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학생부와 수능 성적을 뒤집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면접구술과 실기고사의 성적은 아직 얼마든지 뒤집을 수 있다. 학교마다 전형방법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학생부와 수능만큼 면접과 실기를 중요하게 평가한다는 점은 모두 비슷하다. 그래서 준비했다. 영상 관련 학과 교수진들에게 직접 전해 들은 면접/실기고사 성공 전략 5가지를 전한다.
1. 나만의 것을 찾자 이런 상황을 가정해보자. 지정연기 과목에 면접관들이 수험번호 1번의 연기를 보고 10점 만점에 8점을 줬다. 다음 수험번호 2번이 들어와 1번과 비슷한 패턴의 연기를 한다. 그러면 두 수험자의 점수는 어떻게 될까. 대진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부 윤우영 학부장은 “시험 시간이 짧아도 학원에서 3달 공부해서 만든 건지 진짜 본인의 끼에서 나온 건지 정도는 구분할 수 있다”고 말한다.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박철웅 학부장도 “이미 훈련된 것보다 본인이 갖고 있는 자질을 중요하게 본다”고 강조했다. 연출전공, 연기전공을 막론하고 교수들이 보고 싶은 건 정형화된 답변보다 본인만의 개성이라는 이야기다.
2. 생각하는 힘을 기르자 어떤 영화를 보면 테크닉은 화려한데 전달하려는 이야기는 허무맹랑해서 실망스러울 때가 있다. 그때 문제는 그림과 그림을 이어주는 ‘어떤 생각’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예술을 예술이게 하는 것은 창작자의 사유다.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신영섭 학부장도 “예술은 사람 사는 모양을 작품을 통해 해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현장에 대해 코멘트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충고했다. 대진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부 윤우영 학부장도 “실기고사 뒤 질의응답을 통해 작품 해석 능력도 꼭 함께 평가한다”고 설명한다.
3. 간접경험만이 살길이다 “어린 학생들이 연기를 하면 얼마나 해봤겠나.” 백제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 이상민 교수의 말은 수험생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여건 속에서 실질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라는 의미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의 폭은 한정돼 있다. 하지만 책이나 영화를 통한 간접경험은 가능하다. 그런 간접경험이 단지 지식을 쌓기 위한 행위만은 아니다. 많이 읽고 보고 듣다 보면 세상에 대한 이해도 깊어지고 호기심도 풍부해질 것이다. 그런 성향은 면접이나 실기에서 자연히 드러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상민 교수와 함께 순천향대학교 영화애니메이션학과 민경원 교수도 “습관적으로 책을 읽는 것”을 최고의 실기 준비로 꼽았다.
4. 무한~도전! 스마트폰으로 혼자 영화도 만들 수 있는 세상이라지만, 수험생들에게는 버거운 과제일 수 있다. 대부분은 대학에 들어간 뒤에 새로 만난 친구들과 처음 다뤄보는 장비를 가지고 좌충우돌하며 처녀작을 만들게 된다. 교수들도 그런 점을 감안하고 지원자들을 평가한다. 그래서 ‘할 수 있다’는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 어쩌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제 막 예술에 입문하는 학생이어도 상관없다. 다만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라 예술의 생산에 내가 참여하겠다는 의지가 충만한 학생을 원한다.”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심보선 교수의 말은 학과, 전공을 막론하고 새겨들으면 좋을 팁이다.
5. 뚝심을 보여주자 의욕와 더불어 교수들이 꼭 함께 강조하는 것이 끈기다. 영화인의 길에서 대학 4년은 시작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상업영화 감독을 꿈꾼다고 가정해보자. 보통 30대 중/후반은 돼야 입봉 기회를 잡는다. 그때까지 자신과의 싸움에서 버텨내려면, 결국 뚝심이 관건이다. 추계예술대학교 영상문화학부 안성아 교수가 근성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그래서다. “아무래도 현장은 급여나 근무 환경이 열악하다. 그런 제약을 극복하면서까지 이 길로 꾸준히 갈 만한 애정이 있는지를 본다.” 이왕 이 길을 선택했다면 기억하자. 강한 사람이 오래 버티는 게 아니라 오래 버티는 사람이 강한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