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조종국 <씨네21> 편집위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월16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 참석했다.
박근혜 정부 ‘관치’ 경제 정책의 상징인 창조경제혁신센터가 17개 특별, 광역시•도에 포항을 더해 전국 18개 지역에 문을 열었다. 전국 각 지역 출범식에 대통령이 대부분 직접 참석해 관심이 각별하다는 것을 역설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마다 대기업 한곳과 그 지역의 특화(주력) 사업을 엮어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거점이라고 한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롯데그룹(이하 ‘롯데’)이 ‘글로벌 유통, 영화•영상 생태계,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시티 구축’을 전략 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으로 지난 3월 문을 열었다. 출범 당시 발표한 400억원 규모로 영화•영상 특화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은 영화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400억원 중 200억원(롯데 100억원, 부산은행 100억원 출자)은 영화사에 싼 이자로 빌려주는 ‘융자펀드’로, 나머지 200억원(롯데 100억원, 부산시 60억원, 부산은행 40억원 출자)은 영화제작에 투자하는 ‘제작펀드’로 운용한다고 했다. 애초 지난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에 본격 홍보할 예정이었으나 롯데와 부산시의 펀드 운용에 대한 생각이 달라 차질을 빚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부산 지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제작펀드 이름을 ‘부산-롯데 창조영화펀드’로 하고 ‘일반 상업영화’와 ‘부산프로젝트, 다양성, 중저예산 영화’를 50 대 50(각 100억원)으로 투자하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부산 지역 기반업체 참여 또는 제작 프로젝트, 부산 이전 또는 부산 소재 제작사와의 공동 제작 프로젝트, 부산 촬영비중 20% 이상인 영화’를 부산 프로젝트로, ‘영화진흥위원회 인정 심사기준에 부합하는 비상업영화’와 ‘순제작비 36억원 이하인 영화’를 다양성, 중저예산 영화로 구분했다. 작품마다 총제작비의 20% 이내로 투자하고, 5억원 이하의 다양성영화는 50%까지 투자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애초 롯데가 일반 상업영화 70%, 예술영화 20%, 부산 로케이션 영화 10% 비중으로 투자할 계획을 내놓자, 부산시는 일반 상업영화 60%, 부산 관련 영화 40%로 하자고 요구해 그동안 제법 긴 실랑이를 벌였다고 한다. 뭔가 복잡한 것 같지만 제시한 여러 조건과 한국영화 제작 현실을 감안하면 예상되는 결과는 단순해 보인다. 정작 부산은 돈만 대고 펀드는 롯데 입맛대로 할 공산이 큰, 조삼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