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TView
[유선주의 TVIEW] 현실의 은유인 건 알겠으나

<비밀의 문-의궤살인사건>의 좋은 점, 그리고 아쉬운 점

뒤주에서 죽은 사도세자 이선(이제훈)을 ‘공평한 세상’에 대한 ‘희망’을 ‘계몽군주’ 정조에게 계승한 인물로 다시 쓰는 SBS <비밀의 문-의궤살인사건>은 주인공 이선보다 비극의 단초가 된 영조(한석규)쪽이 훨씬 매력적인 캐릭터로 나타난다. 권력을 쥔 왕이면서, 그 권력의 시초에서 콤플렉스를 가지는 영조는 용포를 입은 군왕과 맨발로 흐느끼는 광인을 오가며 자신의 어둠을 그럴듯하게 드리운다. 극중 영조와 정반대 자리에 놓이는 이선은 어떨까? 그는 상식적이지 않은 죽음 이후 부인 혜경궁 홍씨와 아들 정조가 남긴 기록이 엇갈리며 추리의 대상으로 삼음직한 인물이다. 극 밖의 시청자에게는 이에 대한 답이 되어야 하는 한편, 극 안에서는 영조가 왕세제 연잉군이던 시절 노론의 비밀조직이 받아낸 수결문서 ‘맹의’를 목격한 도화서 화원 신흥복(서준영)의 죽음을 밝히는 추리의 당사자가 된다. 그러나 극 초반, 이선이 흥복의 죽음을 추적하는 동기가 연약한 나머지 본인의 캐릭터도, 추리의 긴장감도 놓치고 말았다.

경종의 묘인 의릉 우물에서 발견된 흥복의 사체를 놓고, 노론과 소론이 역모인가 살인인가를 논하며 주도권 다툼을 벌이는 자리에서 이선은 “지금 이 시각, 우리가 가장 중히 여겨야 할 것은 힘없는 백성 하나가 의문의 죽임을 당했다는 겁니다”라고 강변한다. 훌륭한 말이지만 역사 속 사도세자가 죄 없는 궁인을 여럿 죽였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것은 차치하고서라도 현대에서 타임워프해 조선시대 편전으로 뚝 떨어진 자의 목소리로 대리청정 중인 왕세자의 역할을 다시 대리하는 무리수가 발생한다.

사극의 형식을 빌려 현재의 문제를 되살리는 윤선주 작가는 앞서 KBS <대왕세종>에서도 충녕대군(김상경)이 조선 왕실의 정당성을 고민한다는 파격을 선보인 바 있다. 이는 정치의 밖에 있는 책벌레 셋째 왕자라는 조건하에, 저잣거리에서 이전에 당연시하던 것들이 전복되는 체험으로 가능했다. 반면 <비밀의 문…>에서 이어지는 유사한 시도는 부왕의 어둠을 모르지 않으며 국무를 대리하는 왕세자라는 조건을 무시하고 뜬금없이 현대적인 빛으로 현현한 이선의 캐릭터로 인해 거듭 쓴웃음이 비어져나온다. 마치 레이저 포인터로 지적하듯 직접적인 몇몇 단어들. ‘특검’ (특별검험도감의 줄임말), ‘실소유자’, ‘몸통과 꼬리’ 등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BBK 의혹을 염두에 두고 시작된 이야기가 아닐까 싶고, ‘억울한 백성의 죽음’과 수사권을 놓고 다투는 노론과 소론의 싸움을 보면 세월호 사태가 연상되기도 한다. 현실의 은유를 잘 짜내려간 극에서 직조된 무늬를 매만지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면 좋겠지만, 글쎄, 지금은 이중으로 인쇄된 이면지처럼 주인공 캐릭터마저 갈피를 잃게 된 것은 아닐까 의심한다.

+ α

가체 올려? 내려?

<한중록>을 토대로 한 사극 1988년 KBS <하늘아 하늘아>와 MBC <조선왕조 오백년-한중록>의 방영 시기가 겹친 일이 있었다. 경쟁 중인 임충 작가와 신봉승 작가는 영조의 어명에 따라 가체를 금지한 것이 어디까지 적용되는가를 두고 신문지상에 서로 다른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임충 작가는 궁에선 가체를 올렸고, 신봉승 작가는 사대부와 궁에서 모두 내린 머리로 해석했다고.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