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냉정과 열정 사이
[냉정과 열정사이] 하얀 집의 공포
정이현(소설가) 2007-08-03

공포영화의 인공적 카타르시스와 달리 끝이 보이지 않는 지리멸렬한 일상 속 불운의 공포

<검은집>

계약은 순식간에 이루어졌다. “오피스텔 전세가 얼마나 귀한지 알죠? 지금 가계약 안 해놓고 가면 삼십 분 뒤에 그냥 나가버린다고요.” 부동산중개사 아주머니는 능수능란하고 집요했으며, 나는 어리어리하고 귀가 얇았다. 전세금 10%에 해당하는 계약금을 폰뱅킹으로 쏘고 나서야 내가 그 집을 꼼꼼히 살펴보지 않았다는 사실이 상기되었다. 유달리 새하얗던 벽지만 또렷이 떠올랐다. 그러니, 이제 그 집을 ‘하얀 집’이라 부르기로 하자.

이삿짐센터 직원은 처음 약속한 시간에서 약 다섯 시간 지난 뒤에 나타났다. 우여곡절 끝에 짐을 싸 ‘하얀 집’에 당도했다. 현관에 들어서는 순간, 입이 딱 벌어졌다. 짐이 몽땅 빠져버린 빈집이 별안간 운동장처럼 넓어 보여서가 아니다. 현관 바로 옆의 거실벽. 다른 벽들과 마찬가지로 희디흰 벽지로 도배된 그 벽면에 손바닥만한 크기의 본드자국들 수십여개가 말 그대로 더덕더덕 남아 있었던 거다. 전에 살던 이가 성분 모를 강력 접착제로 사진들을 붙였다 떼낸 자국이었다.

급거 초빙해온 청소 전문가는 고개를 갸웃댔다. “이게 당최 무슨 제품일까요?” 되레 내게 물으며 그는 무척 학구적인 자세로 화학약품을 쏟아부었다. 효과는, 없었다. 끈끈한 접착제 자국은 심지어 누덕누덕해져버렸다. 도배가격을 알아보니, 집 전체를 도배하는 가격과 별 차이가 없을 만큼 비쌌다. 어이없어 하고 있는데 요란하게 인터폰이 울렸다. 오피스텔의 생활지원실이었다. “위층 변기가 막혔는데요.” 무언가 심상찮은 일이 일어났음이 직감되었다. “파이프 문제라서 변기 고치려면 그 댁 천장을 이용해야 하는데.” 그땐 그 말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몰랐다. 그러니까, 음, 형용하기 어려운, 한 무더기의 고체와 액체들이 ‘하얀 집’ 욕실의 타일바닥으로 쏟아져내리는 걸 목격하기 전까지는.

몇번이나 타일바닥을 빡빡 닦고, 동네 슈퍼마켓에서 구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욕실 전용 청소제 및 탈취제를 사용해보았으나 냄새는 쉬이 가시지 않았다. 다음날엔 이전 신고를 무사히 마친 전화가 갑자기 먹통이 되었다. 그 다음날엔, 전날까지 멀쩡하던 인터넷이 뒤이어 먹통이 되었다. 고장신고를 했으나, 기사가 방문하기로 약속한 시간까지 오지 않았다. 꼬박 반나절을 기다리다 지쳐 확인해보니, 글쎄, 나와의 통화기록 및 약속내역이 데이터베이스에 아예 남아 있지 않단다.

고약한 냄새가 가시지 않는, 벽지 누덕누덕하고, 인터넷과 전화가 끊긴 집 한가운데 망연히 앉아 있자니 뒤통수가 스멀스멀해져왔다. 서둘러 공포영화를 보러 간 건 ‘하얀 집’이 주는 원인 모를 불안감을 잠시 잊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영화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았다. 남들 따라 비명 지르고 남들 따라 바들바들 떨면서도, 머릿속으론 자꾸 딴생각이 출몰했다 사라졌다. 저 집 좀 봐. 무슨 일 안 터지면 이상할 만큼 으스스하게 생겼잖아. (그에 비하면 나의 ‘하얀 집’은 얼마나 정상적이란 말인가!) 황정민은 오지랖이 왜 저렇게 넓은 거야? 화를 자초하게시리. (하지만 나는 정말로 내 불운들에 대해 아무런 빌미도 제공하지 않았단 말이야!) 범인은 원래부터 타고난 사이코패스라고? (하지만 현실에선 저런 인간을 만날 확률이 더 높을까, 일상 속의 불운들이 연속해 일어날 확률이 더 높을까!)

공포영화 속의 공포는, 끝장을 보는 공포다. 자극적이고 극적이며 준비된 끝을 향해 나아간다. 공포의 근원을 색출해 뿌리뽑고 나면 (일단) 안심할 수 있는. 그에 비해 일상의 공포는, 끝장을 볼 수조차 없는 공포다. 지리멸렬하고 앞이 보이지 않으며 실체를 알 수 없다. 실체를 모르니 근원도 모른다. 끝이 보이지 않는, 결말없는 공포. 내게 닥친 이 작은 불운이 혹여 더 큰 불운의 예고장은 아닐까 가슴 졸이게 되는.

집에 돌아와 보니 모든 게 똑같다. 방향제의 지독한 플로랄 향기 너머 ‘그’ 냄새는 사라질 듯 사라질 줄 모른다. ‘검은 집’은 참 편하겠다. 현실의 모든 불길한 가능성을 연약한 그녀의 어깨에 다 짊어지워 이 세계에서 추방해버렸으니. 피처럼 붉은 부적이라도 하나 떡 써붙이면 이 ‘하얀 집’도 좀 평안해질지. 인공적 카타르시스의 시효가 다한 뒤에도 일상의 공포는 지속된다. 도저히 공포영화에 몰입할 수 없는 가여운 인간의 변명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