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타 디지털과 퍼포먼스 캡처 기술이 창조한 디지털 유인원들은 신기한 볼거리를 넘어서서 그 자체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프리퀄의 개념을 벗어나더라도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의 시나리오는 훌륭한 블록버스터 시나리오의 전범에 가깝다. 영화 속 인간 캐릭터들은 사실상 기능적인 조연 역할에만 충실하다. 영화를 실제로 끌어가는 건 유인원 캐릭터들이다. 놀랍게도 보통 블록버스터에서라면 특수효과를 과시하는 데 낭비됐을 유인원 캐릭터들조차 당당하게 각자의 성격을 부여받는다. 이를테면 유인원 보호소에서 시저를 왕따시키려던 수컷 침팬지 로켓, 몸집이 가장 거대한 고릴라 벅, 인자하고 용기가 부족하지만 시저의 유일한 친구가 되어준 오랑우탄 모리스 등은 각자의 개성을 보여주는 데 성공할 뿐만 아니라 시저의 각성을 이끌어내고 액션장면의 감정을 고양시키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해낸다.
릭 자파의 각본에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그는 유인원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클라이맥스 부분에서도 결코 인간 군대의 지휘관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다. 이건 <우주전쟁>에서 스필버그와 각본가 데이비드 코엡이 지켜낸 원칙(‘정치가, 과학자, 장군을 내세우지 말 것. 전술 지도 펴놓고 모형을 움직이는 회의나 방송 기자의 보도장면이 없을 것’)과 맞물리는 데가 있다. 감독 루퍼트 와이어트와 각본가 릭 자파는 자신들의 영화가 고난을 통해 정체성을 각성한 뒤 혁명을 일으키는 원숭이 버전 <스팔타커스>라는 걸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오랜 원형적 서사를 튼튼하게 쌓아올리는 데만 집중한다. 물론 간결한 시나리오의 힘을 지켜낸 또 하나의 공신은 감독 루퍼트 와이어트다. 2008년 부산영화제에서 공개된 영국산 탈옥영화 <이스캐피스트>(The Escapist)에서 잔가지 없는 장르영화를 직조했던 와이어트는 “프랜차이즈의 노예가 되지 않는 영화”가 목표였다고 말한다. “지난 <혹성탈출> 시리즈의 유산은 그저 케이크의 장식 정도로만 사용하고, 성경이나 고대 신화처럼 좀더 넓게 공명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제조 경험 없는 72년생 젊은 영국 감독을 기용한 이십세기 폭스의 용단은 <배트맨 비긴즈>로 크리스토퍼 놀란을 불러들인 워너의 용단을 떠올리게 하는 데가 있다.
물론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은 특수효과와 이야기를 따로 떼놓고 설명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영화다. 웨타 디지털과 퍼포먼스 캡처 기술이 창조한 디지털 유인원들은 신기한 볼거리를 넘어서서 그 자체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이미 <킹콩>과 <아바타>로 퍼포먼스 캡처 기술의 신기원을 보여준 바 있는 웨타의 조 레터리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이 가장 까다로운 작업이었다고 말한다. “<아바타>의 경우, 제임스 카메론이 만든 환상의 세계는 그 누구도 경험해본 적 없는 곳이다. 이 영화는 다르다. 현대의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한 현실적인 이야기이므로 유인원과 도시가 모두 현실적으로 보여야만 했다.” <아바타>의 나비족과 <킹콩>의 킹콩은 극단적으로 사실적일 필요는 없었다. 두 존재는 어쨌거나 영화적 환상 속에서 살아 숨쉬는 존재들이었다.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처럼 실존하는 유인원이 주인공이고 실존하는 도시가 배경인 영화에서 ‘리얼리티’는 필수조건이다. 결과는 입이 벌어질 정도로 황홀하다. 앤디 서키스와 웨타는 인간 배우들과 진정한 화학작용을 보여주는 역사상 첫 번째 디지털 캐릭터를 성공적으로 창조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