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조종국 <씨네21> 편집위원
며칠 후면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의 막이 오른다. ‘부산영화제 20년’의 성과와 의미는 몇줄의 글로 옮기기 어렵다. 한국영화사 전반을 관통하는 큰 공적임은 물론, 어떤 문화•예술 행사도 견주기 어려울 정도로 그 성취는 독보적이다. 부산영화제의 성공과 약진을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주목하는 것도 새삼스럽지 않다. 20회를 맞는 올해 부산영화제에 어느 해보다 큰 기대와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올해 부산영화제를 주의깊게 지켜보는 좀 다른 눈길도 있다. ‘제20회’라는 의미도 크지만 한바탕 ‘내홍’(사회•정치적인 맥락은 별개로 하고, 부산시장인 조직위원장과 집행위원장의 충돌이라는 구도만으로 내부 갈등이라 표현)을 겪고 가까스로 봉합된 상황에서 여는 영화제라 후유증이 뒤따르지 않겠느냐는 우려다. 당장 큰 불화 없이 정상화 수순을 거치고 있으니 무난한 영화제가 될 것이라고 안도하지만, 내홍의 여파가 걱정스럽다는 불안한 전망도 적지 않다.
부산영화제는 10회를 지나면서 예산과 운영, 상영작과 관객수 등 영화제 전반이 규모와 안정세를 갖췄다. 상영작 수준도 약간의 부침은 있었지만 대체로 고른 편이었다. 무엇보다 ‘정치성 논란’이 없었던 것을 두고 많은 이들이 부산영화제의 역량이 축적된 모범사례로 칭송했다. 하지만 부산시장이 <다이빙벨> 초청을 취소하라고 압력을 넣고, 말 안 듣고 상영했다고 집행위원장에게 물러나라고 종용한 사태는 영화제의 정치성 논란 사례로 단연 첫줄에 올랐다. ‘비정치적인 영화제’, ‘탈정치적인 영화제’로 지난 20년간 부단히 단련해온 부산영화제가 역설적이게도 가장 정치적인 영화제가 되고 말았다. 호된 성년식을 치른 셈이다.
부산영화제는 앞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른 크고 작은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훨씬 커졌다. 영화제의 고유한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영화제의 본령을 지켜내기 어려운 냉혹한 현실이 도래한 것이다. 반문화적인 초보 시장의 경솔함 탓에 묵시적인 합의로 제각각 존중하던 ‘비정치’, ‘탈정치’의 저지선이 일거에 무너졌기 때문이다. 그 여파와 뒤탈이 짐작보다 훨씬 거칠고 가혹할지 모르지만 수년간 견디고 돌파해야 할 부산영화제의 숙명이다. 무너진 영화제의 명성을 복원하고 상처난 명예를 회복하는 일은 요령이나 지름길이 없다. ‘영화 중심’이라는 명분과 ‘관객 중심’의 원칙을 담대하게 고수하는 것이 유일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