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26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독립영화 정책을 점검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정책 전반을 개괄하기보다 독립영화전용관(이하 독립영화관)과 영상미디어센터(이하 미디어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공개적인 자리에서 영진위의 독립영화 정책을 토론하는 건 정말 오랜만이었다. 4기 영진위 이후 현재까지 ‘영화인 대토론회’ 부류의 토론회는 간혹 개최되었지만 독립영화 정책만을 화두로 삼은 토론회는 거의 없었다. 간담회가 간혹 개최되긴 했다. 하지만 소수의 사람만을 초청하여 진행되는 간담회만으로 폭넓은 토론과 공유는 어려웠다. ‘공개된 토론의 실종’은 정책 수립과 예산 편성 과정을 영진위가 독점하게 했다.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의해 구성, 운영되는 ‘영화문화다양성소위원회’에서조차 차기연도 사업 및 예산계획안 공개를 꺼린다는 후문이다. 이런 불통은 영진위 정책에 대한 무관심과 불신만 키울 뿐이다. 이 토론회를 계기로 독립영화 정책 전반에 대한 토론과 공유가 더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각설하고, 이번 토론회는 직영 전환 이후 독립영화관과 미디어센터 사업을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가에 대한 것으로 나름 의미가 있었다. 발제는 ‘위탁운영/직영의 패러다임’을 넘어 사업들의 미래를 고민하자는 제안으로 시작됐다. 각 사업들의 현재 내용들은 공히 시작될 때와 별로 차이가 없다고 평가됐다. 길게는 10년, 짧게는 5년 이상 추진되었지만 그만큼의 역량과 경험이 반영되지 못했다. 5년, 10년이 지났다는 것은 사업이 시작할 때와 지금의 환경이 많이 다르다는 말이다. 그런데 사업은 그대로다. 이건 문제다. 직영 전환으로 영진위의 정책 의지를 곧바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적으로 바꾸지 못했다는 것은 사업에 대한 영진위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방증할 뿐이다.
2002년 ‘미디액트’의 설립 이후 미디어센터는 중요한 지역 문화 기반시설이 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경쟁적으로 지역 미디어센터를 설립했고, 교육과 퍼블릭 액세스도 진보했다. 2007년 ‘인디스페이스’의 설립 이후 독립영화 배급도 폭발했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독립영화의 경우 영화관 상영 횟수는 늘어났지만 상영의 질은 퇴보하고 있다. 기회가 늘어났으나 관객이 독립영화를 보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게다가 지역은 사업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다.
영진위는 ‘직영 인디플러스 운영과 아리랑시네센터, 한국영상자료원 지원’으로 독립영화관 사업은 ‘서울에서만’ 할 계획이란다. 지역 독립영화 상영은 ‘예술영화전용관 지원과 지역 거점극장 선정, 비상설상영관 활용’ 등으로 지원하겠다고 한다. 나름 의미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독립영화관을 확대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사업을 바꾸면 2012년 집행한 예산 정도로도 더 많은 독립영화관을 만들 수 있다. 2년2개월간 진행된 독립영화관 위탁 경험은 하나의 스크린이 많은 것을 바꿀 기반이 된다는 걸 증명했다. 지역 독립영화관의 설립은 독립영화 상영의 질도 높이고, 지역 관객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것이다. 전국적인 독립영화 관객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지역 독립영화관 설립은 무엇보다 지역 독립영화를 위한 중요한 지원이 될 것이다. 독립영화관은 상영만 하는 곳이 아니라 독립영화 배급의 기지이기 때문이다.
부산에는 국도예술관, 아트시어터 C&C, CGV서면 무비꼴라쥬,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아르떼에 영화의 전당까지 5개의 예술영화관과 시네마테크 부산이 있다. ‘메이드인부산독립영화제’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부산에서 제작된 독립장편영화는 30편에 달하는데 이중 개봉 등 배급된 영화는 8편(절반은 전수일 감독의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