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차우진의 귀를 기울이면
[차우진의 귀를 기울이면] 영화를 지배하는 음악

<은교>

적어도 나에게 ‘늙음’은, 더이상 누군가의 성적 대상이 되지 못하는 시간이다. 아내가, 애인이, 혹은 어떤 여자들이 나를 욕망하지 않을, 그러니까 만지고 싶지 않을 때가 오리라는 각성은 괴이하기보다는 슬프다(여자들도 그렇지 않을까). 그래서 <은교>는 몸에 대한, 요컨대 살에 대한 영화다. 사랑이란 마침내 살을 쓰다듬는 감촉이자 감정이므로 그렇다. 하지만 타인의 육체를 향한 욕망에는 ‘사회적’ 맥락들이 여지없이 개입한다. 금기는 그렇게 탄생한다.

몸과 욕망, 금기와 사랑에 빗대어 감각의 본질에 다가가려는 <은교>에서 음악이 중요한 건 그 때문이다. 더블베이스와 클라리넷의 대비되는 톤은 불안과 긴장을 반영하지만 피아노와 첼로, 바이올린의 얇은 음색은 간절한 서정을 빚으며 그 욕망의 불편함을 걸러내고 가면을 덧씌운다. 인상적인 두 신, 유리문을 두고 이적요와 은교가 마주보는 때와 두 사람이 비로소 이별하는 엔딩에 흐르는 테마는, 이 민감한 러브 스토리를 드디어 납득하는 데 음악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증명한다. 또한 영화음악의 정체도 반문하게 만든다. 영화에 귀속된 음악이 어떻게 영화를 지배하는가. 눈뜨고 코베인의 멤버 연리목의 장편 영화음악 데뷔는 그만큼 성공적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