실상 ‘이용관 축출’의 끝내기 한수였던 것이 아닐까.

김동호 이사장은 그동안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에 대해 ‘재판 결과에 따라 명예회복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해왔다. ‘전 집행위원장’의 명예회복은 김동호 이사장이 처분할 일이 아니다. 김동호 이사장의 고백이 먼저다. <다이빙벨> 논란 당시 청와대와 문화체육관광부, 부산시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밝히는 것이 도리다. ‘나도 외압 요구를 거절했다’고 피해가지 말고, 듣고 본 대로 증언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제 와서 자신도 피해자라고 역정 낼 일이 아니다. 공직자는 자신의 자리가 담고 있는 사회·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엄정하게 따져야 한다. 김동호 이사장의 고백과 결단으로 부산영화제 정상화의 물꼬가 트이기를 기대한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