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더링 시스템은 대규모 자본 투입과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잦은 업그레이드로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이 크다. 민간에서 구축하기 어려운 이 작업을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대신해 관련 업계에 서비스할 계획”이라며, 올해 안에 “CG 렌더링과 관련한 공공 인프라를 구축”하겠다(<서울경제>, 8월10일자)는 김세훈 영진위 위원장의 전언이다.
“CG 렌더링과 관련한 공공 인프라 구축” 사업의 현재 명칭은 ‘차세대 씨네 클라우드 렌더링 시스템’ 구축 사업이다. 이 사업은 김세훈 위원장 취임 때부터 강력하게 추진됐다. 취임 직후인 2015년 4월9일 ‘차세대 시네네트워크 렌더링 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이 발주되었다. 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 동안의 기간이 주어졌다. 용역 결과, 연구보고서는 아직도 공개되지 않았다. 더불어 동일한 기간 동안 추진된 2016년 영화발전기금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는 “디지털영화허브 조성(4320): 차세대 시네네트워크 렌더링 인프라 구축(3920), 사전시각화 개체 라이브러리 구축(400)”이라는 명칭으로 해당 예산이 반영됐다. 연구용역이 끝나기도 전에 차기연도 사업예산이 반영된 것이다. 그리고 드디어 2016년 5월12일에는 ‘차세대 씨네 클라우드 렌더링 시스템 구축 계획 안내”라는 공지사항을 발표했다. 대략 2월에서 5월까지 “시스템 구축 초안 마련 및 BMT를 진행”하고, 6월경 사업공고를 해 12월에는 시범서비스를 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여기서 BMT란 ‘Bench Marking Test’를 말한다. 시스템 발주 전에 사용 가능한 경쟁 소프트웨어 제품들의 성능을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영진위 자료에 따르면 2016년 4월7일에 “‘차세대 시네네트워크 렌더링 인프라 구축’ 설계 용역”을 엘지엔시스 주식회사와 무려 “수의”계약했다. 2회 유찰 등의 법률적 이유 없이 “특정용역”이라며 수의로 계약한 것이다. 엘지엔시스는 클라우드 렌더팜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는 사업자다. 입찰 공고가 공고된 시일보다 늦어지는 와중에 영진위가 씨네 클라우드 사업을 “대기업의 공공소프트웨어사업자 참여제한 예외사업”으로 신청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2016년 1월19일에 김세훈 위원장이 직접 “디지털영상인프라 구축 관련 일본 출장”을 다녀오면서까지 챙기는 영진위 역점사업이다. “한국 영화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의 핵심적인 도구로 추진되는 이 사업이, 그래서 그만큼이나 중요하다면 진정 사업 추진에 급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