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원승환 독립영화전용관 확대를 위한 시민모임 이사
지난 5월3일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독립영화전용관 문제를 통해 본 문화융성정책의 현실’ 포럼이 열렸다.
지난 5월3일,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독립영화전용관 문제를 통해 본 문화융성정책의 현실’이라는 주제의 포럼이 열렸다. 이 포럼은 독립영화전용관의 현황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관련 정책의 변화 과정을 통해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지원정책의 공과를 평가하기 위한 자리였다.
박근혜 정부 4년간 독립영화전용관을 둘러싼 지형은 크게 변화했다. 무엇보다 독립영화전용관 수가 늘어난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16년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독립영화전용관은 인디스페이스, 아리랑시네센터, CGV압구정, 인디플러스, 시네마테크 KOFA 등 서울의 5곳과 대구 오오극장, 부산 인디플러스 영화의전당(올해 3월 개관) 등 모두 7곳이다. 박근혜 정부 첫해인 2013년 4곳이 운영 중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전용관 수만 놓고 보면 크게 성장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내막을 들여다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독립영화전용관의 증가는 지원정책으로 인한 결과가 아니라 영화인과 관객의 자구적 노력의 성과였다. 안타깝게도 지원정책은 민간의 노력과 반대로 움직였다. 2015년 영진위가 지원한 독립영화전용관은 직영하는 인디플러스와 한국영상자료원의 시네마테크 KOFA, 그리고 서병수 부산시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인디플러스 영화의전당 등 3곳뿐이었다. 민간에서 설립한 인디스페이스와 대구 오오극장 등은 지원을 받지 못했다. 지원의 필요성이 큰 민간의 비영리 영화관이 지원에서 제외된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영진위의 독립영화전용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곳들은 공교롭게도 <다이빙벨> 등 정부 정책에반대되는 독립영화를 상영했다. 특정 영화의 상영 여부가 지원 여부를 결정했다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원기관이 특정 영화를 상영한 영화관을 지원에서 배제함으로써 지원을 받으려면 특정 종류의 영화는 상영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조장한 것이다. 독립영화는 자본과 정치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다수의 목소리가 아니라 소수의 목소리를 대변할 때 존재 가치가 있는 것이다. 독립영화를 지원하는 정책이 표현의 자유를 통제해서는 곤란하다. 지원정책의 목적을 다시금 되새겨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