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당신이, 오달수라는 배우와 여성 속옷을 동시에 떠올렸는데 불편하거나 기괴한 그림이 그려졌다면? 나는 그것을 ‘암산의 한계’라고 당장 대답하겠다. 여성 속옷과 함께 카메라 앞에 선 오달수의 자태는, 폭발적으로 웃기기도 하지만, 동시에 아련하게 아름답기까지 하다. 심지어 특정 장면에서는 마치 요정과도 같이 신비롭고 영험하기까지 하다. 그것은 흡사 영화 <아바타>의 비주얼 쇼크와 비견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사진을 보라. 저곳에 빈틈이 과연 있는가? <페스티발>에서 미학적으로 가장 완벽한 미장센은, 바로 ‘광록이라 불린 오달수’ 그 자체, 그 자태였다.
[페스티발] 레이스가 맨살에 닿아… 아아아아앙
2010-11-09
란제리 마니아, 광록역의 오달수
결혼 20주년 기념 선물로 아내에게 줄 속옷을 사지만, 어떤 이유에선지 그걸 본인이 그냥 ‘입어버리는’ 국어 선생, 광록.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광록이라 쓰고 오달수라 읽는다’라는 농담으로 시작된 이 캐릭터는, 캐릭터 지문 첫 문장을 모니터에 올린 순간부터 촬영 마지막 오케이 순간까지 단 한번도 고민하거나 주저할 필요가 없었다. 커브 한번 없이 오로지 직진만 있었고, 정확히 그곳에 깃발을 꽂는 데에 성공한, 순도 높은 ‘초심 그대로의 캐릭터’다.
1 / 3
관련영화
관련인물
글 이해영(영화감독) <페스티발><천사장사 마돈나>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