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따뜻하되, 과하게 뜨겁지 않게!
장영엽 사진 최성열 2015-09-22

<설국열차> <좋은 친구들> 백지선 프로듀서

<좋은 친구들>(2014) 프로듀서 <설국열차>(2013) 프로듀서 <너는 내 운명>(2005) 마케팅

백지선 프로듀서의 이력은 독특하다. 2004년 스튜디오 2.0의 해외배급팀 업무로 영화 일을 시작했고 영화사 봄에 입사한 뒤엔 <너는 내 운명>의 마케팅을 맡기도 했다. “미국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영화에 관심을 가지게 됐는데, 한국 들어와 영화를 하려고 보니 생각보다 영화판이 폐쇄적이더라. 공채로 뽑히기에는 학교 졸업도 늦게 한 편이고, ‘연’줄이 없으면 일을 구하기도 쉽지 않았는데 난 영화 전공도 아니었고. 그런 상황에서 내가 지원할 수 있는 부서는 영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하는 해외배급 업무뿐이었다.”

펀드매니저를 꿈꾸던 그녀가 영화계로 눈을 돌리게 된 건 대학 시절 친구들이 만드는 단편영화 작업을 도우면서였다. 단편영화를 완성해놓고도 뭘 어찌해야 할지 모르고 있던 친구들을 돕는 과정에서 단편을 모아 영화제에 출품하고, 비슷한 장르의 단편영화를 ‘패키징’으로 모아 방송국을 상대로 세일즈를 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백지선 프로듀서는 영화를 함께 만들어간다는 것의 즐거움을 처음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 그녀가 해외배급팀에 머물지 않고 프로듀서를 지망하게 된 이유는, “꼼꼼하고, 수에 밝은” 자신의 특성이 프로듀서의 역할과 잘 맞을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었다고.

현장 출신이나 영화를 전공한 프로듀서들보다 출발은 늦었지만, 백지선 프로듀서의 이력은 짧고 굵다. 대규모 글로벌 프로젝트인 <설국열차>가 그녀의 입봉작이다. 지난 2006년부터 영화사 집의 기획팀장을 맡아왔던 백지선 프로듀서는 <설국열차>의 제작을 맡은 이태헌 오퍼스픽쳐스 대표(영화사 집의 이유진 대표와 이태헌 대표는 함께 투자사 유나이티드픽처스를 설립한 영화적 동료다)의 추천으로 이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됐다. 해외파 출신으로 미국, 유럽의 여러 회사와 영어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이 <설국열차>와 같은 글로벌 프로젝트에서 장점으로 작용한 거다. 총괄 프로듀서인 박태준 프로듀서가 현장을, 최두호 프로듀서가 감독과 배우, VFX를 맡았고 백지선 프로듀서는 비즈니스적인 업무에 집중했다. “<설국열차>는 시스템은 할리우드인데 자본은 한국 돈이고 진행은 체코를 비롯한 유럽에서 하는 영화였다. 그러다보니 계약적으로 충돌하는 지점이 너무 많았다. 가장 풀기 어려웠던 사항 중 하나가 보험이다. 한국의 보험법은 한국을 벗어나는 순간 적용되지 않는다. 해외에는 국가간의 서로 다른 보험 체계를 정리한 ‘크로스 보험’을 다루고 있는 회사들이 있는데, 이 보험사들에 한국의 보험법이 적용되지 않기에 애를 많이 먹었다.” 가이드라인이나 참고할 만한 사례가 전무했기에 ‘맨땅에 헤딩’한다는 생각으로 국제적으로 상충하는 계약사항들을 하나씩 풀어나가는 과정을 경험한 건 프로듀서로서의 큰 자산이 되었다고 백지선 프로듀서는 말한다. “결국은 어떤 형태의 시스템을 가지고 갈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 <설국열차>를 작업할 때에는 경험이 없었기에 눈앞에 직면한 문제부터 닥치는 대로 해결했지만, 다시 글로벌 프로젝트를 하게 된다면 저작권과 수익 분배 등의 역할 분담 과정에서 어떤 시스템을 취할지를 명확하게 정하는 것부터 출발할 것 같다.”

백지선 프로듀서와 오랫동안 함께 일해온 영화사 집의 이유진 대표는 그녀의 장점이 ‘기획력’에 있다고 말한다. “시나리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영화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감각”이 뛰어난 프로듀서라는 얘기다. <설국열차>의 경우와 달리 프로듀서로서 홀로서기를 해야 했던 <좋은 친구들>은 그런 그녀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사례다. 특히 ‘주인공 느낌’이 강한 인철(주지훈)보다 감정적으로 흔들리는 현태(지성)의 심리에 주목하자는 판단, ‘예능인’의 이미지가 강했던 이광수라는 배우의 어두운 면모를 발견케 하는 캐스팅이 가능했던 데에는 백지선 프로듀서의 선택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좋은 친구들>의 시나리오를 처음 읽었을 때 가장 연민이 느껴지는 인물이 현태였다. 인철과 민수(이광수)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잘못을 하지만, 적어도 친구들에 대한 마음만큼은 진심이었으니까. 엔딩에 이르렀을 때 심정적으로 가장 큰 아픔을 겪는 현태의 마음에 관객이 동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현태라는 인물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에 대해 이도윤 감독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무엇보다도 이 작품을 ‘현태의 영화’로 만들어야 한다는 이태헌 대표님의 말씀이 큰 도움이 됐다. 뻔한 캐스팅보다는 배우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캐스팅을 해야 한다는 건 이유진 대표님을 보며 많이 배우고 느꼈다. 광수씨의 경우 드라마 <착한 남자>에서의 정극 연기를 인상깊게 봤기에 민수 역을 잘 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배우의 다른 면모를 발견하기 위해 평소 영화 외에도 드라마, 화보 등 다양한 자료를 찾아보는 편이다.”

에드워드 양의 <하나 그리고 둘>과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들, 토마스 알프레드슨의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를 좋아한다는 백지선 프로듀서는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분명하고 진정성이 있으며, 따뜻함을 지니고 있되 그 따뜻함을 지나치게 뜨겁게 표현하지 않는”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한다. 끌리는 영화와 아이템이 다소 상업적이지 않은 것 같아 걱정이라며 웃었지만, 적어도 자기만의 분명한 색깔을 가진 프로듀서가 여기에 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답변이었다. 당분간 신인감독들과 함께 영화를 만들어가는 즐거움을 누리고 싶다는 백지선 프로듀서의 감각이, 최근 함께 작업 중이라는 조의석 감독(<감시자들>)의 신작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보고 싶다.

식물 돌보기

<좋은 친구들>을 마무리한 뒤부터 백지선 프로듀서는 화분을 키우기 시작했다. “영화를 마치고 3, 4개월 일을 쉬었다. 길을 잃었다고 해야 할까. 좋은 영화를 만들자는 빌미 아래 누군가에게 금전적인 손해를 입히는 게 과연 좋은 프로듀서인가. 그런 생각이 든 거다. 그렇다고 전형적인 흥행 공식을 따르는 영화는 죽어도 못하겠고. 아직도 ‘어떤 기획을 해야 할 것인가’는 나에게 큰 질문으로 남아 있다.” 복잡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베란다에 들여놓은 화분은 한두개에서 어느덧 열개를 훌쩍 넘어섰다. 물을 잘못 주는 바람에 죽어버린 식물도 있지만 서서히 키우는 노하우를 알아가는 중이라고 그녀는 말했다. 오랜 시간 공들여 싹을 틔우고 잎을 자라나게 하는 과정이 영화의 그것과 꼭 닮았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