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한창호의 오! 마돈나
[한창호의 오! 마돈나] 중성의 아름다움

시몬느 시뇨레 Simone Signoret

<테레즈 라캥>

시몬느 시뇨레가 세계 영화계에 이름을 알리게 된 것은 자크 베케르 감독의 <황금 투구>(1952)를 통해서다. 벨 에포크 시대를 배경으로, 당대의 인상주의 그림과 같은 아름다운 풍경이 등장하는 시대물이다. 하지만 그 내용은 개봉 당시의 전쟁의 상흔이 그대로 느껴지는 ‘가난한 자들’의 멜로드라마이다. 등장인물들이 대개 깡패, 전과자, 실업자들이고, 시뇨레는 매춘부로 나온다. 그녀는 조직범죄자들의 통제를 받고 있지만 이들이 행하는 폭력의 위협에도 눈 하나 꿈쩍하지 않고, 자신의 사랑을 찾아가는 당찬 여성을 연기한다. 아름다운 금발을 마치 투구처럼 장식한 데서 이 영화의 제목이 나왔고, 매춘부이지만 자신에게 당당한 강인한 인상은 시뇨레의 여성적인 아름다움에 중성적인 매력까지 더하기도 했다. 이런 이중성은 시몬느 시뇨레의 스크린 페르소나뿐 아니라 현실의 정체성으로도 남아 있다.

분신 같은 존재 이브 몽탕

영화 데뷔 시절, 시뇨레는 첫 남편인 영화감독 이브 알레그레의 여러 작품에 나오면서 배우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 프랑스 영화계는 부역자를 가려내는 전쟁 트라우마로 곤욕을 치르고 있었다. 말하자면 신인이 성장하기에는 프랑스의 여건이 좋지 않았다. 이런 조건에서 시뇨레가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거장 막스 오퓔스의 <윤무>(1950)에 발탁된 덕분이었다. 나치를 피해 프랑스로, 미국으로, 그리고 다시 프랑스로 돌아온 이 독일 감독의 복귀작이 <윤무>인데, 여기서 시뇨레가 맡은 역할이 바로 매춘부였다. 매춘부 역할과의 오랜 인연은 이 영화에서 시작됐다. 비록 거리로 내몰린 매춘부이지만, 자기만의 사랑을 포기하지 않는 순수한 마음의 소유자로 나온다. <윤무>는 여러 이야기가 ‘끝없이 이어지는 춤’을 추듯 전개되는데, 시뇨레는 첫 번째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짧게 등장했다. 그러나 영화계의 이목을 끌기에는 충분한 시간이었다.

<윤무>를 찍을 때쯤, 시뇨레는 평생의 반려자이자 정치적 동지인 이브 몽탕을 만난다. 그는 무솔리니를 피해 프랑스로 망명한 이탈리아 공산주의자의 아들이다. 2살 때 부친을 따라 마르세유에 왔다. ‘대단한 아버지’를 둔 덕분에 몽탕은 어릴 때부터 반파시즘의 정치적 혁신과 위험 속에서 성장했다. 이보 리비가 본명인 그는 마르세유 항구의 잡역부였는데, 노래 실력 덕분에 당대의 스타인 에디트 피아프를 만났고, 그녀의 후원을 받아 자신도 스타로 성장했다. 몽탕의 주위에는 자크 프레베르 같은 소위 진보적인 예술인들이 많았다.

시뇨레도 ‘대단한 아버지’ 덕분에 신분에 위협을 느끼면서 살았다. 부친은 폴란드계 유대인으로, 동시통역가였는데, 나치의 침공 이후 드골을 따라 영국으로 망명한 역시 반파시즘의 용사였다. 본명이 카민커인 시뇨레는 유대인 신분을 숨기기 위해 모친의 처녀 때 이름을 사용했다. 시뇨레는 아버지의 도움으로 일찍부터 지식인들과 친분을 쌓았고, 파리 문화인들의 아지트인 ‘카페 드 플로르’의 단골손님이었다. 프레베르, 몽탕도 그곳에서 만났다. 나치의 파리 점령 때, 시뇨레는 유대인 신분을 속이고 연극배우로 활동하며, 부친이 없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도 했다. 반파시스트 부친, 위험한 일상, 그로부터 잉태된 진보적 사상과 태도 등에서 이브 몽탕과 시몬느 시뇨레는 서로에게 분신 같은 존재였다. 동갑인 두 사람은 1951년 서른살 때 결혼했고, 1985년 시뇨레가 죽을 때까지 함께 살았다.

