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flash on
[flash on] 좋은 영화가 나를 부른다
김성훈 사진 백종헌 2014-10-30

중국 최대 온•오프라인 플랫폼 회사이자 투자배급사 ‘러스잉예’ 장자오 대표

중국발 태풍이 상륙했다. 중국 투자배급사 러스잉예가 10월21일 을지로 롯데호텔에서 한국 무일영화사(대표 최광석)와 함께 ‘한•중 감사의 밤’ 행사를 열고, 한•중 공동제작 계획을 발표했다. 러스잉예는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LeTV’를 운영하고 있는 동시에 중국 전역 108개 도시에 1200여개 스크린을 가지고 있는 중국 최대 온•오프라인 플랫폼 회사다. 한국에서 극장 개봉한 장이모 감독의 신작 <5일의 마중>과 올해 여름 시장에서 20억위안(3472억원)을 벌어들인 <소시대>(감독 궈징밍) 등 매년 약 15편의 영화와 드라마를 제작하는 제작사이기도 하다. 러스잉예 장자오 대표는 “<5일의 마중> 개봉도 했고, 한국 감독을 비롯해 투자배급사를 만날 목적으로 서울을 찾았다”고 출장 목적을 밝혔다.

-매년 제작 편수가 얼마나 되나. =올해는 15편 제작했다. 내년에는 20편 정도다. 경쟁사에 비해 많은 편이다. 그중 한편만 대표인 내가 직접 진행한다. 지난해 <5일의 마중>을 직접 진행했다. 나머지 영화들은 프로듀서를 고용해 맡긴다.

-대표가 직접 진행하는 작품은 다른 프로젝트에 비해 진행이 수월할 것 같다. (웃음) =CEO라고 혼자서 회사의 유능한 감독들을 독차지하진 않는다. 다른 감독들이 섭섭해한다. (웃음) 프로듀서는 업무량이 많지 않나. 대표로서 매년 한편씩 직접 진행하는 것도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러스잉예가 많은 콘텐츠를 제작하려는 이유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사업자이기 때문인가. =맞다. 젊은층, 중•장년층 등 다양한 관객층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 올해 라인업을 예로 들어보자. 지난 5월 개봉했던 <5일의 마중>은 30대 중반부터 50대의 관객을 위한 영화다. 여름 시장에 선보였던 <소시대>는 10대 중반과 20대 여성 관객을 노린 작품이었다.

-재무적 투자라는 안전한 투자 방법도 있는데 직접 제작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10대 중반부터 30대 중반까지의 중국 여성들은 한국 스타, 드라마를 무척 좋아한다. 이 수요를 충족시키려면 그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밖에 없다.

-내년 상반기까지 한국 감독 10명과 계약해 공동제작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왜 한국 감독인가. =한국 감독과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같은 한국 스토리에 대한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매년 수백편의 중국영화가 제작되는데, 그들 중 상당수가 일정 수준 이상의 완성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한국영화나 드라마는 중국보다 완성도가 높다. 중국 감독들이 한국 감독과의 경쟁을 통해 성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러스잉예뿐만 아니라 아이치이나 요쿠투더우 같은 경쟁사들 역시 올해 아시아필름마켓에 참가해 한•중 공동제작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중국 거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러스잉예가 고민하고 있는 건 뭔가. =돈으로 맺어진 관계는 진정한 합작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돈으로 이길 자신은 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건 한국 감독이 가진 능력을 새로운 브랜드로 만드는 것이다. 한국 감독과 함께 영화를 제작한다면, 중국 관객은 이미 그 한국 감독이 누군지 잘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극장에 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과의 합작은 어떤 방식을 고려하고 있나. =판권을 공동으로 구매해 제작하는 방식, 웹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함께 만드는 방식, 자본을 공동으로 투자하는 방식, 한류 상품을 함께 생산하는 방식 등 모든 형태의 비즈니스를 생각하고 있다.

-한국 영화계 일각에서는 언젠가 한국 영화산업이 중국에 잠식당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있다. =한국과 중국이 대등한 관계로서 합작하는 게 중요하다. 한국 감독이나 제작자가 중국과 공동제작을 하게 되면 중국 시장을 얻게 된다. 반대로 우리가 한국과 함께 사업을 하면 한국 시장을 얻게 된다. 분명한 건 한국이 중국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중국의 그것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다.

-러스잉예는 할리우드 레디컬 스튜디오와 함께 합작회사 레디컬 비전 유에스에이를 설립했다. 이곳에서 개발된 아이템은 할리우드영화로 만들어지는 건가. =그렇다. 이 회사에서 제작되는 영화는 중•미 합작영화다. 장이모 감독의 신작 <만리장성>이 이곳에서 제작된다. 만리장성을 소재로 한 이야기로, 맷 데이먼이 출연하기로 했다. 설립 2년 만의 창립작이다. 앞으로 더 많은 중•미 합작 프로젝트를 제작할 계획이다.

-개인적인 얘기도 좀 해보자. 전공이 영화연출이라고 들었다. 경영으로 진로를 바꾼 계기가 뭔가. =미국에서 영화연출을 공부했다. 학업을 마친 뒤 중국으로 돌아갔을 때 중국 영화산업의 큰 문제를 맞닥뜨려야 했다. 그 문제는 감독들의 수준이 낮은 게 아니라 산업 시스템이 나아지지 않는다는 것. 수많은 젊은 감독들은 투자자를 구하지 못했고, 영화를 완성하더라도 배급 때문에 박스오피스 성적이 나쁘게 나왔다. 영화를 만들어봤기에 젊은 감독들의 절박한 심정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중국으로 돌아온 지 10년 만이었던 2005년, 제작사 광시엔 미디어를 설립해 <무극>을 만들었다.

-당시 중국 영화산업 시스템을 바꾸기 위해 시도했던 건 뭔가. =중국 70여개 도시에 마케팅과 배급을 담당하는 사무실을 개설했다. 중국은 도시마다 소비자 취향이 다르다. 그래서 마케팅과 배급은 반드시 로컬화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

-온라인 플랫폼 회사 러스잉예를 설립한 이유가 있나. =2010년 중국 영화산업에 큰 변화가 올 거라는 예감을 했다. 그게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이다. 인터넷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새로운 세대의 생활문화였다. 새로운 세대에 맞는 배급과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광시엔 미디어를 떠나 지금 회사를 설립했다.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또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게 지금의 러스잉예다. 회사 경영에서 중요한 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좋은 영화를 만드는 것만큼 회사를 더 성장시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우리가 서울에서 한국 감독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도 비즈니스 모델을 갖췄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재 중국 관객이 어떤 콘텐츠를 원하는지 잘 알고 있다.

-출장 기간 동안 CJ, 롯데, 와우픽쳐스 등 한국 투자배급사와 만날 계획이다. 그들과의 만남을 통해 무엇을 기대하고 있나. =회사마다 장점이 다르지 않나. 어떤 회사는 극장 배급을 잘하고, 또 어떤 회사는 콘텐츠를 완성도 있게 제작하고. 회사마다 어떤 방식의 합작이 적절한지 만나보고 판단할 것이다.

-한국 감독 만나랴, 투자배급사 만나랴 일정이 빡빡하다. 피곤할 것 같다. =전혀. 영화 얘기라면 지치지 않고 계속 할 수 있다. (웃음)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