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집 짓는 과정과 사랑하는 과정은 닮았다
강병진 사진 최성열 2011-11-15

이용주 감독의 <건축학개론>

<건축학개론>은 <불신지옥>의 이용주 감독이 데뷔작으로 준비했던 시나리오다. 서른다섯살의 건축가인 남자에게 어느 날 첫사랑의 여자가 찾아와 집을 고쳐달라는 부탁을 하고, 남자는 그녀의 집을 지으며 스무살, 그때의 사랑을 추억한다. 엄태웅과 한가인이 현재의 인물들을, 이제훈과 미쓰에이의 수지가 과거의 인물을 연기한다. “서른살 때 쓰면서 20대를 정리하려 했다”는 이용주 감독은 “결국 40대인 지금 30대를 정리하는 기분이 됐다”고 말했다.

-지금 돌이켜보면 9년 전에 쓴 시나리오다. 쓰게 된 계기가 무엇이었나. =멜로영화를 좋아했었다. 구체적인 아이디어로 말한다면 서른이었던 당시 10년 전의 내가 가진 기억이었던 것 같다. 사실 그때는 멜로라는 장르보다도 건축과 관계된 영화를 해보면 어떨까 생각했었다. 집을 짓는 과정이 멜로와 접합될 수 있는 게 많다. 건축가는 건축주를 이해해야만 좋은 집이 나온다. 그와 친해지면서 그가 처한 상황과 취향을 소통해야 하는데, 이게 사랑을 하는 과정과 비슷하지 않나.

-그런데 실제 건축공학과의 커리큘럼에 ‘건축학개론’이란 수업이 있나. =있다고 하더라. 하지만 건축공학과를 나온 내가 그런 수업을 들었던 건 아니다. 영화에서는 과거 주인공들이 함께 듣는 건축학개론 수업이 하나의 플롯이다. 수업의 과정과 과제물이 두 사람의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시나리오를 쓸 때는 실제 수업내용들을 조사했다.

-현재의 두 남녀와 그들의 과거를 어떻게 연결할 계획인가. =사실 이야기가 다이내믹하지는 않다. 과거의 기억이 현재 그들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다. 그래서 과거와 현재가 동등한 분량으로 보이게 될 거다. 그리고 영화의 엔딩은 집을 완성하는 것이다. (웃음)

-건축이라는 개념, 그리고 서울을 돌아다닌다는 설정상 영화에 등장할 공간의 느낌이 중요해 보인다. =주인공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공간을 대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남자는 정릉에서 오랫동안 살았고, 그래서 공간에 대한 불만이 있다. 그리고 여자는 제주도에서 살다가 대학 입학과 함께 서울로 왔고, 다시 10년이 지나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살아온 공간의 차이가 캐릭터에도 드러날 것이다. 이야기의 특성상 세트보다는 로케이션이 많다. 서울사람들이 봐도 의외로 모를 법한 공간이 등장할 것 같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정말 건축학개론 같은데, 이 영화는 멜로영화라는 걸 잊지 말기 바란다. (웃음)

-제주도에 실제 집을 짓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주인공이 집이다. 내가 건축주가 되어 다른 건축가에게 의뢰했다. 하지만 실제 집을 짓는 건 아니고 세트다. 비용은 큰 차이가 나지 않지만 실제로 지으면 스케줄을 맞출 수 없더라. 그렇게 멋진 집은 아니다. 평수가 작은 세미 복층이고 마당이 있고 바다가 보이는 정도다. 건축가에게 요구한 것도 영화적으로 과장된 집이 아니라 정말 사람이 살 수 있는 집을 지어달라는 거였다. 비슷한 맥락인데, 영화에서 건축가란 직업도 기존의 영화나 드라마와는 다르게 보일 거다. 실제 건축가로 일했던 입장에서는 그동안 봐왔던 영화 속 건축가들이 너무 황망하고 과장되어 있었다. 하지만 나로서는 따로 취재가 필요없을 만큼 잘 만들 수 있는 캐릭터다. (웃음)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