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원승환 독립영화전용관 확대를 위한 시민모임 이사
11월19일과 20일, 토론회 ‘지역 영화관의 새로운 도전’과 ‘충북/청주 영화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포럼’이 서울과 청주에서 연이어 개최되었다. 서울에서 열린 토론회는 인디스페이스 개관 7주년을 맞아 개최된 것으로 2012년 이래 하나둘 늘어나고 있는 민간 자발의 독립예술영화관의 현황과 과제를 점검하는 자리였고, 충북 민예총이 주최하고 청주 씨네오딧세이 등이 주관한 청주 포럼은 충청북도와 청주의 영화 수용 환경을 점검하고 청주에 지역 공공영화관을 새롭게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자리였다.
서울 토론회에서는 강릉 독립예술극장 신영과 대구 독립영화전용관 오오극장의 사례가 발표되었고, 오랫동안 지역 예술영화관을 운영해온 대전 아트시네마와 서울아트시네마, 그리고 지역 영화관 설립을 검토하고 있는 부산독립영화협회와 울산미디어연대의 토론이 있었다. 이 토론회는 민간 자발적 방식의 영화관은 아직 수도 많지 않고, 무엇보다 설립과 이후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수많은 과제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였다. ‘꿈과 희망’을 품고 영화관을 시작하지만, ‘경영’이라는 현실 속에서 ‘꿈과 희망’은 쉽게 깨어진다. ‘재정의 불안정성’은 상존하는 위협이다. 하지만 꿈과 희망은 다른 지역에서 또다시 시작된다.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 청주의 토론회도 희망보다는 많은 과제를 확인하는 자리였다. 지역 독립예술영화관은 꼭 필요하지만 실현하기는 쉽지 않다. 실현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길은 무엇일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지역 독립예술영화관이 수익성이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란 점이다. 수익성이 있었다면 많은 지역 독립예술영화관이 이미 설립, 운영되고 있을 것이다. 지금 지역 독립예술영화관을 고민하는 것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를 보다 다양하게 향유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의 ‘공유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 공유지의 창출과 지속을 위해서는 민간 영화관들의 협동과 자구적 노력이 좀더 필요하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공공 정책의 역할도 필요하다. 민간이 직접 공유지를 만들겠다고 나선 것은, 시장이 실패했고 공공 정책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한 탓이다.
하지만 현재 영화진흥정책은 이런 민간의 의지나 요구와는 거리가 멀다. 현재의 정책과 제도들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기엔 낡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변화된 현실에 대응하지 못하고 역행하는 것이다. 영화 문화 다양성과 평등한 향유권을 위한 새로운 정책 프레임이 필요하다. 민간의 활동들과 머리를 맞대고 좀더 함께 호흡하는 진흥기관의 역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