<테레즈 라캥>의 멜랑콜리

이브 몽탕, 자크 프레베르와의 인연으로 시뇨레는 이들과 친분이 두터웠던 시적 리얼리즘의 거장 마르셀 카르네를 만난다. <황금 투구>의 성공 이후, 연속하여 발표된 시뇨레의 대표작이 카르네 감독의 <테레즈 라캥>(1953)이다. 에밀 졸라의 원작을 각색했는데, 시뇨레는 여기서 가난 때문에 병약한 사촌과 억지로 결혼한 우울한 여성으로 나온다. 열정을 억압하고 사는 여성, 병약한 남편, 그리고 마초맨 노동자 사이의 삼각관계를 그린 불륜 드라마다. 늘 말이 없던 그녀가 강인한 육체를 가진 이탈리아 노동자(라프 발로네)를 만나 격정적인 키스를 나눌 때, 영화는 불륜의 공포 속으로 휘말려 들어가는 식이다. 여기에 아들과 며느리의 부부생활을 병적으로 감시하는 (시)어머니의 히스테리가 드라마의 긴장을 증폭시킨다. 박찬욱 감독의 <박쥐>(2009)에 나오는 신하균-김옥빈 커플의 원형이 바로 이 영화에서 나왔다(특히 신하균의 탁월한 연기의 모델을 확인하고 싶으면, 프랑스 배우 자크 뒤비의 연기를 보면 된다).

성숙하고 용감한 이미지가 강했던 시뇨레가 여기선 여성의 소극성까지도 섬세하게 표현하는데, 이것은 중년 이후 그녀의 스크린 캐릭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이를테면 지금은 잊힌 작품이 됐지만, 영국 ‘프리 시네마’의 선구 격인 잭 클레이턴 감독의 <꼭대기 방>(1959)에서의 비극적인 유부녀 역할이 대표적이다. 시뇨레는 마치 험프리 보가트처럼 트렌치코트를 입고, 늘 어두운 표정으로 담배를 피우며 야망에 넘친 청년과 불같은 사랑을 나누다 비극적인 운명을 맞는데, 이것은 <테레즈 라캥>의 멜랑콜리를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꼭대기 방>은 당시 시뇨레에게 최고의 영예를 안겼다. 30대 후반이었고, 살이 쪄서 배우로서는 위기라는 지적을 받을 때였는데,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그리고 칸영화제 여우주연상까지 받았다. 시뇨레는 아카데미 주연상을 받은 최초의 프랑스 배우이다. 이 영화를 계기로 시뇨레는 미국에서의 활동도 병행하며, 대서양을 오가는 스타의 삶을 즐겼다.

몽탕과 만나고, <황금 투구>와 <테레즈 라캥>, 그리고 호러 스릴러 <디아볼릭>(1955)을 거쳐 <꼭대기 방>을 발표한 1950년대가 시뇨레 경력의 절정이었다. 그리고 이때는 부부가 프랑스 공산당과 친밀한 관계 속에서 사회적 활동도 적극적으로 할 때였다. 여성배우로서의 정치적 적극성은 1970년대의 제인 폰다와 비교될 것이다. 돌이켜보면 냉전의 비극인데, 부부는 당시의 정치적 활동 때문에 1950년대에는 미국 내 입국이 사실상 거부됐다. 반면에 옛 소련은 이 부부를 자주 초청했다. 특히 니키타 흐루시초프 공산당 서기장은 시뇨레에게 각별한 애정을 표현하기도 했다. 이런 어색한 입장을 깬 작품도 <꼭대기 방>이었다. 이후 부부는 두 진영 모두에 환영을 받았다.

시뇨레가 연기한 단 하나의 배역을 말한다면 그건 매춘부다. <황금 투구>처럼 가난 혹은 전쟁 때문에 거리에 내몰린 최하층 여성인데, 그녀가 반복한 매춘부들은 삶의 의욕을 잃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을 갖고 있다. 그것이 시뇨레의 스크린 이미지이다. 사랑에는 한없이 약한 여성이지만, 동시에 역경을 뚫는 생명력은 그 어떤 남성보다 강한 역할이었다. 이런 이중성, 혹은 중성의 매력이 시뇨레의 스타성일 것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