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아기공룡 둘리>의 마이콜 목소리 오세홍
최하나 사진 이혜정 2007-01-23

호이~ 호이~, 30년 우리들의 친구

일본 애니메이션? 검색창에 제목만 쳐도 동영상과 자막이 한 묶음으로 뜨는 시대다. 한데 유독 ‘한국어 버전’을 찾는 이들의 목소리가 높아질 때가 있다. 원작만큼이나 더빙판에 관심이 몰리는 상황. 그 대표적인 사례가 현재 애니맥스에서 방영 중인 <허니와 클로버>다. 한국의 유명 성우들이 일제히 포진한 한국어판 <허니와 클로버>에서 기청감(旣聽感)을 절로 자아내는 목소리 중 하나는 하나모토 교수. 귀가 밝은 이라면 포착해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의 유쾌한 콧소리는 짱구 아빠와, 정갈하게 떨어지는 어조는 <ER>의 닥터 그린과 꼭 빼닮았다는 것을. 이래도 감이 잘 오지 않는다면 <아기공룡 둘리>의 명곡 ‘라면과 구공탄’을 떠올려보시길. “후루룩짭짭 후루룩짭짭 맛좋은 라면~”을 열창했던 마이콜, 그가 바로 성우 오세홍이다.

“성우 일을 한 지 벌써 만으로 30년째예요. 시작할 때만 해도 이렇게 오래 하게 될 줄은 전혀 몰랐죠. 솔직히 내가 성우가 되리라곤 상상해본 적도 없었어요. (웃음)” 중학교 때부터 영화배우를 꿈꾸었다는 오세홍은 본래 무대 위를 누비던 연극배우였다. 연극을 계속하면서 생계를 해결할 수 있는 “생활의 수단”을 찾던 중 우연히 성우 모집 공고를 발견한 그는 무심코 지원했고, 덜컥 합격해버렸다. 동아방송 라디오 성우로 활동하던 그가 더빙을 시작한 것은 방송사가 KBS로 통폐합되면서이다. “첫 작품이 <제임스는 사춘기>라는 시리즈였어요. 대사와 입을 맞추는 것이 어찌나 어렵던지 45분 러닝타임을 녹음하는 데 4시간이 걸렸어요. 이건 도저히 할 일이 아니라는 생각도 했었죠. (웃음)” 엉망으로 번역된 대사가 가장 큰 문제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오세홍은 미리 대본을 챙겨 일일이 대사를 수정하고 필름을 감아가며 타이밍을 맞췄다. 시리즈를 견인하며 인정받은 그는 이윽고, 80·90년대 외화 더빙 시대의 주역이 됐다. <주말의 명화> 속 성우들의 활약이 도드라졌던 시절, 특정 배우의 ‘전담 성우’가 건재하던 그때 오세홍은 톰 행크스, 팀 로빈스, 빌리 크리스털을 만났다. “세 배우는 그냥 나 자신 같아요. 그만큼 편안하다고 할까요. 사실 저는 목소리 자체가 그다지 중요한 것 같지 않아요. 그저 주어진 이야기 안에서 역할에 충실하게 연기하면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변화의 바람은 성우계에도 어김없이 불어왔다. 라디오가 아닌 TV 시대, 더빙이 아닌 자막 시대가 열리면서 성우들의 입지는 점점 좁아졌다.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을 인정하는 오세홍이지만, 성우가 “배우가 아닌 목소리 기능인”으로 변화해가는 추세에 대해서는 안타까움을 표한다. “라디오 드라마가 이제 거의 없어졌잖아요. 우리가 정말 연기를 할 수 있었던, 말하자면 성우들의 고향이 사라진 셈이죠.” 99년 후배들과 뜻을 모아 ‘옛날 방송국’을 개국한 것은 그런 이유에서였다. 라디오 드라마부터 만화, 문예, 영화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꾸리며 제2의 고향을 꿈꾸던 ‘옛날 방송국’은 그러나, 현실의 벽 앞에서 쓰러졌다. “1년을 채 못 버텼죠. 성우들이 쌈짓돈을 털어서 운영했는데 수익 구조가 없었으니까. 하지만 우리가 정말 하고 싶었던 것을 순수하게 즐겼던 행복한 시간이었어요.”

연기자로서의 자의식이 강한 오세홍은 실제로 몇편의 CF를 비롯해 <4인용 식탁> <야수>에 출연한 ‘배우’이기도 하다. “솔직히 사람 100명 세워놓고 물어보면 누가 나를 알겠어요?”라며 ‘무명성’을 거듭 강조하는 그이지만, 그의 홈페이지에는 수많은 팬들이 남기고 간 애정어린 메시지가 가득하다. <바이오맨>을 보고 감동받았다는 소년부터 <빨강머리 앤>의 길버트를 추억하는 중년의 여성까지 세대를 넘나드는 팬들의 목소리는 30년에 걸친 그의 성우사(史)를 생생하게 증언한다. 그처럼 영화, 만화, 드라마를 넘나들며 무수한 작품 속에 자신의 존재를 새겨왔지만, 오세홍의 꿈은 아직 진행 중이다. 옛날 방송국. 지금은 문을 닫은 그곳의 도메인을 그는 매년 사비를 들여 고수하고 있다. “아직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적어도 내가 살아 있는 한은 그래요. 죽기 전까지 언제고 기회가 온다면 꼭 부활시킬 겁니다.” 성우들의 고향, 옛날 방송국의 전파를 타고 다시금 귓가를 두드릴 그의 음성을 기다려본다.

관련영화

관련인물