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저능한 제국
2001-10-10

김규항의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한국에선 많은 게 뒤늦게 발견된다. ‘제국으로서 미국’이 그렇다. 1980년 5월24일, 계엄군이 물러난 광주 거리에 대자보가 붙는다. “미 항공모함 코럴시호가 부산항에 들어왔습니다. 미국이 신군부에 압력을 넣어 우리를 도울 것입니다.” 사흘 뒤 광주가 잔인하게 진압되고 얼마간 시간이 흐르고서야 비로소 한국인들은 ‘미제국주의’를 말하기 시작한다. 한국의 민주화운동은 반독재투쟁에서 진보적 변혁운동으로 급격히 전화한다. 오늘 우리가 누리는 것의 9할을 가져다준 80년대는 그렇게, 시작했다.

미국주도 신자유주의의 총본산이라 설명되는 건물과 미제국주의의 물리적 폭력의 집행처라 설명되는 건물이 공격당했다. 이른바 보복작전이 시작되고도, 누구에 의한 공격인지 분명치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미국에 그런 공격을 가할 만한 대상이 너무나 많아서다. 말하자면 미국은 진작부터 그런 공격을 부르고도 남을 만했고 지금도 그렇다. 미국은 테러로 시작하여 테러로 점철한, 인류 최대의 테러국가다.

미국은 일단의 유럽 무뢰배들이 수천년 이상 자연과 조화하며 살아온 사람들을 학살함으로써 생겨났다. 그 너른 땅을 일구기 위해 그들은 수세기 동안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아프리카인들을 납치하여 노예로 부렸다. 미국이 수백년의 싸움 끝에 막 자주적인 나라를 만들게 된 베트남을 침범한 일은 그저 거대한 테러였다. 그 일로 미국과 베트남, 애꿎은 한국 청년 120만명이 죽었다. 한국에서 50여년 동안 극단적인 반공 파시즘을 지속게 한 것도 미국이었고, 제3세계의 수많은 민주정권들은 단지 미국에 복종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더러운 전쟁’(반군 지원, 암살, 납치 등)의 제물이 되어야 했다. 체 게바라를 죽인 것도, ‘반공주의자’ 김구를 죽인 것도 미국이었다. 오늘 인류의 정신을 의심케 하는 잔혹극, 팔레스타인사람들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공연한 테러의 배후 역시 미국이다.

팔레스타인 자치지구의 한 사내가 말한다. “우리에겐 일자리가 없다. 수많은 검문소를 통과해 이스라엘지역까지 출근하려면 네 시간이 걸린다. 여덟시까지 가려면 네시엔 나서야 한다. 일을 마치고 다시 그 검문소들을 통과해 집에 돌아오면 자정이 넘는다. 그러고도 식구들 입에 풀칠하기도 어렵다. 이건 사람 사는 게 아니다. 왜 우리가 이렇게 살아야 하나. 당신네들은 자동차에 폭탄을 싣고 돌진하는 팔레스타인 청년들을 이슬람 광신도니 근본주의 테러리스트니 욕하지만, 우리로선 이렇게 평생을 사느니 그렇게 죽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인류 역사에 오늘의 미국처럼 거대한 제국은 여럿 있었다. 그러나 미국처럼 어떤 이상도 일관성도 없이 오로지 ‘제 잇속’을 위해 무차별한 폭력을 휘두르는 제국은 없었다(이를테면 알렉산더는 전 인류를 그리스인으로, 하나의 언어와 하나의 문명으로 통합하여 이상사회를 이루겠다는 나름의 꿈이 있었다). 객기에 찬 카우보이의 얼굴로 부시는 말한다. “자유가 침범당했다. 선이 악을 이길 것이다.” 그 자유는 고작 백인 중산층의 자유일 테지만, 그런 유치한 선동이 온 나라에 통하는 저능한 제국, 그것이 미국이다. 미국은 몹시 크고 몹시 강하지만 그런 크기와 강함을 감당하기엔 터무니없이 작은 뇌를 가진 공룡과 같다. 특히 90년대 이후 현실사회주의라는 견제가 사라지면서 미국은 인류의 순수한 재앙이다.

희한한 일은 오늘 상황을 보는 한국인들의 시각이다. 고작 식민지 출신인 그들은 (마치 제국주의 출신이라도 되는 양) 오늘 상황을 철저하게 (제국주의 출신 국가들의 집합인) 서방의 시각으로 본다. 요컨대 한국의 양식있는 지식인들은 커피잔을 만지작거리며 “테러도 나쁘지만 보복도 나쁘다”는 지당한 말들이나 주고받는다. 너무나 지당해서 아무것도 변화시킬 수 없는 그런 말들은 적어도 오늘의 미국사건을 보며 환호하는 사람들의 가슴에 쌓인 처절한 슬픔을 배제한 몹쓸 것이다. 80년 5월 광주를 겪고 나서 그랬듯, 우리가 다시 ‘미제국주의’를 말하기 시작할 때 비로소 모든 것이 조금씩 변화할 것이다.김규항/출판인 gyuhang@ma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