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Enjoy TV > TV 가이드
어느 살인마의 심연, <냉혈한>

EBS 밤 11시

베넷 밀러의 <카포티>는 2006년 필립 세이무어 호프먼에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안겨준 영화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카포티가 소설 <인 콜드 블러드>를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을 전기형식 속에서 추적한다. 영화가 보여주듯, 실제로 카포티는 1959년 미국의 한 지방 농장에서 벌어진 일가족 살인사건을 접한 뒤 실화를 바탕으로 소설을 구성했다. <카포티>는 작가 카포티가 살인마들과 직접 대면하고 심적인 갈등을 겪으며 작품을 써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카포티는 두명의 살인마들 중에서도 유독 그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페리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리처드 브룩스의 1967년작 <냉혈한>은 바로 그 페리를 중심에 두고 진행되는 영화다. 간혹 잡지 편집장의 내레이션이 두 살인마의 상황을 설명해주기는 하지만, 카포티는 직접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두 살인마의 도피행각과 뒤늦게 삽입되는 살인현장, 이들의 과거와 복잡한 심리적 행로, 그리고 감옥에서 사형당하는 순간까지의 이야기가 자세하게 펼쳐진다.

눈여겨볼 것은 직선적인 시간관을 택하지 않는 이 영화의 구성방식이다. 이를테면 페리와 딕이 살인을 저지른 것은 영화적 시간상으로 초반에 속하지만, 영화는 그 순간을 건너뛴 뒤, 그들이 체포된 시점에 뒤늦게 삽입한다. 살인을 저지른 순간과 그것이 밝혀지는 순간 사이의 시간적 틈에서 영화는 두 살인마들, 특히 페리의 살인동기를 이해하려고 한다. 거기에는 한국전에서 다리를 다친 그의 외형적 불구뿐만 아니라, 그의 내적 결핍이 끊임없이 환기된다. 폭력적인 아버지와 성적으로 자유로운 어머니 사이에서 어린 페리가 겪었던 기형적인 순간들이 그의 현재에 유령처럼 침투한다. 여전히 상처와 망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페리를 보는 영화의 시선은 도덕적인 비난보다는 연민에 가깝다. 이는 아마도 카포티가 자신과 일면 유사한 어린 시절을 거친 페리에게 느꼈던 모순된 감정이기도 할 것이다.

<냉혈한>에서 ‘냉혈한’은 단지 두 살인마만이 아니라, 당대 미국사회의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처럼 보인다. 풍요와 꿈의 땅이 아닌, 음울하고 미래를 상실한 곳으로 그려지는 영화 속 미국 주변부의 풍경이 그렇다. 그 속에 페리와 딕의 냉소와 증오로 가득 찬 심리적 풍경이 몽환적으로 스며든다. 이는 전적으로 촬영감독 콘래드 홀과 음악을 맡은 퀸시 존스 덕이다. 가장 극단적인 순간에 빛과 어둠을 통해 인물의 미세한 내적 분열을 잡아내고, 모든 장면에서 독보적인 이야기와 분위기를 끌어내는 콘래드 홀의 카메라는 그저 감동적일 따름이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